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웹 기반 뇌졸중 이차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1, 2011년, pp.47 - 60  

김철규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Learning program that assists nursing students' clinical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Methods: A web-based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웹 기반 뇌졸중 이차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환자 및 가족에게 적용하여 대조군 및 책자 교육군과의 결과 비교를 통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지식, 가족지지, 건강행위이행의 증진에 있어 웹 기반 교육프로그램이 책자 교육만큼 효과가 있고, 흡연량 감소에는 웹 기반 교육 프로그램이 책자 교육보다 더 나은 효과를 보였으므로, 뇌졸중 이차예방을 위한 환자 및 가족의 교육에 웹 기반교육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업무 과중과 체계적인 교육자료 미비로 효과적인 환자 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인터넷 사용인구가 증가하고 웹 기반 교육방법이 환자 교육에 유용하다는 선행 연구들을 기반(Jung, 2002; Kim, 2005)으로 뇌졸중 이차 예방에 대한 웹 기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는 웹 기반 뇌졸중 이차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고, 둘째는 개발된 웹 기반 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 및 가족에게 적용한 후 환자 및 가족의 이차 예방에 대한 지식, 가족 지지, 환자의 건강 행위 이행 및 건강상태를 아무런 교육을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 및 책자를 이용한 교육군의 결과와 비교하여 웹 기반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 셋째는 웹프로그램의 사용횟수와 뇌졸중 환자 가족의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웹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활용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제1-1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지식 변화량이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
  • 제1가설: 웹 기반 뇌졸중 이차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환자(웹 교육군)와 책자를 이용한 교육을 받은 환자(책자 교육군)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환자(대조군)보다 뇌졸중 이차 예방 지식수준이 높을 것이다.
  • 제2-1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가족의 지식 변화량이 대조군 가족보다 클 것이다.
  • 제2가설:웹교육군의 가족 및 책자교육군의 가족이 대조군 가족보다 뇌졸중이차예방지식수준이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웹교육군및책자교육군환자가인지하는가족지지정도가 대조군환자보다 높을 것이다.
  • 제4-1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투약 이행도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제4-2-1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urinecotinine 감소량이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
  • 제4-2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금연 이행도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집단 내 측정시기와 집단 간에 상호작용이 없고(p=.194), 집단 간 및 측정시기에 따라 urine cotinine level이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p=.370, p=.208, Table 2).
  • 제4-2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금연 이행도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제4-3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주관적인 건강행위 이행도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제4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 정도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부가설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제4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 정도가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제5-1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혈압이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제5-2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지각한 건강상태가 대조군보다좋을 것이다’는 건강상태는 그룹간 및 측정시기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p=.201, p=.973)기각되었다.
  • 제5-2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지각한 건강상태가 대조군보다 좋을 것이다.
  • 제5가설: 웹 교육군과 책자 교육군 환자의 건강 상태가 대조군보다 좋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ung, 2002; Na, 1999에 따르면, 정보기술을만성질환관리에 적용한 웹 기반 교육은 어떤 장점이 있어서 효과적인 간호 교육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는가? 최근들어급속하게발전하고있는정보기술을만성질환관리에 적용함으로써 비용효과적으로 환자 진료 결과를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Bigelow, Fonkych, Fung, & Wang, 2005), 간호 연구에서도 만성질환자(Lorig, Ritter, Laurent,&Plant, 2006), 당뇨환자(Kim, 2005), 관상동맥질환자(Jung, 2002)에게 웹 기반 교육 및 정보지지 등의 간호중재를 시행하여 환자의 지식, 자가 간호 및 건강상태의 향상을 가져온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웹 기반 교육은다양한매체의활용으로학습효과를높일수있고,시간과공간의 제약이 없어 집이나 직장에서도 학습이 가능하며, 장기간의 반복 학습이 수월하고, 학습자 개개인의 경험과 능력에 맞추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Jung, 2002; Na, 1999) 효과적인 간호교육방법으로여겨지고있다.
뇌졸중의재발을방지하는 이차성 뇌졸중 예방의 주요한 활동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의재발을방지하는이차성뇌졸중예방의주요한활동으로는 적절한 약물 복용과 위험인자 관리를 꼽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고 생활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Yoo et al., 2005).
Modrego, Pina, Fraj, & Llorens, 2000에 따르면, 뇌졸중의 5년 이내 재발률은?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로 노인에서 3배 이상 높은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사회가 점차 고령화되면서 뇌졸중 발병 및 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급속하게 증가될 것이다.특히,뇌졸중은재발률이매우높은질환으로한번뇌졸중을앓은 환자의 재발률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데 5년 이내 재발률은 20-40% (Modrego, Pina, Fraj, & Llorens, 2000)에 이른다. 뇌졸중이 재발한 경우 환자는 물론 가정의 경제적, 정서적 측면에도 큰 부담을 줄 뿐 아니라(Yoo, Kang, Kwon, & Kim, 2005), 사망 위험도 높아(Collins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owitz, N. L. (1996). Cotinine as a biomarker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Epidemiologic Reviews, 18, 188-204. 

