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유형별 거주만족도 및 거주애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ccording to the Urban Multi-family Dwelling Type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3, 2013년, pp.73 - 83  

홍경구 (대구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ccording to the urban multi-family dwelling types. On the basis of the surveys, the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re employed as the empirical analysi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in Da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지금까지 시행되어온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해서 거주자를 대상으로 유형별로 실증적인 거주 환경을 평가하고 거주만족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향후 도시형 생활주택 사업 시 거주만족도 및 애착도를 높일 수 있는 세부사업항목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거주자의 관점에서 도시형 생활주택의 거주애착과 함께 거주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세부요인의 규명은 나름대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라고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최근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해서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만족도와 거주애착도를 평가하고 나아가 만족도와 애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구지역에 입주가 완료된 시설을 대상으로 5개 거주환경요인에 대한 평가와 결과변수인 2개의 거주만족도와 애착에 대해서 유형별 비교평가를 하고, 이를 토대로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인과관계를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구광역시에 건설된 도시형 생활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환경과 거주만족도 및 애착에 관한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09년부터 도시형 생활주택의 입법과정과 법규완화 내용을 검토하고, 본격적으로 대구광역시에 원룸형과 단지형 도시형 생활주택이 건설된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사업실적과 도시형 생활주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해 실거주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면, 보다 더 수요자 중심의 공급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건설된 원룸형과 단지형 도시형 생활주택을 대상으로 거주자들이 완화된 법규로 건설된 유형별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해서 거주환경과 관련된 만족도의 세부항목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거주만족도와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형 생활주택의 거주자측면에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좀 더 경쟁력이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방향을 정할 수 있는 실증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주만족도와 거주애착도를 평가하고 나아가 만족도와 애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는? 첫째, 거주환경요인에 대한 5가지 세부요인에 대해서 주택구조 및 성능요인에 관해서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단지형 거주자들이 원룸형 거주자들보다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부대복리시설 및 관리요인에 관해서는 건설규제의 유무와 사업목적에 따라 평가항목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22). 생활환경 및 입지요인에 대해서는 원룸형은 입지요인에, 단지형은 생활환경요인에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이웃관계요인에 관해서 단지형이 원룸형보다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요인에 관해서 원룸형이 유지비용 부담에 있어서 단지형보다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고, 전세보증금 및 월 임대료 부담 항목에 관해서는 오히려 단지형 거주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거주만족도 및 거주애착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단지형 거주자들은 부대복리시설 및 관리, 이웃관계, 현 주택에서 계속 거주의향 여부에서 원룸형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주택의 구조 및 성능, 현 주택의 다른 사람에게 추천여부 및 향후 이사 시에도 도시형 생활주택 거주여부도 원룸형 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 반면에, 원룸형의 경우에는 입지와 경제적 요인에 대해서만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현재의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건설관련 법규의 완화로 우려했던 주택의 구조와 성능, 부대복리시설과 관리에 대해서는 불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더욱이 이웃관계에서는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어 커뮤니티를 제고할 수있는 공간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거주만족도 및 거주애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유형에 따라 주거만족도와 애착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저렴한 임대료, 편리한 부대복리시설과 생활환경, 쾌적한 주택관리요인, 주택내부세대의 성능의 순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23), 단지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편리한 부대복리시설과 효율적인 주택관리,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좋은 입지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유형별로 좀 더 차별화된 주거성능 및 제도적 지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가 1~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최근 저출산 고령화와 더불어 초혼연령이 높아지고 이혼율이 증가하면서 1~2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1)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및 지방도시의 소형주택 보급이 저조하여 1~2인 가구의 주택난이 심화되고 있다.
정부가 소형주택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는? 그러나 수도권 및 지방도시의 소형주택 보급이 저조하여 1~2인 가구의 주택난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소형주택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2009년 9월 주택법을 개정하여 소형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제도를 도입하였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형 주택 수요증가에 따른 고시원 등 유사주택의 난개발 및 양산을 막고 도시 저소득층과 1~2인 가구의 주거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세부유형을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으로 구분하여 보다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eo, B., & Lee, W. (2012). A study on the urban-lifehousing policy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 187-188. 

  2. Heo, S., & Oh, S. (2011). A study on the planning of urban-housing by the parcel-union in urban space structure that small parcel distric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Fall Conference Proceedings, 559-570. 

  3. Kang, J., & Kim, K. (2009). A study on the suppling of small urban-life-housing.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Fall Conference Proceedings, 113-125. 

  4. Lee, I., & Kim, M. (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of single-resident-oriented urban style hous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1(1), 59-63. 

  5. Lee, J., & An, G. (2012). A study on supplying and development of the urban-life-housing.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61-68. 

  6. Lee, J., & Han, K. (2011). A feasibility analysis on a modular house construction for urban type living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1), 155-156. 

  7. Park, S., & Lee, S. (2010). A study on the planning for sustainable public space of the housing for urban lifesty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0(1), 285- 

  8. Ryu, H., & Bae, W. (2011). Vitalizations issues of small urban housing according to housing types based on the actual supply condition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6), 185-194. 

  9. Yoo, H., & Shim, W. (2010).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the housing for urban lifesty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5), 11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