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삼을 식용유지별, 튀김온도별에 따라 수삼을 튀김한 후 수삼과 유지의 품질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식용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를 사용하였으며, 튀김수삼과 튀긴 후 식용유지의 산가, 과산화 물가 및 유리지방산가의 함량 변화와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반복적으로 튀긴 기름의 색도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튀김온도가 높을수록 튀김유의 산가 및 과산화 물가는 모두 증가하였다. 수삼채를 튀김할 경우 $18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2분30초 이내로 튀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30회간 반복 튀김하였을 경우 포도씨유가 16.7 meq/kg으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올리브유로 32.6 meq/kg이었다. 튀김수삼에서의 과산화물가는 옥수수유가 10.3 meq/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씨유가 4.7 meq/kg으로 가장 낮았다. 대두유, 옥수수유 및 포도씨유 모두 oleic acid와 linoleic acid, linoleic acid 등 불포화도가 있는 지방산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등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튀김수삼 내에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식용유지 중 올리브유가 가장 적게 생성되었고 옥수수유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반복적으로 튀김을 할 경우 대두유, 옥수수유 및 포도씨유의 색도의 변화는 밝기와 적색도는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올리브유는 밝기는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갈색화가 가장 심하게 나타난 튀김유는 옥수수유이었다. 점도는 반복적으로 튀김을 할 경우 옥수수유가 점도가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대두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는 110 cPs 이상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frying ginseng,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ginseng and different edible oils processed through frying ginseng: soybean oil (SO), corn oil (CO), olive oil (OO), and grape seed oil (GO). We tested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temperature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유지가열 시 튀김식품의 벤조피렌을 포함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검토한 연구보고도 있다(10,11,15-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튀김수삼의 소비촉진을 활성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삼을 식용유지별, 튀김온도 및 처리시간별, 반복횟수 별에 따라 튀김한 후 튀김수삼과 튀김유의 이화학적인 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류 제품의 소비확대의 원인은? 특히, 생산 품목 중 인삼제품류는 생산액 6,550억원으로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 60%로 최고의 점유제품으로 2000년 이후 매년 생산액이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 6년간 연속 생산 1위 품목에 해당된다. 인삼류 제품의 소비확대는 인삼이 가지고 있는 ginsenoside라는 사포닌이 인체 내에서 피로회복, 면역성 증진 및 혈행개선 효과 등의 생리기능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으로 인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인삼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조리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예전부터 인삼은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는 여름철 보양식으로 섭취되고 있는 삼계탕에 수삼이 이용되어오고 있지만(5), 최근에는 튀김 식품이 유지 특유의 풍부한 풍미와 조직감을 부여함으로써(6) 수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쓴맛을 완화시켜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튀김식품으로도 애용되어오고 있다.
인삼은 어떤 형태로 섭취되는가? 인삼류 제품의 소비확대는 인삼이 가지고 있는 ginsenoside라는 사포닌이 인체 내에서 피로회복, 면역성 증진 및 혈행개선 효과 등의 생리기능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으로 인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인삼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조리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예전부터 인삼은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는 여름철 보양식으로 섭취되고 있는 삼계탕에 수삼이 이용되어오고 있지만(5), 최근에는 튀김 식품이 유지 특유의 풍부한 풍미와 조직감을 부여함으로써(6) 수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쓴맛을 완화시켜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튀김식품으로도 애용되어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용유지는 지방질 식품과 함께 중요한 에너지원인 동시에 생리작용에 필요한 필수지방산을 공급해줌으로써 영양학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지만(7), 식용유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튀김식품은 고온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용유지는 자체적으로 산패되거나 또는 튀김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전분이나 단백질 성분 등이 기름의 산패를 가속화시켜 peroxides 및 free radicals을 생성하며, 또한 발암물질인 밴조피렌 등이 생성되기도 하므로(8-11) 식품을 튀김할 경우 튀김제품의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유지 및 튀김조건 등이 세밀히 검토되어져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른 인삼의 생산액과 그 추세는? 2%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생산 품목 중 인삼제품류는 생산액 6,550억원으로 전체 건강기능식품 중 60%로 최고의 점유제품으로 2000년 이후 매년 생산액이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 6년간 연속 생산 1위 품목에 해당된다. 인삼류 제품의 소비확대는 인삼이 가지고 있는 ginsenoside라는 사포닌이 인체 내에서 피로회복, 면역성 증진 및 혈행개선 효과 등의 생리기능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으로 인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인삼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조리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m KY. 1996. The new Korean ginseng (constituent and its pharmacological efficacy). Korea Ginseng & Tabac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p. 1-10. 

