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현황 및 거주특성 연구 - 서울시 공급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upply Pattern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Urban-type Housing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2, 2014년, pp.1 - 9  

이재수 (강원대학교 부동산학과) ,  성수연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이동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supply pattern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type Housing in Seoul. There have been 3,336 buildings and 71,790 housing units approved until the end of 2012. One-room apartments and small units less than 30 $m^2$ of residential area amount to 81%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수은 어떻게 예측되는가?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수는 1990년 281만 가구에서 2010년 350만 가구로 증가하였고 2035년에는 411만 가구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1·2인 가구는 2010년 전체 가구수의 48%를 차지하였으며, 2030년 6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 중 1·2인 가구는 2010년 전체 가구수의 몇%를 차지하며 2030년까지 얼마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가?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수는 1990년 281만 가구에서 2010년 350만 가구로 증가하였고 2035년에는 411만 가구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1·2인 가구는 2010년 전체 가구수의 48%를 차지하였으며, 2030년 6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90년대에서 20년간,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수는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수는 1990년 281만 가구에서 2010년 350만 가구로 증가하였고 2035년에는 411만 가구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1·2인 가구는 2010년 전체 가구수의 48%를 차지하였으며, 2030년 6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덕례 외 (2010). 도시형생활주택 사업특성 분석 및 발전방안. 서울: 주택산업연구원. 

  2. 김주철 (2011). 도시형 생활주택의 제도 변화와 최근 시장동향, KIS Credit Monitor. 서울: 한국신용평가. 

  3. 신상영 (2010). 서울의 준주택 실태와 정책방향.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윤혜정 외 (2012). 도시형 생활주택의 운영실태분석을 통한 개선과제.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5. 이동훈 (2012). 1인가구를 위한 소형임대주택 공급확대 방안. SDI 정책리포트, 109. 

  6. 주택산업연구원 (2011).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확대에 따른 주거 환경영향 분석. 과천: 국토해양부. 

  7. 주택산업연구원 (2009). 도시형생활주택 조기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과천: 국토해양부. 

  8. Choi, H., & Cho K. (2011).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urban-life housing. Public Policy Review, 25(1), 5-26. 

  9. Hong, K. (2013).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ccording to the urban multi-family dwelling typ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3), 73-83. 

  10. Jo, J. (2010). A study on the preference attribute of urbantype living housing.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Konkuk University, Seoul. 

  11. Kim, K. (2011). Demand and supply characteristics of urban small housing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younggi University, Suwon. 

  12. Lee, J., & Seong, S. (2013).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supply effect evaluation of Urban-type Housing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305-317. 

  13. Lee, J., & Lee, D. (2012). A research on current state of and policy suggestions for Urbanistic Housing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14. Lee, J., & Yang, J. (2012). Housing policy directions for single-and two-person households in Seoul. Seoul: The Seoul Institute. 

  15. Lee, J., & Yang, J. (2013).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pattern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3), 181-193. 

  16. http://www.seoul.go.kr (서울시 홈페이지) 

  17. 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18. http://nland.kbstar.com (KB 부동산)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