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무 양상(주간과 야간)이 근로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향
Literature review of effect of work pattern (day shift and night shift) on worker's health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5 no.2, 2013년, pp.1 - 7  

김기연 (부산가톨릭대학교산업보건학과) ,  조만수 (일본미에대학교공생환경학과) ,  갈원모 (을지대학교보건환경안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shift work, it is recognized that it has an adverse effect on workers' health. Especially, the night shift rather than the day shift imposes severe disorders on workers, which are indicated to dyssomnia, maladaptation to social life, and health problems such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교대 근무와 관련한 수많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와 교대 근무에 적응하는 개인적 요소의 역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된 교대 근무 형태가 근로자에게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국내외 선행 연구 사례들 중 주간 근무와 야간 근무가 근로자들에게 각각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 고찰하여 이러한 근무 양상의 실질적 효율성을 다각 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12-14].

가설 설정

  • 2. 정신적인 건강상의 장애를 유발시킨다. 정신적인 건강상의 장애는 집중력 감퇴와, 사회적인 고립, 우울증과 조울증 빈도 증가와 생체리듬에 대한 스트레스 등을 설문 및 근로자 근무 효율성의 실험 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대 근무란 무엇인가? 교대 근무란 근로자를 둘 이상의 조로 구분하여 작업시키는 제도를 말한다. 근로기준법은 “교대 근로에 관한 사항”을 취업규칙에 필수적으로 기재할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교대 근로자의 식사시간은 불규칙 함으로서 발생되는 단점은? 교대 근로자의 식사시간은 불규칙할 수밖에 없고, 특히 야간에는 주간보다 위장 기능이 더욱 저하되어 불규칙한 식사로 인해 야간 근무자들이 경험하는 위장장애는 주간 근무자들 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다고할 수 있다[14]. 또한 출퇴근 시각이 일반 근무자들과 다르다는 생각, 그 자체가 교대 근로자들 중 야간 근무자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부담은 더 크다 라는 연구보고도 있다.
하루 주기의 리듬을 따라 변화 하는 생리적 기능들은 무엇인가? 다수의 인체 관련 생리적 기능들은 하루 주기의 리듬을 따라 변화한다. 체온, 전해질의 균형, 콜티코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 심박동 수나 혈압 등 심혈관계 기능, 위장관 소화효소 분비, 혈액 속 백혈구 수, 근력, 각성도, 감정, 기억력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천식, 협심증, 뇌경색, 심근경색, 간질 등 여러 질환들의 증상 역시 하루 주기로 달라지며, 각종 약물이나 독성물질에 대한 생리적 반응 역시 하루 주기 리듬을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 Costa (2003). "Shift work and occupational medicine: an overview". Occupational Medicine 53(2), 83-88. 

  2. J.M. Harrington (2001). "Health effects of shift work and extended hours of work".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8(1), 68-72. 

  3. A. Rabiul K. Abdul and M. Golam (1999). "Human aspects of shift work in the developing countries-I: A case study in Bangladesh". Journal of human ergology 28(1-2), 59-65. 

  4. S. Folkard and P. Tucker (2003). "Shift work, safety and productivity". Occupational Medicine 53(2), 95-101. 

  5. D.R. Gold S. Rogacz N. Bock T.D. Tosteson T.M. Baum F.E. Speizer and C.A. Czeisler (1992). "Rotating shift work, sleep, and accidents related to sleepiness in hospital nurs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2(7), 1011-1014. 

  6. C.A. Czeisler and D.-J. Dijk (1995). "Use of bright light to treat maladaptation to night shift work and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Journal of Sleep Research 4, 70-73. 

  7. G. Kuhn (2001). "Circadian rhythm, shift work, and emergency medicin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37(1), 88-98. 

  8. A. Reinberg P. Andlauer J.D. Prins W. Malbecq N. Vieux and P. Bourdeleau (1984). "Desynchronization of the oral temperature circadian rhythm and intolerance to shift work". Nature 308(5956), 272-274. 

  9. Oecd (2012).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OECD.stat. 

  10. A.-R. Kim (2003). "[Presentation] The two topics: the principle of equal pay for work of equal value". Korean Society of Comparsion Labor Law. 

  11. S.B. Koh (2010). "The Work Related Psychosocial Factor and Disease among Health Professional". J Korean Med Assoc 53(6), 467-473. 

