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폭 함수를 기반으로 한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Parameters Estimation of Clark Model based on Width Fun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6, 2013년, pp.597 - 611  

박상현 (금강유역환경청 측정분석과) ,  김주철 (충남대학교 국제수자원연구소) ,  정관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Clark 모형의 시간-면적곡선의 구성 방법과 적용성을 검토하고 모멘트 원리에 의한 도달시간, 저류상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고찰해 보았다. 격자 기반으로 폭 함수를 구성하고 운동과정을 순수 이류현상으로 가정하여 시간-면적곡선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도달시간과 저류상수는 모멘트 법의 원리에 따라 Clark 모형 구조에 적용하여 해석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적용성 검토를 위해 (1) HEC-1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좌우 대칭형상인 무차원 시간-면적곡선을 적용하고 매개변수 산정은 관측유출수문곡선과 계산된 유출수문곡선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HEC-1의 최적화 기법 사용, (2) HEC-1에 폭 함수 기반의 시간-면적곡선을 적용하고 매개변수 산정은 HEC-1의 최적화 기법 사용, (3) 폭 함수 기반의 시간-면적곡선을 이용하여 모멘트 원리에 따라 매개변수를 직접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방법별로 산정된 Clark 모형의 매개변수들을 HEC-1을 이용하여 직접유출량을 산정하고 관측 직접유출량과 비교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산정한 첨두유량과 첨두발생 시간의 상대오차 및 효율계수 E(Efficiency Coefficient)를 비교한 결과, 시간-면적곡선을 폭 함수로 대체하여 HEC-1으로부터 추정된 매개변수가 관측값을 잘 반영하였다. (2) Clark 모형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HEC-1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좌우 대칭형상인 무차원 시간-면적곡선보다는 적용 대상유역의 배수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된 시간-면적곡선의 사용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 본 연구 방법은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의 상대오차 범위와 재현정도를 나타내는 효율계수를 비교하여 볼 때 대체로 양호하게 모의되었고, 대상유역별 유량측정성과인 하천평균유속과 비교했을 때 본 연구 방법이 다소 실제 유속에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 본 연구에서 모멘트 원리를 기반으로 제안한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방법은 유역의 이류현상과 저류현상을 정량적으로 계량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계식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 본 방법에 의해 계산된 수문곡선이 대부분 관측수문곡선의 우측으로 왜곡되고 첨두유량은 과소평가 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평균과 분산만을 고려하여 유역을 하나의 평균이송속도로 모의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판단된다. 만약 모멘트의 왜곡도를 고려하고 유역을 지표면과 하천으로 나누어 평균이송속도를 모의한다면 물리적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매개변수를 추정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of time-area curve via the width function and thereby rational estimation of time of concentration and storage coefficient of Clark model within the framework of method of moments. To this end time-area curve is built by rescaling the grid-bas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면적곡선의 구성 방법과 적용성을 검토하고 도달시간, 저류상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역 내에서 이류현상을 나타내는 시간-면적곡선은 Meas and Mifflin (1986)이 제안한 폭 함수를 기반으로 구성한다.
  • 이에 Clark 모형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적용 대상유역의 배수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된 시간-면적곡선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배수 구조를 나타내는 폭 함수를 이용하여 시간-면적곡선을 구성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의 폭 함수 W(x)는 유역 각 격자 중심에서 유역출구점까지의 유하거리를 의미하는 흐름경로길이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 Kim (2005)은 강우에 대한 유역의 유출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서 개념적 모형이 사용된다면 개념적 모형의 선택과 함께 이 모형을 위한 매개변수의 값들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고, 모형이 무작위하게 선택되고 유출의 적합도에 근거하여 시행착오적으로 매개변수가 산정된다면 접근 방법은 고전적 단위도보다 훨씬 주관적이 될 수 있음을 밝힌바 있다. 또한 모형에 의한 출력의 짜맞추기는 단위도가 실제의 단위도와 아주 근사하게 닮았다는 어떤 보증도 하지 못하고, 만약 신뢰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그 과정의 모든 단계는 가능한 객관적이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모멘트는 개념적 모형의 매개변수의 적절한 값의 결정과 모형들의 비교를 위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고(Kim, 2005), Nash (1960)는 직접유출과 이에 해당되는 유효우량의 모멘트로부터 IUH의 통계학적 모멘트가 결정될 수 있음을 밝힌바 있다.
