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나리 발효액과 미나리 발효액을 이용한 식초의 특성 분석 및 glioma C6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Vinegar Using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amage in Rat Glioma C6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3, 2013년, pp.350 - 355  

김민주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최준혁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승혁 ((주)생생초) ,  김형대 (비슬청록농장) ,  방면호 (경희대학교 피부생명공학센터) ,  양선아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나리 천연 식초 및 원료로 사용된 미나리 발효액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미나리 식초의 뇌 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6 흰쥐 신경아교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미나리 식초는 약 5%의 초산을 함유하였으며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아 초산발효가 잘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높지 않았으나 그 중 aspartic acid, arginine 그리고 val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액에서는 aspartic acid, alanine, GABA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은 식초에서는 glutamic acid와 glutam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액의 경우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이 주요 총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미나리 식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초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식초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발효액과 식초 모두 C6 세포에 대한 독성은 없었으며 t-BHP$H_2O_2$에 의한 세포 생존율 저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FDE) and fermented dropwort vinegar (FDV) was assessed for free sugar, organic acid and free and total amino acid content. Major organic acids were lactic acid in FDE and acetic acid in FDV. Free sugars in FDE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those in FDV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보의 미나리 발효액의 간세포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37)에 이어서 미나리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미나리 식초의 기본적인 품질 특성 및 발효액 및 식초의 뇌신경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나리 천연 식초 및 원료로 사용된 미나리 발효액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미나리 식초의 뇌 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6 흰쥐 신경아교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미나리 식초는 약 5%의 초산을 함유하였으며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아 초산발효가 잘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요법에서 미나리의 잎은 무엇에 사용되었는가? 미나리의 잎에는 향기가 좋은 정유를 함유하고 있어 발한 작용 및 보온 작용이 있으며, 식욕을 촉진시켜 대장 활동을 도와 변비를 예방한다(32,33). 또한, 음주 후에는 숙독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기도 하며, 민간요법에서는 이질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35). 미나리의 독특한 향내의 원인인 정유의 주성분은 isoramnetin, α-pinene, myrecene 등으로 알려져 있다(36).
미나리의 독특한 향내의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음주 후에는 숙독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기도 하며, 민간요법에서는 이질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35). 미나리의 독특한 향내의 원인인 정유의 주성분은 isoramnetin, α-pinene, myrecene 등으로 알려져 있다(36). 미나리의 주요 성분으로는 수분 94.
식초에 함유된 성분은? 식초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로부터 이용되어 온 발효식품으로 식품에 첨가되는 기초산미료로 쓰이는 것은 물론 짠맛, 단맛 등의 음식 맛을 부드럽게 하고 특유의 향미를 더해 줄 뿐만 아니라, 소스, 마요네즈, 드레싱, 케찹의 원료, 향미 재료로 이용되며 의약품 및 미용재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초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당류나 전분질을 함유하고 있는 여러 원료들을 알코올 및 초산 발효시켜 제조되며, 신맛을 내는 초산성분을 비롯하여 유기산과 아미노산, ester 및 각종 영양물질이 함유되어 있다(9-11). 위와 같은 식초성분들은 콜레스테롤 저하 및 체지방을 감소시켜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젖산 분해에 따른 피로 회복 및 식품성분 내의 비타민 C 보호 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Halliwell BH, Gutteridge JMC. Role of free radical and catalytic metal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1990) 

  2. Gutteridge JMC, Halliwell B.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UK. pp. 1-62 (1994) 

  3. Aruoma OI.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 199-212 (1998) 

  4. Halliwell B, Gutteridge JMC, Aruoma OI. The deoxyribose method: A simple "test-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1987) 

  5. Moon JH, Park KH.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ea. J. Korean Tea Soc. 1: 175-191 (1995) 

  6.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 6: 75-82 (1995) 

  7. Elena V, Davide T, Angela C.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Food Chem. 105: 564-571 (2007) 

  8. Masinoa F, Chinnicib F, Bendinic A, Montevecchia G, Antinellia A.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chemical, physical, and qualitative assessment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Food Chem. 106: 90-95 (2008) 

  9. Hong SM, Kang MJ, Lee JH, Jeing JH, Kwon SH, Seo KI.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 594-603 (2012) 

  10. Lee SW, Yoon SR, Kim GR, Kyung HK, Jeong YJ, Yeo SH, Kwon JH. Effect of nuruks and crude amylolytic enzyme on free amino acid and volatile components of brown rice vinegar prepared by static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70-576 (2011) 

  11. Jeong Y, Lee MH.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Food Indus. Nutr. 5: 7-12 (2000) 

  12. Kim DH.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3-60 (1999) 

  13. Jeong YJ, Seo JH, Jung SH, Shin SR, Kim KS.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5: 374-379 (1998) 

  14. Kwon SH, Jeong EJ, Lee GD, Jeong YJ.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s including vinegar. Food Indus. Nutr. 5: 18-24 (2000) 

  15. Ha YD, Kim KS. Civilization history of vinegar. Food Indus. Nutr. 5: 1-6. (2000) 

  16. Jeong YJ, Lee MH.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5: 7-12 (2000) 

  17. Shim GS. The metabolism and health of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9 (1984) 

  18. Yoon NH.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40-1446 (1999) 

  19. Lim CW. Beverage industry market. Marketing Issues & Trend. 43: 19-23 (2005) 

  20. Jeong YJ.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e Korean vinegar industry. Food Sci. Indus. 42: 52-59 (2009) 

