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서 학교급식의 수산물 기호도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of the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2, 2013년, pp.155 - 162  

오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정혜영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3 male/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like (47.2%)', 'fair (30.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수산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초등학생의 식생활 문제점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식습관을 바르게 형성해야 하는 이유는? 성장기인 아동기는 신체 발달과 성장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이 중요하며, 올바른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관리가 필요하다(Kim 등 1996; Koo 등 2006). 아동기의 식습관은 가정과 학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으며, 이 시기의 식습관과 영양 상태로 인한 건강의 변화는 청년기 및 성인의 건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아동기에 바람직한 식생활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Lifshitz 등 1993; Park 등 1998; Lee KA 2004; Koo 등 2006). 최근 우리나라의 식생활 패턴과 식품의 소비 형태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화적 및 경제적 요인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아동기의 식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회현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아동기의 식습관은 가정과 학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환경적 여건에 영향을 받으며, 이 시기의 식습관과 영양 상태로 인한 건강의 변화는 청년기 및 성인의 건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아동기에 바람직한 식생활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Lifshitz 등 1993; Park 등 1998; Lee KA 2004; Koo 등 2006). 최근 우리나라의 식생활 패턴과 식품의 소비 형태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화적 및 경제적 요인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여성의 취업 증가로 맞벌이 부모 증가, 아동의 학원 활동 및 결손가정의 증가로 인하여 아동들은 혼자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 불규칙한 식사를 하였으며(Choi NO 2001; Sung 등 2001; Kim JY 2006; Kim SH 2006; Oh 등 2010; Sung & Kwon 2010), 또한 잦은 결식, 가공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의 소비 증가, 외식 증가, 영양 과다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아동들의 영양적인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Ku & Lee 2000; Kim EK 2005; Yon 등 2008; Jeong & Kim 2009).
학교급식의 역할은? 학교급식은 성장기 아동들에게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양질의 식사를 제공하고, 영양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게 하여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므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영양정책으로 실시하고 있다(Park JK 1990; Lee 등 1995; Bak 등 1996; Mo 등 2001). 우리나라의 학교급식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며, 지방 단체는 각 광역시도 교육청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급식과 영양교육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 KB, Kim JS, Han JS, Huh SM, Suh BS. 1996.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b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Dietary Culture 11:22-35 

  2. Cho MY, Lee MJ, Lee YM. 2003. A study o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promotion of seafoo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Food Culture 18:139-150 

  3. Cho MY. 2000. Study on seafood using frequency and consumption promotion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MS Thesis, Yonsei Uni. Seoul. Korea 

  4. Choi NO. 2001. A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eat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the presence of other family members during mealtime.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Korea 

  5.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 Nutr 14:55-66 

  6. Kim EK. 2005.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 Nutr 6:905-920 

  7. Kim JY. 2006. Dietary assessment of the people eating alone. MS Thesis, Myongji Uni. Seoul. Korea 

  8. Kim OM. 2003. Research of preference survey and improvement of intake for meats and fishes in school food service. MS Thesis, Kongju Uni. Kongju. Korea 

  9. Kim SH, Yoo Ch, Kim SH, Lee SS, Kang MH, Jang MS. 1996.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pp.289-313. Shinkwang Book Company. Seoul. Korea 

  10. Kim SH. 2006. The Surprising Power of Family Meals (translated version). pp.28-44. English original written by Weinstein M. Hansmedia. Seoul. Korea 

  11. Kim SM. 2008.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preferences and consumption pattern of fish food products in Jeonbuk area. MS Thesis, Kunsan Uni. Kunsan. Korea 

  12. Koo JO, Lee JW, Choi YS, Kiom JH, Lee JY. 2006.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pp.270-300. Hyoilbooks. Seoul. Korea 

  13. Koo NS, Park CI. 1998.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 meal service in Daejon. Korean J Commu Nutr 3:440-453 

  14.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201-213 

  15. Lee HK. 2009.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seafood in Busan. MS Thesis, Pukyong Uni. Busan. Korea 

  16. Lee JS, Kim GS. 2000.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162-1168 

  17. Lee KA. 2004. Effects of mother's nutrition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their children's obesity inducing factor. Korean J Nutr 37:464-478 

  18. Lee MK. 2007. A comparison the preference of foods vegetables and fish by cook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rural and urban in Kyoung-Ki area. MS Thesis, Chung-Ang Uni. Seoul. Korea 

  19. Lee SY. 2008. A study on the sea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okpo, Jeonnam. MS Thesis, Mokpo Uni. Mokpo. Korea 

  20. Lee YN, Kim WG, Lee SK, Chung SJ, Choi KS, Kwon SJ, Lee EW, Mo SM. 1995.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lunch program in socioeconomically high apartment compound of Seoul. Korean J Nutr 25:644-652 

  21. Lifshitz F, Tarim O, Smith MM. 1993. Nutrition in adolescence.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2:673-683 

  22. Mo SM, Koo JO, Park YJ, Park YS, Son SM, Seo JS. 2001. Community Nutrition. pp.225. Kyomunsa. Seoul. Korea 

  23. Oh JY. 2007. A study on preference, intake frequency,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arine products wi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MS Thesis, Kosin Uni. Busan. Korea 

  24. Oh SH, Hyun WJ, Lee HM, Park HR, Lim HJ, Song KH. 2010.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Korean J Commu Nutr 15:498-506 

  25. Park GY. 2007. The pattern of family meal and nutrition intake of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in Incheon. MS Thesis, Kookmin Uni. Seoul. Korea 

  26. Park JK. 1990. The status of school food service program and its improvement proposal in Korea. Korean J Nutr 23:213-219 

  27. Park MA, Moon HK, Lee KH, Suh SJ. 1998. A study of related risk factors of obesity for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1:1158-1164 

  28. Sung CJ, Sung MK, Choi MK, Kang YL, Kwon SJ, Kim MH, Seo YL, Adachi M, Mo SM. 2001.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 Nutr 6:150-161 

  29. Sung SJ, Kwon SJ. 2010.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f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 Nutr 15:206-226 

  30. Yon MY, Han YH, Hyun TS. 2008.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 Nutr 13:307-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