  2. Huang KC. 1993. The pharmacology of chienese herbs. CRC Press, Inc., New York, NY, USA. p. 11-23. 

  3. http://www.foodnara.go.kr/hfoodi/main/sub.jsp?pageCode254. 

  4. http://rndmoa.mfds.go.kr:9010/ma_static/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1&nttId47&bbsTyCodeBBST01&bbsAttrbCodeBBSA03&authFlag&pageIndex1#LINK. 

  5. Oh SY, Yoo IJ. 2001. A study on the developing direction of mew Samgye-tang produ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 103-109. 

  6. Jousse F, Agterof W, Jongen T, Koolschijn M, Visser A, Vreeker R. 2002. Flavor release from cooking oil during heating. J Food Sci 67: 2987-2996. 

  7. Son JY, Chung MS, Ahn MS. 1998.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Korean J Soc Food Sci 14: 177-181. 

  8. Kim YE, Kim IH, Lee YC, Jung SY, Jo JS. 1996. Changes in oxidative stability of the oil extracted from perilla seed roasted at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Agric Chem Biotechnol 39: 374-378. 

  9. Beveridge TH, Girard B, Kopp T, Drover JC. 2005. Yield and composition of grape seed oils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petroleum ether: varietal effects. J Agric Food Chem 53: 1799-1804. 

  10. Kim DS, Lee KB. 2009. Changes in benzo(a)pyre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corn oil. Korean J Food Preserv 16:75-81. 

  11. Lee JW, Park JW. 2010.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on stability of edible oils with frying number of french fried potato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11-1017. 

  12. Song YS, Jang M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sed frying oil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340-348. 

  13. Rho KA, Kim NY, Jang MS. 1998. Effect of frying methods of chicken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and fried chickens in the school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4: 99-108. 

  14. Yun GS, Kim NY, Jang MS. 2000.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in the schoo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Sci 16: 328-335. 

  15. Kim IS, Ahn MS. 1994.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benzo( a)pyrene in fats and oils by heat treatment (II). Korean J Soc Food Sci 10: 301-307. 

  16. Jo EJ, Ahn ES, Shin DH. 1997. Lipid and microbial changes of fried foods at market during storage. J Fd Hyg Safety 12: 47-54. 

  17. Park GY, Jung BK, Kim AK, Park KA, Cho SJ, Kwak JE, Chang MS, Bae CH, Chough NJ. 2004. Evaluation of the safety of fried-food in fast food store. J Fd Hyg Safety 19: 55-59. 

  18. AOCS. 1990.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10th ed. AOCS Official Method Cd 30-63.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icago, IL, USA. 

  19. AOCS. 1990.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10th ed. AOCS Official Method Cd 8-53.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icago, IL, USA. 

  20. Kim YJ, Lee KT. 2009. Evalu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fried-chicken sold in the market.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00-605. 

  21. Kim JM, Choi JH, Choi YS, Han DJ, Kim HY, Lee MA, Chung HK, Kim CJ. 2009. Effects of frying time and temperature on formation of acrylamide and sensory evaluation in french fr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71-475. 

  22. Ahn MS, Suh MS, Kim HJ. 2008. Measurement of trans fatty acid formation and degree of rancidity in fat and oils according to hea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Culture 23: 469-478. 

  23. Son JY, Chung MS, Ahn MS. 1998. The changes of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the frying oils during potato and chicken frying. Korean J Soc Food Sci 14: 177-181. 

  24. Sims RPH. 1962. Oxidatives polymerization. In Autooxidation and Autoxidants. Lundberg WO, ed. Interscience, New York, NY, USA. Vol II, p 632. 

  25. Choi EO, Lee JY. 1998.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88-292. 

  26. Mottram DS, Wedzicha BL, Dodson AT. 2002. Acrylamide is formed in the Maillard reaction. Nature 419: 448-449. 

  27. Spivey A. 2010. A matter of degrees: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acrylamide. Environ Health Perspect 118:A160-A167. 

  28. Kotsiou K, Tasioula-Margari M, Kukurova K, Ciesarova Z. 2010. Impact of oregano and virgin olive oil phenolic compoungs on acrylamide content in a model system and fresh potatoes. Food Chem 123: 1149-1155. 

  29. Yun GS, Kim NY, Jang MS. 2000.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in the school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Sci 16: 328-3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