  21. Kim KJ, Bae YS, Lee IK, Yoon YK, Yoo JS, Park HK, Ha WH. Effects of sport-drink with vinegar on the activation of lipid metabolism during exercise in obese men. J. Korean Soc. Aero. Exerc. 1: 48-58 (1997) 

  22. Furukawa S, Ueda R. Studies on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vinegars,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commercial vinegars. J. Ferment. Technol. 41: 14-19 (1963) 

  23. Masai H. Taste of the fermented beverage and food, Taste of vinegars. J. Brew. Soc. Jpn. 75: 888-891 (1980) 

  24. Jones DD, Greenshields RN. Volatile constituents of vinegar. . A survey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malt vinegars. J. I. Brewing 75: 457-463 (1969) 

  25. Kahn JH, Nickol GB, Conner HA. Vinegar compounds: Analysis of vinegar by gas-liquid chromatography. J. Agr. Food Chem. 14: 460-465 (1966) 

  26. Lee YC, Lee GY, Kim H, Park KB, Yoo YJ, Ahn PU, Choi CU, Son SH. Production of high acetic acid vinegar using two stage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663-667 (1992) 

  27. Lee YC, Park MS, Kim HC, Park KB, Yoo YJ, Ahn IK, Son SH. Production of high acetic acid vinegar by single stage fed-batch cultur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 511-512 (1993) 

  28. Saeki A. Continuous vinegar production using twin bioreactors made from ethanol and acetic acid fermentor. J. Food Sci. Technol. 38: 891-896 (1991) 

  29. Park JP, Kim SJ, Ryu JC, Pyo BS, Kim SW. Some properties of Acetobactor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 Korean. J. Biotechnol. Bioeng. 8: 397-404 (1993) 

  30. Park SJ, Lee KS, An HL. Effects of dropwort powder on the quality of castell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34-839 (2007) 

  31. Song GS, Kwon YJ. Analysis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Oenanthe stolonifera DC. J. Korean. Soc. Food. Nutr. 19: 311- 314 (1990) 

  32. Kim JK.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Namsangdang. Seoul, Korea. p. 244 (1984) 

  33. Jo HW, Lee SH, Nam DH, Kim JY, Lim SK, Lee JS, Park JC.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ochemical study on the aerial parts of Oenanthe javanica. Kor. J. Pharmacogn. 39: 142-145 (2008) 

  34. Mun SI, Joh YG, Ryu HS.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atercress, Oenanthe stolonifera DC. J. Korean Soc. Food. Nutr. 19: 133-142 (1990) 

  35. Lee HY, Yoo MJ, Chung HJ. Antibacterial activities in watercress (Oenanthe stolonifera DC.) cultivated with different culture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6: 243-249 (2001) 

  36. Fujita T, Kadoya Y, Aota H, Nakayama M. A new phenylpropanoid glucoside and other constituents of Oenanthe javanica. Biosci Biotech. Bioch. 59: 526-528 (1995) 

  37. Kim MJ, Yang SA, Park JH, Kim HI, Lee SP.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ropwort extracts fermented with fructooligosaccarides o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2-437 (2011) 

  38. Ko YJ, Jeong DY, Lee JO, Park MH, Kim EJ, Kim JW, Kim YS, Ryu CH.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unus mume vinegar and its quality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1-365 (2007) 

  39. Jeong YJ, Seo KI, Kim K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355-363 (1996) 

  40. Jeong YJ, Lee MH, Seo KI, Kim JN, Lee YS.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462-468 (1998) 

  41.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Lim JH.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 J. Food Treserv. 16: 33-39 (2009) 

  42. Moon SY, Chung HC, Yoon HN.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1997) 

  43. Cho Y, Rhee HS.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 o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6-31 (1979) 

  44. Kim AR, Lee JJ, Jung HO, Lee MY.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J. Life Sci. 20: 40-48 (2010) 

  45. Jeong YJ, Seo JH, Lee GD, Park NY, Choi TH. The quality comparison of appl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apple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53-358 (1999) 

  46. Lee SW, Kwon JH, Yoon SR, Woo SM, Jang SY, Yeo SH, Choi JH,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 of brown rice vinegar by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66-1372 (2010) 

  47. Hong SM, Moon HS, Lee JH, Lee HI, Jeong JH, Lee MK, Seo Kl. Development of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27-935 (2012) 

  48. Shin JS, Jeong YJ. Changes in the componrnt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brown rice using raw starch diges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81-387 (2003) 

  49. Nakamura U, Iwase M, Uchizono Y, Sonoki K, Sasaki N, Imoto H, Goto D, Iida M. Rapid intracellular acidification and cell death by H2O2 and alloxan in pancreatic beta cells. Free Radical Bio. Med. 40: 2047-2055 (2006) 

  50. Ma CJ, Lee KY, Jeong EJ, Kim SH, Park J, Choi YH, Kim YC, Sung SH. Persicarin from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from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Phytother. Res. 24: 913-91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