  12. S. Lee Y.-S. Cheong E.-W. Park E.-Y. Choi H.-K. Yoo K.-H. Kang W.-S. Kang K.-S. Kim H.-K. Kim K.-S. Park Y.-J. Park M.-S. Suh S.-K. Sim H.-T. Yeoum R. Lee S.-H. Lee K.-B. Lim E.-J. Jeong H.-K. Park B. Lee and H. Lee (2010). "Prevalence of Sleep Disorder and Associated Factors in Family Practice". Korean J Fam Med 31(11), 837-844. 

  13. D.B. Boivin and F.O. James (2002). "Circadian Adaptation to Night-Shift Work by Judicious Light and Darkness Exposure".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17(6), 556-567. 

  14. A. Knutsson (2003). "Health disorders of shift workers". Occupational Medicine 53(2), 103-108. 

  15. S.P. Marinkovic L.M. Gillen and S.L. Stanton (2004). "Managing nocturia". BMJ 328(7447), 1063-1066. 

  16. J. Barton (1994). "Choosing to work at night: A moderating influence on individual tolerance to shif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3), 449-454. 

  17. K. Byron (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169-198. 

  18. T. kerstedt B. Peters A. Anund and G. Kec klund (2005). "Impaired alertness and performan ce driving home from the night shift: a driving simulator study". Journal of Sleep Research 14(1), 17-20. 

  19. T.H. Monk (1988). "Coping with the stress of shift work". Work & Stress 2(2), 169-172. 

  20. G. Costa (1996). "The impact of shift and night work on health". Applied Ergonomics 27(1), 9-16. 

  21. A. Berger and B. Hobbs (2006). "Impact of Shift Work on the Health and Safety of Nurses and Patient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0(4), 465-471. 

  22. Y.-J. Lee and K.-B. Kim (2008). "Experiences of Nurse Turnover". J Korean Acad Nurs 38(2), 248-257. 

  23. S. Min (1999). "The Effects of Shift Rotation Directions on Work Mistakes and Circadian Rhythms of Urinary Na, K, Cl". 11(1), 158-168. 

  24. I. Kawachi G.A. Colditz M.J. Stampfer W.C. Willett J.E. Manson F.E. Speizer and C.H. Hennekens (1995). "Prospective Study of Shift Work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Circulation 92(11), 3178-3182. 

  25. D.H. Kim and K.S. Park (2007). "Assessment of 12 hour Shift worker's Job Satisfac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26(1), 55-61. 

  26. J. Park (2005). "A re Cere b 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mong Employees Work-related?". Korean J Occup Environ Med 17(4), 288-296. 

  27. J.-J. Lee and J.-H. Chung (1995). "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1), 103-121. 

  28. E.S. Schernhammer F. Laden F.E. Speizer W.C. Willett D.J. Hunter I. Kawachi C.S. Fuchs and G.A. Colditz (2003). "Night-Shift Work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the Nurses' Health Stud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5(11), 825-828. 

  29. S.-S. Hwang S.-B. Hong Y.-W. Hwang E.-J. H ang J.-U. Hwang P.-G. Hwang H.-Y. Hwang J.-G. Park Y.-S. Ju S.-J. Lee J. Sung D. Kang S.-H. Cho and D.-R. Yun (1998). "Effects of Shiftwork on Sleep Patterns of Nur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0(1). 

  30. Y.G. Kim D.Y. Yoon J.I. Kim C.H. Chae Y.S. H ng C.G. Yang J.M. Kim K.Y. Jung and J.Y. Kim (2002).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 :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Korean J Occup Environ Med 14(3), 247-256. 

  31. C.A. Czeisler J.K. Walsh T. Roth R.J. Hughes K P. Wright L. Kingsbury S. Arora J.R.L. Schwartz G.E. Niebler and D.F. Dinges (2005). "Modafinil for Excessive Sleepiness Associated with Shift-Work Sleep Disord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3(5), 476-486. 

  32. K. Seong-Ah J. Sang Je L. Chae-Yong H. Bong Goo and P. Ki Soo (2006). "A Case of Exercise-induced Rhabdomyolysis with Hepatiti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8(1), 67-72. 

  33. H.-K. Lee and B.-M. Jung (2007). "An Inves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Improving Agents and Health Status by Male Workers in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5), 569-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