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보리와 귀리를 이용한 당뇨환자용 즉석죽의 당뇨 개선효과

Instant Gruel from Colored Barley and Oats for Improving Diabetic Conditions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885 - 891  

이창현 (우석대학교 한의예과) ,  김재주 (농업회사법인 청맥(주)) ,  권진 (한국재활복지대학 의료보장구과) ,  윤영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색보리와 귀리를 이용한 당뇨환자용 즉석죽의 당뇨 개선 효과를 in vivo를 통하여 확인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ype II 당뇨병 모델 생쥐(C57BLKS/J lar-$+Lepr^{db}/+Lepr^{db}$)의 실험종료 후 혈당의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426.0{\pm}15.4$ mg/dL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352{\pm}12.2$ mg/dL로 약 17.4% 감소하였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시킨 당뇨병 모델 SD계 rat의 실험종료 후 혈당의 농도는 대조군에서 $514.0{\pm}17.6$ mg/dL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296.4{\pm}13.2$ mg/dL로 42.3% 감소하였다. Type II 당뇨병 모델 생쥐의 혈중내 인슐린 농도는 대조군에서 $7.9{\pm}0.5$ ng/mL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12.8{\pm}1.1$ ng/mL로 약 38.3% 증가하였다. Type II 당뇨병 모델 생쥐의 췌도 내 인슐린 분비세포와 glucagon like peptide-1 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은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췌도 내 인슐린 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이 강하게 관찰되었고, streptozotocin으로 유발시킨 당뇨병 모델 SD계 rat의 췌도 내 인슐린 분비세포 및 glucagon like peptide-1 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 또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인슐린 분비세포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이 강하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당뇨환자용 즉석죽은 당뇨병 유발 쥐들에서 췌도 내 인슐린 분비세포 기능의 활성화를 통한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혈당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bilities of instant gruel manufactured with colored barley and oats to improve diabetic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diabetes-induced mice and rats. Mice or rats were divided into a diabetic control group and one experimental group (seven animals per group). The control groups were f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β-glucan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유색보리와 귀리를 이용하여 당뇨환자용 즉석죽을 제조하고, 제조된 즉석죽을 Type Ⅱ 당뇨병 모델 생쥐와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흰쥐에 급여하여 당뇨환자용 즉석죽의 당뇨개선 효과를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색보리가 함유하고 있는 색소는? 보리의 배유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다당류로 알려진 β-glucan은 체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질환을 예방하고,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과 관련된 증상을 완화시켜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이 중 유색보리는 cyanidin과 delphinidin의 anthocyanin 계통의 천연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일반 보리보다 항산화 성분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9), 국내에서 개발된 다양한 품종의 유색보리에서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lecithin 산화 저해활성 및 라디칼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0). 이러한 anthocyanin은 천연식품에 존재하는 색소로 포도, 딸기, 과 채류, 자색고구마 및 붉은색 과일 등에 존재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 유색작물인 흑미와 검정콩에서의 anthocyanin은 항산화, 항돌연변이,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1).
유색보리도 다량 함유하고 있는 anthocyanin는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이 중 유색보리는 cyanidin과 delphinidin의 anthocyanin 계통의 천연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일반 보리보다 항산화 성분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9), 국내에서 개발된 다양한 품종의 유색보리에서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lecithin 산화 저해활성 및 라디칼 소거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0). 이러한 anthocyanin은 천연식품에 존재하는 색소로 포도, 딸기, 과 채류, 자색고구마 및 붉은색 과일 등에 존재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 유색작물인 흑미와 검정콩에서의 anthocyanin은 항산화, 항돌연변이, 항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1).
당뇨병은 어떤 합병증을 유발시키는가?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 패턴과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및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1), 당뇨병은 암, 뇌혈관질환 및 심장질환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 사망원인으로 현재 우리나라 인구의 10% 정도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당뇨병은 당질대사 이상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만성적인 고혈당에 의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대사장애를 비롯하여 당뇨병성 망막병증, 신장 기능장애 및 동맥경화증 등과 같은 2차 합병증을 유발시킨다(3). 현재 당뇨병 치료에 대한 근원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환자의 혈당을 정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h HG, Kang YR, Kim HJ, Moon DJ, Seo MY, Park SH, Choi KH, Kim CR, Kim SH, Oh JH, Kim SY, Kim MG, Chae SW, Kim OJ, Lee HY. 2012. Hypoglycemic effects of Smallanthus sonchifolius (Yacon) extracts on animal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59-765. 

  2. Kim MA, Son HU, Yoon EK, Choi YH, Lee SH. 2012. Comparison of anti-diabetic activities by extracts of grape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9: 400-405. 

