$\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랫드에서의 t-BHP 유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기능성 들깻잎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Functional Perilla frutescens Hot-water Extract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Liver Oxidative Damage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8 no.2, 2013년, pp.146 - 151  

양성용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강정한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이광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BHP는 대표적인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모델이며, 본 연구자는 랫드에 기능성이 강화된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P. frutescens leaf extract, PLE)을 250, 500 또는 1000 mg/kg body weight (b.w.)으로 6일간 경구 투여하고 t-BHP의 복강 주사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이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얼마나 억제하여 주는지를 혈액의 간 손상 지표인 lactate dehydrogenase (LDH),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그리고 alanine aminotransferase (ALT)를 측정하였으며, 간 조직에서 항산화 바이오 마커인 reduced glutathione (GSH), 지질과산화물의 척도인 malondialdehyde (MD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시 GSH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146.0{\pm}5.4$ mM GSH/g protein)에 비해 t-BHP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그룹에서 $128.6{\pm}6.8$ mM GSH/g protein로 감소하였다. 반면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250, 500 그리고 1000 mg/kg b.w. 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129.3{\pm}2.6$ mM GSH/g protein, $151.9{\pm}6.8$ mM GSH/g protein, $171.9{\pm}5.2$ mM GSH/g protein로 농도 의존적으로 GSH 함량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500 mg/kg b.w. 투여군부터 정상 대조군의 GSH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였을 때 t-BHP에 의하여 산화스트레스만 유발한 그룹은 $834.0{\pm}154.7{\mu}M/g$ protein 로 정상 대조군의 $385.6{\pm}39.7{\mu}M/g$ protein 보다 2.17배 높은 MDA를 생성한 것으로 지질과산화가 많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나,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의 MDA의 생성량은 $669.2{\pm}145.0$, $595.1{\pm}142.6$, $415.9{\pm}133.8{\mu}M/g$ protein 로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랫드의 간 조직에서, 독성을 유발하는 t-BHP를 복강 투여 후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지질과산화의 지표인 MDA의 감소와 항산화의 지표인 GSH 함량이 증가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확인을 위하여 간 조직을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t-BHP만 처리한 음성 대조군의 경우 간 세포의 괴사와 조직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모두 정상 상태의 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t-BHP가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간 손상을 야기시키고, 간 조직의 인지질 막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은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illa frutescens usually dieted in East Asian country such as Korea and Japa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erilla leaves have been founded. In previous study, we confirmed that caffeic acid, major compound of perilla, was accumulation by sucrose aqueous solution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ROS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간, 신장 등의 인체 기관에 미치는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18,19). 이에 본 연구진은 랫드에 설탕물 처리를 통하여 재배한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Perilla frutescense leaves extract; PLE)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과학적으로 확인하고, 간 보호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최적의 투여 농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투여함으로써 t-BHP로 간에 유발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보호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규명하여 추후 기능성 후보소재로 개발하는데 지표로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깨의 생산과 소비가 증가한 이유는? japonica Hara)는 꿀풀과의 일년생 초로 동아시아 지역, 특히 일본과 한국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다1). 특히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쌈채소로써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배기술의 발달을 통하여 다양한 품종의 보급과 연중 생산이 가능해졌다2).
들깨란? 들깨(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Hara)는 꿀풀과의 일년생 초로 동아시아 지역, 특히 일본과 한국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다1). 특히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쌈채소로써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재배기술의 발달을 통하여 다양한 품종의 보급과 연중 생산이 가능해졌다2).
활성산소종은 어떤 것에 매개자 역할을 하는가? 산화스트레스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공해물질 및 오염물질, 잘못된 식습관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유발된다. 특히 tert-butyl hydroperoxide (t-BHP)는 산화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9-13),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생성하고14) 이는 다양한 질병들의 기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여 노화, 암15), 면역저하16,17)의 매개자 역할을 한다. 최근 ROS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간, 신장 등의 인체 기관에 미치는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18,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J.I., Han, E.D., See, S.T. and Park, H.W.: Study on the evaluation of oil quality and the differenc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varieties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bar. japonica Hara.). Korean J. Breed, 18, 228-233 (1986). 

  2. Hyun, K.W., Kim, J.H., Song, K.J., Lee, J.B., Jang, J.H., Kim, Y.S. and Lee, J.S.: Physioloical functionality in heumsan Perilla leaves from green house and field cultivation. Korean J. Food. Sci. Food Sci. Nutr, 35, 975-979 (2003). 

  3. Kim, M.K., Lee, H.S., Kim, E.J.. Won, N.H., Chi, Y.M., Kim, B.C. and Lee, K.W.: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in rats. Food Chem. Toxicol, 45(9), 1738-1744 (2007). 

  4. Park, H.Y., Nam, M.H., Lee, H.S., Jun, W., Hendrich, S. and Lee, K.W.: Isolation of caffe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and its role in enhancing gamma-glutamylcysteine synthetase activity and glutathione level. Food Chem, 119(2), 724-730 (2010). 

  5. Nardini, M., Natella, F., Gentili, V., Di Felice, M. and Scaccini, C.: Effect of caffeic acid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rat: An in vivo study. Arch. Biochem. Biophys, 342(1), 157-160 (1997). 

