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식육판매점의 우육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n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 of Raw Beef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3 no.3, 2013년, pp.403 - 410  

고은경 (옵티팜) ,  허은정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축산물기준과, 농축수산물정책과) ,  김영조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축산물기준과, 농축수산물정책과) ,  박현정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축산물기준과, 농축수산물정책과) ,  위성환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문진산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육 유통의 최종 단계인 식육판매점 중, 일반정육점, 백화점 내의 정육점, 그리고 대형할인점에서 판매되는 쇠고기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업소별 일반세균수를 비교해 보면 정육점은 평균 $4.4{\times}10^3$ CFU/g, 백화점은 $3.9{\times}10^5$ CFU/g, 대형할인점 $1.0{\times}10^4$ CFU/g로 나타났으며, 대장균수는 정육점 $6.4{\times}10$ CFU/g, 백화점 7.6 CFU/g, 대형할인점 $2.0{\times}10$ CFU/g 수준이었다. 식중독균 중 Salmonella spp.는 모든 업소에서 검출되지 않았지만 S. aureus는 총 3건 (6.25%)으로, 정육점, 백화점, 대형마트에서 각각 1건씩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는 백화점에서만 총 4건(8.3%)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미생물 오염수준은 모두 100 CFU/g 이하로 조사되었다. 식육에서 분리된 S. aureus의 enterotoxin type은 sea, seh, sei, sep형으로 나타났다. L. monocytogenes가 검출된 4개의 시료에서 9주가 분리되었으며, 이들 균주의 혈청형은 모두 1/2c로 조사되었으며, 2개 업소에서 분리된 3주와 5주에 대한 균주간 유전학적 상동성은 57.8-98.1%와 68.1-98.1%로 각각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식육판매점에서 유통되는 쇠고기에서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수가 기준치인 $1{\times}10^7$ CFU/g 및 $1{\times}10^3$ CFU/g 이하로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식육에서 문제시되는 식중독 세균인 S. aureus 및 L. monocytogenes가 일부 식육판매점에서 검출된 바, 이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칼과 도마 등의 이차오염 방지를 위한 작업환경 및 시설에 대한 세부적인 HACCP 관리기준 마련과 더불어 미생물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 of raw beef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Korea. The sampling and laboratory tes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Standard for processing and ingredients specification of livestock product" and "Korean foo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 우육을 판매하는 식육판매점에서 분리한 S. aureus 및 L. monocytogenes 균주가 유전학적 분석에 의하여 이들 균주 중 일부는 교차오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들 식중독 균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식육 원료를 포함하여 작업 도구 및 환경에서의 교차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위생관리와 철저한 검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서의 리스테리아증의 발병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혈청형을 조사한 바, 모든 균주가 1/2c로 동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Kang 등 (1991)이 국내에서 식육, 닭고기, 원유, 유가공장, 오수, 동물사료 및 동물체표 등에서 분리한 L.
  • 본 연구에서는 식육 유통의 최종 단계인 식육판매점 중, 일반정육점, 백화점 내의 정육점, 그리고 대형할인점에서 판매되는 쇠고기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업소별 일반세균수를 비교해 보면 정육점은 평균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축산식품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제도는 무엇이 있는가? , 2010). 국내에서도 축산식품의 안전성 제고를 위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1997년에 축산물 가공장에 HACCP 제도를 도입한 이래 축산물 생산 모든 단계(농장-사료-도축-집유-식육포장처리-가공-운반-보관-판매)에 HACCP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2008).
식중독을 야기할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은? 식육의 위해요소로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요인이 있지만, 최근에는 식품안전에 있어서 생물학적 위해요소가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 식육 중 문제가 되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로는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O157:H7 등이 있다. 이들 병원체들은 식육 또는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오염에 의하여 식중독을 야기할 수 있다(Borch and Arinder, 2002; Kim et al.
최근 세계 각국에서 식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수립한 전략은? 최근 국내외 식품에서 식중독 발생이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의 식품구매 패턴이 가격이나 품질보다는 위생과 안전에 우선을 두면서 농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생물 오염이 용이한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Hong and Na, 2010; Lee, 2007). 또한, 식품의 공급경로가 다양화되면서 식품사고가 발생할 경우 특정 집단, 특정 지역과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 또는 국민 전체에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가져오므로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식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생산단계에서부터 최종단계까지 관리하는 ‘Farm to Table’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lerberger, F. and Fritschel, S. J. (1999) Use of automated ribotyping of Austrian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to support epidemiological typing. J. Microbiol. Methods 35, 237-244. 

  2.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2011) Situation of HACCP system application. http://www. qia.go.kr/livestock/clean/listCpsyWebAction.do?clear1 

  3.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2008) Meat retail business HACCP manual (No. 11-1541002- 000045-01), pp. 8. 

  4.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Standards for Processing and Ingredients Specifications of Livestock Products,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Notification (No. 2011-43). 

  5. Borch, E. and Arinder, P. (2002) Bacteriological safety issues in red meat and ready-to-eat meat products, as well as control measures. Meat Sci. 62, 381-390. 

  6. Cho, J. S., Kim, Y. J., Kim, S. S., Do, J. C., Kim, S. H., Lee, Ch. W., Kim, I. S., and Jyeong, J. S. (2000) Survey on the contamination of listeria sp In meats which was collected in Kyongbuk province. Korean. J. Vet. Serv. 23, 341-348. 

  7. Farber, J. and Peterkin, P. (1991) Listeria monocytogenes a food-borne pathogen. Microbiol. Rev. 55, 476-511. 

  8. Hong, C. H. and Na, H. S. (2010) Comparative analysis for improving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HACCP prerequisite items in meat markets. Korean. J. Vet. Serv. 33, 393-399. 