  3. Abrams JJ, Ginsberg H, Grundy SM. 1982.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Diabetes 31: 903-910. 

  4. Koivisto VA. 1993. Insulin therapy in type II diabetes. Diabetes Care 16: 29-39. 

  5. Kim JW, Cha JY, Heo JS, Jin HJ, Cho YS. 2008. Hypoglycemic effect of Chlorella sp. CMS-1 hot water extrac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Life Sci 18: 1584-1591. 

  6. Koh JB. 1998. effect of raw soy flour (yellow and black) on serum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13-318. 

  7. Park SM, Choi YM, Kim YH, Ham HM, Jeong HS, Lee JS. 2011. Antioxidant content and activity in m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bar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43-1047. 

  8. Kalra S, Jood S. 2000. Effect of dietary barley ${\beta}$ -glucan on cholesterol and lipoprotein fractions in rats. J Cereal Sci 31: 141-145. 

  9. Kim MJ, Hyun JN, Kim JA, Park JC, Kim MY, Kim JG, Lee SJ, Chun SC, Chung IM. 2007. Relationship between phenolic compounds, anthocyanin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olored barley germplasm. J Agric Food Chem 55: 4802-4809. 

  10. Song ES, Park SJ, Woo NRA, Won MH, Choi JS, Kim JG, Kang MH. 2005.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91-1497. 

  11. Choi JS, Park SJ, Joung YM, Kim JG, Won MH, Kang MH.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eding lines of colored barleys. Korean J Crop Sci 5: 125-132. 

  12. Holst JJ, Vilsboll T, Deacon CF. 2009. The incretin system and its rol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Mol Cell Endocrinol 297: 127-136. 

  13. Holst JJ, Gromada J. 2004. Role of incretin hormones in the regulation of insulin secretion in diabetic and nondiabetic human human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87: E199-E206. 

  14. Ishihara H, Maechler P, Gjinovci A, Herrera PL, Wollheim CB. 2003. Islet ${\beta}$ -cell secretion determines glucagon release from neighboring ${\alpha}$ -cells. Nat Cell Biol 5: 330-335. 

  15.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4th ed. &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43, 46, 62-64, 399. 

  16. Hsu SM, Raine L, Fanger H. 1981. Use of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 in immunoperoxidase techniques: a comparison between ABC and unlabeled antibody (PAP) procedures. J Histochem Cytochem 29: 577-580. 

  17. Beppu H, Maruta K, Kurner T, Kolb H. 1987. Diabetogenic action of streptozotocin: essential role of membrane permeability. Acta Endocrinol (Copenh) 114: 90-95. 

  18. Furuse M, Kimura C, Mabayo RT, Takahashi H, Okumura J. 1993. Dietary sorbose prevents and improves hyperglycemia in genetically diabetic mice. J Nutr 123: 59-65. 

  19. Kim AR, Lee JJ, Cha SS, Chang HC, Lee MY. 2012. Effect of soybeans, Chunkukjang, and Doenjang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21-629. 

  20. Song JY, Yoon KJ, Yoon HK, Koo SJ. 2001. Effects of ${\beta}$ -glucan from Lentinus edodes and Hordeum vular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802-807. 

  21. Choi JM, Koo SJ. 2000. Effects of ${\beta}$ -glucan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db/db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18-1425. 

  22. Kim SR, Seog HM, Choi HD, Park YK. 2002. Cholesterollowering effects in rat liver fed barley and ${\beta}$ -glucan-enriched barley fraction with choleste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19-324. 

  23. Hong JS, Lee KR, Kim YH, Kim DH, Kim MK, Kim YS, Yeo KY. 198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606-612. 

  24. Suga T, Shiio T, Maeda YY, Cjihara G. 1984. Antitumor activity of lentinan in murine syngenic and autochthonous hosts and its suppressive effect 3-methylcholanthrene-induced carcinogenesis. Cancer Res 38: 5132-5137. 

  25. Hamuro J, Rollinghoff M, Wagner H. 1978. ${\beta}$ (1 ${\rightarrow}$ 3) glucan-mediated augmentation of alloreactive murine cytotoxic T-lymphocytes in vivo. Cancer Res 38: 3080-3085. 

  26. Oh HJ, Lee SR. 1996.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 -glucan isolated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89-695. 

  27. Holst JJ. 1997. Enteroglucagon. Annu Rev Physiol 59:257-271. 

  28. Liu C, Zhang M, Hu MY, Guo HF, Li J, Yu YL, Jin S, Wang XT, Liu L, Liu XD. 2013. Increased glucagon-like peptide-1 secretion may be involved in antidiabetic effects of ginsenosides. J Endocrinol 217: 185-196. 

  29. Kreymann B, Williams G, Ghatei MA, Bloom SR. 1987. Glucagon-like peptide-1 7-36: a physiological incretin in man. Lancet 2: 1300-1304. 

  30. Gao M, Tong Y, Li W, Gao X, Yao W. 2013. Improving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GLP-1 by fusion with globular adiponectin. Artif Cells Nanomed Biotechnol 41: 159-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