  • 본 연구에서는 Clark 모형의 시간-면적곡선의 구성 방법과 적용성을 검토하고 모멘트 원리에 의한 도달시간, 저류상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고찰해 보았다. GIS를 이용하여 격자별 흐름경로길이를 계산하고 이것으로부터 산정된 격자 기반의 폭 함수를 시간-면 적곡선으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시간-면적곡선의 구성 방법과 적용성을 검토하고 저류상수와 도달시간에 대한 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12)은 도달시간과 저류상수를 동일한 조건으로 가정하여 시간-면적곡선의 형상에 따라 수문학적 응답함수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바 있다. 이에 Clark 모형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신뢰성 있는 추정뿐만 아니라 적용 대상유역의 배수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된 시간-면적 곡선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시간-면적곡선의 형상에 따라 첨두시간, 첨두유출량과 폭의 형태가 다른 특성을 갖는 순간단위도가 나타나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Clark 모형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적용 대상유역의 배수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된 시간-면적곡선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배수 구조를 나타내는 폭 함수를 이용하여 시간-면적곡선을 구성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유역의 유출응답특성은 주로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자연유역의 유출응답특성은 주로 이류효과(translation effect)와 저류효과(storage effect)로 구분되어진다. 유역의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이나 저류상수(storage coefficient)와 같은 시간응답특성으로 대표되는 이들 두 성분은 합리식(rational method)을 필두로 한 대부분의 수문학적 강우-유출모형들의 이론적 토대를 이룬다(Dooge, 1973).
순간단위도는 어떤 개념들을 결합한 것인가? 유역의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이나 저류상수(storage coefficient)와 같은 시간응답특성으로 대표되는 이들 두 성분은 합리식(rational method)을 필두로 한 대부분의 수문학적 강우-유출모형들의 이론적 토대를 이룬다(Dooge, 1973).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로서 Clark (1945)은 시간-면적곡선(time-area curve)과 선형저수지 (linear reservoir)에 대한 개념을 결합하여 순간단위도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의 개념을 수립한 바 있다. 이후 이를 기원으로 하여 선형수로(linear channel)와선형저수지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각종 순간단위도 모형들이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제안되어 왔다(Edson, 1951; O'Kelly, 1955; Nash, 1957; Dooge, 1959; Singh, 1962; Diskin, 1964).
Clark 모형의 시간-면적곡선의 구성 방법과 적용성을 검토하고 모멘트 원리에 의한 도달시간, 저류상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고찰한 실험 결과는 무엇인가? 1) 방법별로 산정된 Clark 모형의 매개변수들로부터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산정한 첨두유량과 첨두발생 시간의 상대오차, 평균제곱근오차 및 효율계수 E (Efficiency Coefficient)를 비교한 결과, 시간-면적 곡선을 폭 함수로 대체하여 HEC-1으로부터 추정된 매개변수가 관측값을 잘 반영하였다. 2) Clark 모형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HEC-1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좌우 대칭형상인 무차원 시간-면적곡선보다는 적용 대상유역의 배수구조가 적절 하게 반영된 시간-면적곡선의 사용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3) 본 연구 방법은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의 상대오차 범위와 재현정도를 나타내는 효율계수를 비교하여 볼때 대체로 양호하게 모의되었고, 대상유역별 유량측정성과인 하천평균유속과 비교했을 때 본 연구 방법이 다소 실제 유속에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 Clark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할 때 폭 함수 W(x)를 기반으로 정의되는 재조정된 폭 함수 w(t)에 따라 유역의 이류현상과 저류현상을 정량적으로 계량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계식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 본 방법에 의해 계산된 수문곡선이 대부분 관측수문 곡선의 우측으로 왜곡되고 첨두유량은 과소평가 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평균과 분산만을 고려 하여 유역을 하나의 평균이송속도로 모의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판단된다. 6) 본 연구에서는 유출의 적합도에 근거하여 시행착오 적으로 매개변수을 산정한 것이 아닌 Clark 모형의 적용에 있어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폭 함수와 모멘트 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였다. 제안된 모멘트 법을 왜곡도를 고려하여 유역을 지표면과 하천으로 나누어 평균이송속도를 모의한다면 유역 전체를 하나의 평균이송속도로 모의하는 것 보다는 좀 더 자연 현상에 가까운 유출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이론적근간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제 유출 모의에 있어 더 물리적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산정된 매개변수는 객관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lark, C.O. (1945).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10, pp. 1419-1416. 