  2. Bigelow, J. H., Fonkych, K., Fung, C., & Wang, J. (2005). Analysi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that change patient trajectories.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3. Carlsson, R., Lindberg, G., Westin, L., Israelsson, B. (1997). Influence of coronary nursing management follow up on lifestyle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Heart, 77, 256-259. 

  4. Choi-Kwon, S., Kwon, S. U., & Kim, J. S. (2005). Compliance with risk factor modification: Early-onset versus late-onset stroke patients. European Neurology, 54, 204-211. 

  5. Choi, S., Kwon, S. U., Ahn, J. S., & Kim, J. S. (2002). Different perspectives of stroke education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Korean Journal of Stroke, 4, 78-87.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7. Collins, T. C., Petersen, N. J., Menke, T. J., Souchek, J., Foster, W., & Ashton, C. M. (2003). Short-term, intermediate-term, and long-term mortality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stroke.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6, 81-87. 

  8. Han, A. K. (1998). Effects of a family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 care behavior and family support behavior of cardia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Jo, H. S., & Kim, K. J. (2000). The effects of a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cardiovascula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560-570. 

  10. Jung, Y. Y. (2002). The development of a internet-based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program and analysis of its educational effects o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ang, S. M. (2005).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Chungju. 

  12. Kim, H. J. (2004).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 in h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13. Kim, H. S. (2005). Effects of web-based diabetic education in obese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924-930. 

  14. Kim, M. H. (2006). An explanatory model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patients living at home who have post stroke hemipleg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065-1075. 

  15. Koh, I. S., Kim, H. C., Kwon, S. B., Hwang, S. H, Kwon, K. H., Kim, S. M., et al. (1999). Th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for secondary prevention: In Seoul & Kyunggi province. Korean Journal of Neurology, 17, 472-477.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008 Public health statistics. Seoul: Author. 

  17. Lawton, M. P., Moss, M., Fulcomer, M., Kleban, M. H.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37, 1-9. 

  18. Lee, B. R., Yu, K. H., Ma, H. I., Jung, S., Jung, S., & Lee, B. C. (2000). Th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for secondary prevention in newly developed city, Pyungchon. Korean Journal of Stroke, 2, 158-163. 

  19. Lorig, K. R., Ritter, P. L., Laurent, D. D., & Plant, K. (2006). Internet-based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A randomized trial. Medical Care, 44, 964-971. 

  20. Modrego, P. J., Pina, M. A., Fraj, M. M., & Llorens, N. (2000). Type, causes, and prognosis of stroke recurrence in the province of Teruel, Spain. A 5-year analysis. Neurological Sciences, 21, 355-360. 

  21. Na, I. J. (1999). Web-based education. Seoul: Kyouook Kwahak Sa. 

  2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August 9). Disease statistics. Retrieved August 9, 2010, from http://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18832217ea22fd38b31148b4062310a0 

  23. Ovbiagele, B., Saver, J. L., Fredieu, A., Suzuki, S., Selco, S., Rajajee, V., et al. (2004). In-hospital initiation of secondary stroke prevention therapies yields high rates of adherence at follow-up. Stroke, 35, 2879-2883. 

  24. Park, H. A., Kim, H. J., Song, M. S., Song, T. M., & Chung, Y. C. (2002). Development of a web-bas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8(3), 37-45. 

  25. Park, H. G. (2003). The effect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on functional statu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6, 213-225. 

  26. Rudd, A. G., Lowe, D., Hoffman, A., Irwin, P., & Pearson, M. (2004). Secondary prevention for stroke in the United Kingdom: Results from the national sentinel audit of stroke. Age and Ageing, 33, 280-286. 

  27. Statistics Korea. (2009, September 20). 2008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20, 2009, from http://www.kostat.go.kr/nso_main/nsoMainAction.do?methodsearch&catgrpnso2009&catid1 k090000&catid2k09i0000&forwardsearch 

  28. Steele, J. M., Ruzicki, D. (1987).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ardiac teaching during hospitalization. Heart & Lung, 16, 306-311. 

  29. Stein, J. (Ed.). (2009). Stroke recovery & rehabilitation. New York, YN: Demos Medical Publishing. 

  30. Yoo, S. H., Kang, D. W., Kwon, S. U., & Kim, J. S., (2005). The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 Attitude of patients admitted to a tertiary hospital. Korean Journal of Stroke, 7, 78-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