  9. Jarraud, S., Peyrat, M. A., Lim, A., Tristan, A., Bes, M., Mougel, C., Etienne, J., Vandenesch, F., Bonneville, M., and Lina, G. (2001) egc, a highly prevalent operon of enterotoxin gene, forms a putative nursery of superantigens in Staphylococcus aureus. J. Immunol. 166, 669-677. 

  10. Jeon, H. C., Kim, J. E., Son, J. W., Chae, H. S., Jin, K. S., Oh, J. H., Shin, B. W., and Lee, J. H. (2011) Evaluation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status and sanitation practice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Korean. J. Vet. Serv. 34, 409-416. 

  11. Kang, H. J., Son, W. G., Kang, G. S., and Park, C. E. (1991) Characteristics of isolates and incid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aeces from animals, feeds and raw foods of animal origin 1. Incid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raw milk, beef, chicken meat and animal faeces. Kor. J. Vet. Publ. Hlth. 15, 231-237. 

  12. Kim, H. J., Park, S. H., and Kim, H. Y. (2006) Classific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from Korean Domestic Foods Using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and Serotyping Analysi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3-27. 

  13. Kim, H. W., Lee, J. Y., Hong, W. S., Hwang, S. M., Lee, V., Rhim, S. R., and Paik, H. D. (2010) Overview of real-time visibility system for food (Livestock products) transportation systems on HACCP application and systematization. Korean J. Food Sci. An. 30, 896-904. 

  14. Kim, J. Y., Lee, J. H., Gi, N. J., and Lee, J. H. (2005) Microbiological quality and det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slaughtered meat in Seoul area. Korean J. Vet. Serv. 28, 215-223. 

  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orean Food Standards Codex (No. 2011-76) No. 10. General method, 10-3-35. 

  16. Kwona, N. H., Kima, S. H., Parka, K. T., Baea, W. K., Kima, J. Y., Lima, J. Y., and Ahnb, J. S. (2004) Application of extended single-reaction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toxin typing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South Korea. Int. J. Food Microbiol. 97, 137-145. 

  17. Lee, B. O. (2007)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CCP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in Korea. Kor. J. Agric. Management Policy 34, 456-472. 

  18. Lee, J. Y., Paik, J. K., Hwang, H. S., Lee, J. E., Shin, W. S., Kim, H. W., Paik, H. D., and Hong, W. S. (2010) Survey of hygienic condition and management of meat marke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 - HACCP-certified and non certified. Korean J. Food Sci. An. 30, 336-344. 

  19. Lee, M. S., Woo, G. J., Park, J. S., Lee, D. H., and Oh, S. S. (2004) Guidelines for microbiological standards of food in foreign countries. J. Fd. Hyg. Safety 19, 140-150. 

  20. Letertre, C., Perelle, S., Dilasser, F., and Fach, P. (2003). A strategy based on 50 nuclease multiplex PCR to detect enterotoxin genes sea to sej of Staphylococcus aureus. Mol. Cell. Probes, 17, 227-235. 

  2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1) Guideline for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raw meat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Notification No. 2011-54, Section 11: Recommended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mornitoring. 

  2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6) Distribution condition survey of livestock and livestock products. 

  23. Newton, L., Hall, S. M., Pelerin, M., and McLauchlin, J. (1992) Listeriosis surveillance: 1991. PHLS. Commun. Dis. Rep, 2, 142-144. 

  24. Omoe, K., Ishikawa, M., Shimoda, Y., Hu, D. L., Ueda, S., and Shinagawa, K. (2002) Detection of seg, seh, and sei genes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and determination of the enterotoxin productivities of S. aureus isolates harboring seg, seh, or sei genes. J. Clin. Microbiol. 40, 857-862. 

  25. Orwin, P. M., Leung, D. Y., Donahue, H. L., Novick, R. P., and Schlievert, P. M. (2001). Bi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K. Infect. Immunol. 69, 360-366. 

  26. Park, S. D., Kim, Y. H., Koh, B. R. D., Kim, C. H., Yoon, B. C., and Kim, C. K. (2002)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level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beef distribution stages. Korean J. Vet. Serv. 25, 117-126. 

  27. Ra, I. T., Rhim, H. G., Jo, M. Y., Lee, Y. S., and Lee, B. D. (2002) Survey of microbiological quality and det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slaughted beef and pork products. Korean J. Vet. Serv. 25, 9-14. 

  28. Seeliger, H. P. R. and Hohne, K. (1979) Sero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related species. Method Microbiol. 13, 31-49. 

  29. Smerdon, W. J., Jones, R., McLauchlin, J., and Reacher, M. (2001) Surveillance of listeriosis in England and Wales 1995- 1999. Commun. Dis. Public Health 4, 188-193. 

  30. Wei, H. L. and Chiou, C. S. (2002) Molecular subtyping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an outbreak associated with a food handler. Epidemiol. Infect. 128, 15-20. 

  31. Williams, R. J., Ward, J. M., Henderson, B., Poole, S., O'Hara, B. P., Wilson, M., and Nair, S. P. (2000) Identification of a novel gene cluster encoding staphylococcal exotoxin-like proteins: Characterization of the prototypic gene and its protein product SET1. Infect. Immunol. 68, 4407-4415. 

  32. Youichi, O. and Minoru, M. (1997) Amino acid requirements for the growth and enterotoxin produc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in chemically defined media. Int. J. Food Microbiol. 36, 77-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