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부위별 효소저해활성
Enzyme Inhibition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ing Rough Rice (Oryza sativar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6, 2013년, pp.917 - 923  

김민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귀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혜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신제 ((주)에프앤피 중앙연구소) ,  이연리 (대전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부위별 벼 추출물에 대한 다양한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발아된 벼는 왕겨+싹 부위와 현미로 나누어 80% ethanol로 환류 추출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왕겨+싹 추출물에서 발아 전 26.32%에서 발아 5일차 39.38%로 증가하였으며,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왕겨+싹 추출물에서 발아 전 59.98%에서 발아 5일차 75.32%로 증가하였고, DPP-4 저해활성 또한 왕겨+싹 추출물에서 발아 전 38.80%에서 발아 5일차 47.77%로 증가하여 발아에 의해 효소활성 저해가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왕겨+싹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Lipase 저해활성은 발아 4일차 왕겨+싹 추출물이 36.78%로 무발아 31.72%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벼를 발아시킬 경우 왕겨+싹에서 성인병 관료 효소를 억제하는 성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에 어떠한 성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zym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the different parts of rough rice (Oryza sativar L.) from its germination period. Rough rice was germinated at $37^{\circ}C$ for 6 days, then separated into hull+sprout and brown rice. ${\alpha}$-G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아시킨 벼에 대하여 발아기간과 부위에 따른 다양한 효소활성 억제효과의 변화를 살펴보고, 적절한 발아기간과 부위를 선정하여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부위별 벼 추출물에 대한 다양한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발아된 벼는 왕겨+싹 부위와 현미로 나누어 80% ethanol로 환류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벼는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이며, 벼를 도정한 쌀은 세계적인 주요한 당질 급원으로 아시아와 같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에서 중요한 주곡작물이다(5). 벼는 80%의 현미와 20%의 왕겨로 구성되어 있으며(6), 현미에 약 8% 정도 존재하는 미강은 현미를 도정할 때 얻어지는 부산물로써 식이섬유, 비타민류,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그 외에 phytic acid, γ-oryzanol, arabinoxylan 및 GABA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7).
미강은 무엇인가? 벼는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이며, 벼를 도정한 쌀은 세계적인 주요한 당질 급원으로 아시아와 같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에서 중요한 주곡작물이다(5). 벼는 80%의 현미와 20%의 왕겨로 구성되어 있으며(6), 현미에 약 8% 정도 존재하는 미강은 현미를 도정할 때 얻어지는 부산물로써 식이섬유, 비타민류,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그 외에 phytic acid, γ-oryzanol, arabinoxylan 및 GABA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7).
실험에 사용된 벼를 발아시키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 Seoul, Korea)로 발아시켰다. 발아 온도는 37℃, 습도는 85%를 유지시키면서 발아시켰고 물은 1일 1회씩 교환해주었으며, 1일 3회씩 10분간 물주기를 하면서 발아시켰다. 발아기간은 1일에서 6일로 하였고, 발아시키지 않은 벼를 대조구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ae JW, Park HJ, Kang SA, Cha WS, Ahn DH, Cho YJ. 2012.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mulberry fruits (Morus alba L.) on related enzymes to adult disease. J Life Sci 22:920-927. 

  2.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2007.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Seoul, Korea. p 10-11. 

  3. Egede LE, Ellis C. 2010. Diabetes and depression: global perspectives. Diabetes Res Clin Pract 87: 302-312. 

  4.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5. Lee JH, Jeong OY, Lee KS, Kim HY, Yang CI, Lee SB, Choi YH, Kim YG, Lee YT. 2008. Breeding for micronutrient-enriched japonica rice for improving human health. Treat of Crop Res 9: 97-108. 

  6. Kim LS, Son YK, Son JR, Hur HS.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221-228. 

  7.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Yook HS, Byun MW, Lee SC. 2002.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arley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46-250. 

  8.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9.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8-1135. 

  10.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121-129. 

  11. Chung DS, Kim HK. 1998.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Korean J Life Sci 8: 318-325. 

  12.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13. Kang BR, Park MJ, Lee HS. 2006.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14. Choi HD, Kim YS, Choi IW, Seog HM, Park YD. 2006. Anti-obesity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in rats fed with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74-678. 

  15. Kim HY, Hwang IG, Joung EM, Kim TM, Kim DJ, Park DS, Lee JS,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25-330. 

  16. Kim HY,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K, Kim DJ, Lee YR, Lee JS, Jeong H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65-1270. 

  17. Kim HY,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H, Kim DJ, Lee JS, Jeong HS. 2011.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y on different parts of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75-780. 

  18.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19.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 103-108. 

  20. Kwon EK, Kim YE, Lee CH, Kim HY. 2006.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91-698. 

  21.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3. 

  22. Kim JH, Kim HJ, Kim C, Jung H, Kim YO, Ju JY, Shin CS. 2007. Development of lipase inhibitors from various derivatives of monascus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fermentation. Food Chem 101: 357-364. 

  23. Gua J, Jin YS, Han W, Shim TH, Sa JH, Wang MH. 2006.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tioxidative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Equisetum arven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77-81. 

  24. Randhir R, Kwon YI, Shetty K. 2009. Improved health-relevant functionality in dark germinated Mucuna pruriens sprouts by elicitation with peptide and phytochemical elicitors. Bioresour Technol 100: 4507-4514. 

  25. Jang YS, Jeong JM. 2010. Antioxidative effects and digestive enzyme inhibition of grape seed extract (G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83-788. 

  26. Randhir R, Shetty K. 2004. Mung beans processed by solid- state bioconversion improves phenolic content and functionality relevant for diabetes and ulcer management. Innov Food Sci Emerg 8: 197-204. 

  27. Park HJ, Lee OS, Lim SC. 2012. Sitagliptin and vildagliptin use evaluation among 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in adult Korean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Yakhak Hoeji 56: 136-143. 

  28. Noh H, Song KB. 2001.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Oenathe javanic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4: 98-99. 

  29. Oh SJ, Kim SH, Kim SK, Baek YJ, Cho KH. 1997. K-casein fragments hydrolyzated by chymosin, pepsin and trypsin.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7: 230-234. 

  30. Cho YJ, Chun SS, Choi C. 1993.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J Korean Soc Food Nutr 22: 418-422. 

  31. Hatano T, Yasuhara T, Yoshihara R, Okuda T, Ikegami Y, Matsuda M, Yazaki K, Agata I, Nishibe S, Noro T, Yoshizaki M, Okuda T. 1991. Inhibitory effects of galloylated flavonoids on xanthine oxidase. Planta Med 57: 83-84. 

  32. Kim HY, Lee SH,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H, Kim DJ, Lee JS, Jeong HS.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19. 

  33. Park JA, Park C, Han MH, Kim BW, Chung YH, Cho YH. 2011.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1: 720-728. 

  34. Li H, Cho JY, Gao TC, Choi CR, Lee KD, Cho JE, Cho GS, Ham KS. 2008. Increment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germinated brown rice treated with chitosan and its effect on obesity of rat fe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85-9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