  6. Fesen, M.R., Pommier, Y., Leteurtre, F., Hiroguchi, S., Yung, J. and Kohn, K.W.: Inhibition of Hiv-1 Integrase by Flavones,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and Related-Compounds. Biochem. Pharmacol, 48(3), 595-608 (1994). 

  7. Johnson, A.A., Marchand, C. and Pommier, Y.: HIV-1 integrase inhibitors: A decade of research and two drugs in clinical trial. Curr. Top. Med. Chem, 4(10), 1059-1077 (2004). 

  8. Yang, S.Y., Hong, C.O., Lee, H., Park, S.Y., Park, B.G. and Lee, K.W.: 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treated with sucrose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in vitro and in vivo. Food Chem, 133(2), 337-343 (2012). 

  9. Lee, K.J., Choi, C.Y., Chung, Y.C., Kim, Y.S., Ryu, S.Y., Roh, S.H. and Jeong, H.G.: Protective effect of saponins derived from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tert-butyl hydroperoxide- induced oxidative hepatotoxicity. Toxicol Lett, 147(3), 271-282 (2004). 

  10. Liu, C.L., Wang, J.M., Chu, C.Y., Cheng, M.T. and Tseng, T.H.: In vivo protective effect of protocatechuic acid on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rat hepatotoxicity. Food Chem. Toxicol, 40(5), 635-641 (2002). 

  11. Rush, G.F., Gorski, J.R., Ripple, M.G., Sowinski, J., Bugelski, P. and Hewitt, W.R.: Organic Hydroperoxide-Induced Lipid-Peroxidation and Cell-Death in Isolated Hepatocytes. Toxicol. Appl. Pharm, 78(3), 473-483 (1985). 

  12. Valentao, P., Carvalho, M., Carvalho, F., Fernandes, E., das Neves, R.P., Pereira, M.L., Andrade, P.B., Seabra, R.M. and Bastos, M.L.: Hypericum androsaemum infusion increases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mice hepatotoxicity in vivo. J. Ethnopharmacol, 94(2-3), 345-351 (2004). 

  13. Yen, G.C., Yeh, C.T. and Chen, Y.J.: Protective effect of mesona procumbens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acute hepatic damage in rats. J. Agr. Food Chem, 52(13), 4121-4127 (2004). 

  14. Liochev, S. and Fridovich, I.: Superoxide is responsible for the vanadate stimulation of NAD(P)H oxidation by biological membranes. Arch. Biochem. Biophys, 263(2), 299-304 (1988). 

  15. Feig, D.I., Reid, T.M. and Loeb, L.A.: Reactive Oxygen Species in Tumorigenesis. Cancer Res, 54(7), 1890s-1894s (1994). 

  16. Chapple, I.L.C.: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s in inflammatory diseases. J. Clin. Periodontol, 24(5), 287-296 (1997). 

  17. Wiseman, H. and Halliwell, B.: Damage to DNA by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Role in inflammatory disease and progression to cancer. Biochem. J, 313, 17-29 (1996). 

  18. Poli, G.: Pathogenesis of liver fibrosis: role of oxidative stress. Mol. Aspects Med, 21(3), 49-98 (2000). 

  19. Forbes, J. M., Coughlan, M.T. and Cooper, M.E.: Oxidative stress as a major culprit in kidney disease in diabetes. Diabetes, 57(6), 1446-1454 (2008). 

  20. Lee, Y.T., Chiang, L.Y., Chen, W.J., and Hsu, H.C.: Watersoluble hexasulfobutyl[60]fullerene inhibit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 aqueous and lipophilic phases. P. Soc. Exp. Biol. Med, 224(2), 69-75 (2000). 

  21. Reitman, S. and Frankel, S.: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Am. J. Clin. Pathol, 28(1), 56-63 (1957). 

  22. Kaczor, J.J., Ziolkowski, W., Popinigis, J. and Tarnopolsky, M.A.: Anaerobic and aerobic enzyme activities in human skeletal muscle from children and adults. Pediatr. Res, 57(3), 331-335 (2005). 

  23. Yadav, P., Sarkar, S. and Bhatnagar, D.: Action of Capparis decidua against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diabetes in rat tissues. Pharmacol. Res, 36(3), 221-228 (1997). 

  24. Townsend, D.M., Tew, K.D. and Tapiero, H.: The importance of glutathione in human disease. Biomed. Pharmacother, 57(3-4), 145-155 (2003). 

  25. Mitchell, J.R., Jollow, D.J., Potter, W.Z., Gillette, J.R. and Brodie, B.B.: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Necrosis. IV. Protective Role of Glutathione. J. Pharmacol. Exp. Ther, 187(1), 211-217 (1973). 

  26. Recknage, R.O.: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Pharmacol. Rev, 19(2), 145-208 (1967). 

  27. Singal, P.K., Beamish, R.E. and Dhalla, N.S.: Potential Oxidative Pathways of Catecholamines i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s and Genesis of Heart-Disease. Adv. Exp. Med. Biol, 161, 391-401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