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별화된 교육이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불안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6 no.1, 2013년, pp.1 - 8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미헌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하재현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Methods: It was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groups. A total of 32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indivi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을 파악한다.
  • 따라서 연구자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퇴원 하루 전날, 퇴원 당일, 퇴원 1주 후, 3회에 걸쳐 간호사가 개별교육을 집중적으로 제공하여 퇴원 후 불안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개별교육을 제공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퇴원 후 불안,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개별교육을 제공하여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불안과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가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퇴원 전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하루 전날, 퇴원 당일, 퇴원 1주 후, 3회(Cho & Hwang, 2011)에 걸쳐 매 1회당 질의 응답시간을 포함, 50~60분씩 개별교육을 제공하여 퇴원 후 불안, 자가간호수행 등, 개별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이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개별교육을 통해 퇴원 후 재발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가간호수행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환자 개개인의 뇌졸중 발병원인을 분석하고 교육하는 면대면 교육을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교육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불안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Stroke)은 암, 심장질환과 함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단일질환 중 사망률 1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뇌에 분포한 혈관이 일부분 파열되어 혈액공급이 중단되거나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해 신경학적 손상과 영구적인 신체기능 장애와 운동장애를 동반하는 질환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Mottillo et al., 2010), 1998년 이후 40대와 50대의 평균 유병률이 36% 증가하고 60대 이상 노년기의 평균 증가율보다 높아(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2) 중년기 뇌졸중 환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Jang, 2003).
뇌졸중의 이차예방은 무엇인가? 뇌졸중에 있어 일차예방이란 증상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로 하여금 뇌졸중을 발병하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차예방이란 이미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에게 항 혈전요법과 더불어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등과 같은 위험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뇌졸중의 재발을 방지하는 것으로 실제 이차예방이 일차 예방보다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지금까지 수행된 뇌졸중 재발요인 선행연구결과에 따르면 혈압, 당뇨, 심장질환, 심방세동, 흡연, 음주, 고지혈증, 가족력, 연령, 발병 기간 및 약물 복용 등 매우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Shin & Kim, 2002).
뇌졸중 재발 방지에 힘써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3). 뇌졸중 환자가 재발하여 입원을 다시하게 되면 처음 입원 시보다 상태가 더 악화되고 치료와 회복기간이 더 길어지며 더 큰 신경학적 손상과 후유증을 초래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Kim & Choi,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silioglu, K., & Celik, S. S. (2004). The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anxiety of open cardiac surgery patient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3 (1), 65-70. http://dx.doi. org/10.1016/S0738-3991(03)00117-4 

  2. Bak, H. K. (2003). The effects of the stroke secondary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the health risk indicator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 Beck, A. T., Epstein, N., Brown, G., & Steer, R. A. (1988).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6), 893-897. http://dx.doi.org/10.1037/0022-006X.56.6.893 

  4. Cho, E. H., & Hwang, S. Y. (2011). Effects of the nurse-led discharge education on symptom experience and self-care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6), 595-604. 

  5. Cho, K. S., & Rho, C. R. (2012).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toperative education on anxiety levels and self-care compliance after one-day cataract surgery. Journal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53 (3), 412-419. http://dx.doi.org/10.3341/jkos.2012.53.3.412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7. Collins, T. C., Petersen, N. J., Menke, T. J., Souchek, J., Foster, W., & Ashton, C. M. (2003). Short-term, intermediate-term, and long-term mortality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stroke.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6 (1), 81-87. http://dx.doi.org/10.1016/S0895-4356(02)00570-X 

  8. Ham, M. Y. (2001). An effects of individualized early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acut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9. Hughes, R. B., Robinson-Whelen, S., Taylor, H. B., Swedlund, N., & Nosek, M. A. (2004). Enhancing self-esteem in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habilitation Psychology, 49 (4), 295-302. http://dx.doi.org/10.1037/0090-5550.49.4.295 

  10. Jang, K. O.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the hemipleg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1. Kang, H. S. (1984).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Kim, C. G., & Park, H. A. (2011). Develpo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 (1), 47-6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47 

  13. Kim, N. C., & Choi, K. O. (2006).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cardiac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1), 42-49. 

  14. Koo, E. J., & Kim, J. S. (2011). Effects of structured education program using CD-ROM on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in patients undergoing orthopedic spinal surger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8 (1), 39-49. 

  15. Lee. D. Y. (2002). Post-stroke apathy and anxiet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6 (1), 3-10. 

  16. Lee. Y. J. (2000).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in cereobrovascular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trieved September 30, 2006, from http://www.mw.go.kr/user.pdf 

  18. Modrego, P. J., Pina, M. A., Mar Fraj, M., & Llorens, N. (2000). Type, causes, and prognosis of stroke recurrence in the province of Teruel, Spain. A 5-year analysis. Neurological Sciences, 21 (6), 355-360. http://dx.doi.org/10.1007/s100720070050 

  19. Mottillo, S., Filion, K. B., Genest, J., Joseph, L., Pilote, L., Poirier, P., et al. (2010).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56 (14), 1113-1132. http://dx.doi.org/10.1016/j.jacc.2010.05.034 

  20. Myo, Y. K. (2011). The effect of discharg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self-care for the elderly with cancer. 

  21. Orem, D. E. (1985). Nursing: Concept of practice (3rd ed.). New York: McGraw-Hill Book. 

  22. Park, M. J. (2007). The effects of structured information on selfcare behavior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clients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Ryoo, Y. H. (2005). Effects of preoperative nursing information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regarding to self-nursing care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4. Shin, J. Y., & Kim, S. Y. (2002). An effect of a self-efficacy information resources program on perceived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 (1), 114-124. 

  25. Yoo, S. H., Kang, D. W., Kwon, S. U., & Kim, J. S. (2005). The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 Attitude of patients admitted to a tertiary hospital. Korean Journal of Stroke, 7 (1), 78-86. 

  26. Yook, S. P., & Kim, Z. S. (1997).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 (1), 185-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