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근로자의 여성건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Women's Health of Female Workers on Daywork and Shiftwork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3, 2021년, pp.46 - 53  

이진숙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홍경주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권려원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 근로자의 일반적 요인 및 여성건강관련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7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설문 조사에 참여한 조사자는 모두 10,430명이었다. 그 중 1,995명 근로자의 건강관련 변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종사상지위, 출산경험은 주간근무 근로자와 교대근무 근로자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이나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인지, 우울경험, 초경연령, 폐경연령, 수유기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교대근무는 산업의 발전과 탄력 근로제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대근무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로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인 관심과 대책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eneral and female health-related factor between day-work and shift-work worker. It is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nd year on 7th perio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430. Out of the participants, 1,995 worker...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체 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15]는 근로자의 정규직 여부에 관하여 분석한 연구만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그 중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건강증진 정책의 하나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인 제7기 2 차년도(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 근로자의 근무 형태에 따라 건강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 및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성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 적조 사연 구이다.
  • 파악한다. 여성 근로자의 건강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여성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여성 근로자의 건강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뢰성이 검증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여성 근로자의 근무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여성건강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소득수준은 ‘소득, 부동산, 이자, 임금, 친척이나 자녀들의 용돈, 정부 보조금을 포함한 모든 수입을 합쳐 최근 1년 동안 가구의 총소득은 대략 얼마입니까? 만일 연간 소득을 대답하기 어려운 경우 월평균 액수를 말씀해 주십시오.’라는 응답에 가구 균등화 소득에 따라 성·나이별 5개 군으로 등분하기 위해 5분 위수로 조정한 값을 사용하여 하, 중하, 중, 중상, 상으로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S. Park. (2017). Sanitation Management Guidlines. Ulsan :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 G. S. Bae, T. J. Park, M. H. Lee, Y. H. Lee, S. K. Jung & I. A. Kim. (2013) Shift System and Working Hours. :Sejong: Korea Labor Institute. 

  3. Y. G. Kim, D. Y. Yoon, J. I. Kim, C. H. Chae, Y. S. Hong, C. G. Yang, J. M. Kim, G. E. Jung, J. Y. Kim. (2002).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4(3), 247-256. 

  4. Antunes, L. C. et al. (2010). Obesity and Shift Work: Chronobiological Aspects. Nutrition Research Reviews, 23(1), 155-168. DOI : 10.1017/S0954422410000016 

  5. H. J. Park. (2016). The Effects of Shift Work and Hours of Sleep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5(2), 86-107. DOI : 10.5807/kjohn.2016.25.2.96 

  6. J. M. Harrington. (2001). Health Effects of Shift Work and Extended Hours of Work.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8(1), 68-72. DOI : 10.1136/oem.58.1.68 

  7. M. J. Yoon, E. N. Lee & Y. H. Won. (2014). Concept Analysis of Shift Work Maladaptation Syndrom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1(2), 135-144. DOI : 10.5953/JMJH.2014.21.2.135 

  8. S. Y. Park, et al. (2011). Human development. Seoul: Powerbook. 

  9. J. I. Kim. et al. (2018). Experience of Conflict in Three Shift Nurses Rearing more than Two Kids : Phenomenological Study.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4(3), 252-264. DOI : 10.4069/kjwhn.2018.24.3.252 

  10. Y. J. Jung & S. W. Kang. (2017).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Korea Journal Adult Nursing, 29(2), 190-199.. DOI : 10.7475/kjan.2017.29.2.190 

  11. S. C. Yuan, et al. (2011). Influences of Shift Work on Fatigue among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9. 39-345. DOI : 10.1111/j.1365-2834.2010.01173.x 

  12. Y. J. Seo, M. I. Kim, Matsumoto, K., S. G. Moon & M. S. Jung. (2005). Relationships between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in a Steel Company. Journal of the KOSOS, 120(3), 188-196. 

  13. Y. I. Kim. (2011). Effect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 356-364. DOI : 10.5807/kjohn.2011.20.3.356 

  14. B. L. Park & S. Y. Lee. (2013).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Shift and Non-shift Police Officers in Korea.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12(1), 245-272. 

  15. S. E. Kim, Y. S. Yoon, E. S. Lee, J. H. Lee, D. J. Kim, J. I. Kim, D. J. Yeo, J. Y. Lee & E. G. Song. (2016). The Effect of Non-regular Employment on the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Stress Medicine, 24(3), 127-136. DOI : 10.17547/kjsr.2016.24.3.127 

  16. Y. K. Lee, H. S. Nam, L. H. Chung, K. Y. Kim, H. K. Yang, I. S. Kwon & Y. T. Kim. (2009).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12(8), 1187-1193. DOI : 10.1111/j.1524-4733.2009.00579 

  17. E. J. Kim, M. E, Kim & G. L. Kwon. (2008).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1), 45-54. 

  18. D. J. Kim & J. S. Lee.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Wage Earners by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6(1), 99-108. DOI : 10.15269/JKSOEH.2016.26.1.99 

  19. Y. H. Sun, J. W. Park, M. S. Noh & H. W. Chung. (2015).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Standard and Non-Standard Work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5(3), 935-942. 

  20. Smith, P. et al.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Body Mass Index among Canadian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26(1), 24-31. DOI : 10.1016/j.apnr.2012.10.001 

  21. J. W. Park, Y. H. Sun & M. S. Noh.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Depressive Symptom. Journal of Family Practice, 6(2), 63-69. DOI: 10.21215/kjfp.2016.6.2.63 

  22. H. K. Lee, M. S. Sohn & M. K. Choi.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Workers by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Work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5), 125-138. DOI : 10.14367/kjhep.2013.30.5.125 

  23. K. Y. Yu, K. J. Lee, K. B. Min, K. C. Park, S. K. Chai & J. B. Park. (2011).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Workers in a Large Compan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1(3), 146-155. 

  24. T. Nurminen. (1998). Shift Work and Reproductive Health.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4(3), 28-34. 

  25. M. A. Klebanoff, P. H. Shiono & G. G. Rhoads. (1990). Outcomes of Pregnancy in a National Sample of Resident Physicia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3(15), 1040-1045. DOI : 10.1056/NEJM199010113231506 

  26. J. J. Jung, K. S. Ko, J. Y. Kim & J. J. Jo. (2000). Effects of Work Environment and Work Patterns of Female Workers on Pregnancy and Birth. Seoul :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7. H. S. Kim & K. S. Lee. (2000). The Association of Working Activity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 in Nurses and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39(1), 29-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