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이차예방교육이 건강위험지표와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econd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 Risk Indicators and Self-Car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8 no.2, 2016년, pp.69 - 77  

김지연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나연경 (경북대학교 간호대.간호과학연구소)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health risk indicators and self-car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select the participants. Subjects were 54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초기 허혈성 뇌졸중 진단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위험요인을 조절하기 위한 이차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여 임상 간호중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이차예방이란 무엇인가? 뇌졸중 이차예방이란, 뇌졸중이 있는 사람에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뇌졸중은 후유장애를 남기는 경우가 많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재발률이 높아 예방적 간호중재가 필요한 질환이다. 뇌졸중의 이차예방에 따른 1년간 재발률에 관한 외국의 연구에서 9%의 재발률을 보였고[3], 뇌졸중 초기에 이차예방을 시행하는 것은 재발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4].
뇌졸중의 예방적 간호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 이차예방이란, 뇌졸중이 있는 사람에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으로, 뇌졸중은 후유장애를 남기는 경우가 많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재발률이 높아 예방적 간호중재가 필요한 질환이다. 뇌졸중의 이차예방에 따른 1년간 재발률에 관한 외국의 연구에서 9%의 재발률을 보였고[3], 뇌졸중 초기에 이차예방을 시행하는 것은 재발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4].
뇌졸중 이차예방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어떤 효과가 있었는가?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5주 동안의 면대면 교육과 개별교육 및 전화 상담을 통한 이차예방 프로그램 중재 후 건강위험지표와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에만 중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졸중 재발예방을 위한 생활양식 조절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15]를 확인한 연구와 재가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16]에서 중재 후 실험군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하고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같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tatistics Korea. Social Indicators in Korea: Death Rate by Chronic Diseas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5 Jul 15].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 

  2.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Internet]. Seoul: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2014 [cited 2015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stroke-crc.or.kr. 

  3. Michelle MM, Don BS, Cristina TA program to improv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the colorado neurological institute stroke preventing recurrence of thromboembolic events through coordinated treatment program.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11;43(4):199-203. 

  4. Stefanie L, Steffen B, Inga L, Annerose Z, Gabriele N, Christian HN, et al. Secondary prevention after minor stroke and TIA-Usual care and development of a support program. PLOS ONE. 2012;7(12):1-8. 

  5. Kim MK, Kang MJ, Lee HN, Lee KM.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0;24(5):857-863. 

  6. Lee HW. Colon Cancer and Stroke, Local Medical Level 'the best in the world' [Internet]. Busan: The Busan Ilbo. [cited 2015 Dec 8]. Available from: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1109000029. 

  7. Maggie L, Susan K, Hazel EW, Jennie J, Margaret GB. A summary of the guidance relating to four lifestyle risk factors for recurrent stroke. British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9;5(10):471-476. 

  8. Sarah G, Ruth E. Impact of enhanced secondary prevention on health behaviour in patients following minor stroke and transient ischaemic attack: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010;24:822-830. 

  9. Miranda NB, Alex G, Angie W, Karen CK, Lynn T, Marie W. Steps against recurrent stroke plus: Patient transition program. 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2014;46(4):E3-E13. 

  10. Theresa G, Eryka H, Michael E, Keith H. Education in stroke prevention: Efficacy of an educational counselling intervention to increase knowledge in stoke survivors. Canadian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7;29(2):13-20. 

  11. Park HS, Lee MH, Ha JH.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stroke patient’s post-discharge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3;16(1):1-8. 

  12. Kim EJ.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after discharge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1. p.1-101. 

  13. Suzanne BC, Rita K, Emma W, Valery F, Amy J, Kathryn M, et al. Improving adherence to secondary stroke prevention strategies through motivational interview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15;46:3451-3458. DOI: 10.1161/STROKEAHA.115.011003. 

  14. Ann-C J, Peter H, Marco B, Helene PR. Secondary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after stroke: can it be enhanced?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014;23(9):2287-2295. 

  15. Kim HJ, Kim OS. The lifestyle modification coaching program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3;43(3):331-340. 

  16. Bak HK. The effects of the stroke secondary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the health risk indicator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3. p. 1-119. 

  17. Elaine TK, Judith S. Readiness to change and brief educational interventions: Successful strategies to reduce stroke risk.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03;35(4):215-222. 

  18. Jeong BS, Gang HG, Kwak MY, Kim ES, Kim HY, Bak ES, et al. Effects of biophysical index, knowledge and self management compliance of patients with primary hypertension by a self management compliance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6;36(3):551-560. 

  19. Yang JH, Cho MO, Lee KY. Patterns of health behavior for weight loss among adults using obesity clin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2;42(5):759-770. 

  20. Scott DP, Greenfield JR, Bramah V, Alford J, Bennett C, Markus R, et al. Challenges in secondary stroke prevention: Prevalence of multiple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abnormal glycemia in ischemic stroke and transient ischemic attack. Internal Medicine Journal. 2010;40:275-2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