  2. Di Lazzaro, M. (2009). "Regional analysis of storm hydrographs in the rescaled width function framework." Journal of Hydrology, Vol. 373, pp. 352-365. 

  3. Diskin, M.H. (1964). A basic study of the linearity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in watersheds. Ph.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l. 

  4. Dooge, J.C.I. (1959). "A general theory of the unit hydrograph."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4, pp. 241-256. 

  5. Dooge, J.C.I. (1973). Linear theory of hydrologic systems. Technical Bulletin 1468,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6. Edson, C.G. (1951). "Parameters for relating unit hydrographs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32, No. 4, pp. 591-596. 

  7. Jeong, D.M., and Bae, D.H. (2003). "Analysis of Time-Area Curve Effects on Watershed Runoff."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2, pp. 211-221. 

  8. Kim, J.C., Kang, J.W., Son, M.W., and Jung, K.S. (2012). Response Analysis of Clark Model in accordance with Shape of Time-Area Curve. KSCE Conference and Civil Expo 2012,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9. Kim, J.H. (2005). Mathematical Models for Hydrologic Systems based on the Linear Theory. Saeron, pp. 32-33. 

  10. Kim, J.H., and Yoon, S.Y. (1993). "Derivation of the Basi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Considering the Network Geometry and Hillslope of Small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3, No. 2, pp. 161-171. 

  11. Lee, J.S. (1994). A Comparative Study of Conceptual Models for Rainfall-Runoff Relationship. International Hydrologic Programme (IHP) Research Paper,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pp. 6.1-6.86. 

  12. Lienhard, J.H. (1964). "A statistical mechanical prediction of the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9, No. 24, pp. 5231-5238. 

  13. Mesa, O.J., and Mifflin, E.R. (1986). On the relative role of hillslope and network geometry in hydrologic response. Scale Problems in Hydrology, Dordrecht, Holland, pp. 181-190. 

  14.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7, 2009, 2010). Annual Hydrological Report on Korea. 

  15.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Hydrological Survey Report. 

  16.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1-2005). International Hydrologic Programme (IHP) Research Paper. 

  17. Nash, J.E. (1957). "The form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Proceedings IASH Assemblee Generale de Toronto, Vol. 3, pp. 114-121. 

  18. Nash, J.E. (1960). "A unit hydrograph stud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British catchments." Proceeding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Vol. 17, pp. 249-282. 

  19.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n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20. O'Kelly, J.J. (1955). "The employment of unit hydrographs to determine the flows of Irish arterial drainage channels." Proceeding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Vol. 4, No. 3, pp. 365-412. 

  21. Rinaldo, A., Vogel, G.K., Rigon, R., and Rodriguez-Iturbe, I. (1995). "Can one gauge the shape of basi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4, pp. 1119-1127. 

  22. Rodrigueze-Iturbe, I., and Valdes, J.B.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20. 

  23. Rodriguez-Iturbe, I., and Rinaldo, A. (2003). Fractal river basins, Chance and self-organization. Cambridge. 

  24. Seong, K.W. (1999). "Analysis of the Clark Model Using the Similarity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2, No. 4, pp. 427-435. 

  25. Seong, K.W. (2003). "An Indirect Approach Determining Parameters of Clark's Model Based on Model Fitting to the Gamma Distribution Func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2, pp. 223-235. 

  26. Singh, K.P. (1962). A non-linear approach to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Ph.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Ill. 

  27. Smart, J.S. (1972). "Channel networks." Advanced in Hydroscience, Vol. 8, pp. 305-346. 

  28.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http://www.wamis.go.kr). 

  29. Yoo, C.S. (2009). "A Theoretical Review of Basin Storage Coefficient and Concentration Time Using the Nash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3, pp. 235-246. 

  30. Yoo, C.S., and Shin, J.W. (2010). "Decision of Storage Coefficient and Concentration Time of Observed Basin Using Nash Model's Structur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No. 6, pp. 559-569. 

  31. Yoon, S.Y., and Hong, I.P. (1995). "Improvement of the Parameter Estimation Method for the Clark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5, No. 5, pp. 1287-1300. 

  32. Yoon, T.H., Kim, S.T., and Park, J.W. (2005). "On Redefining of Parameters of Clark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5, No. 3B, pp. 181-187. 

  33. Zoch, R.T. (1934), "On the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stream flow." Monthly Weather Review, Part I (62), 315-322 

  34. Zoch, R.T. (1936), "On the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stream flow." Monthly Weather Review, Part II (64), 105-121 

  35. Zoch, R.T. (1937), "On the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stream flow." Monthly Weather Review, Part III (65), 135-1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