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료 제조를 위한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Under Various Conditions for Beverage Production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3, 2013년, pp.320 - 327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under various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were examined. The pH level of the extracts ranged from 3.35-3.47. The sugar and solid content of the sampl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미자의 약리학적 효능과 유효성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Kim 등 1973, Kwon 등 2001, Kim등 2004, Cho 등 2007, Kwon & Park 2008, Kim & Choi 2008, Kim 등 2009) 추출 조건 차이에 따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 조건을 달리하여 오미자 추출액을 제조하고 추출액의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효능있는 음료 및 차 제조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 추출물은 가공 제품에 어떤 색을 부여하는가? 오미자는 중국, 일본, 대만 및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오미를 가지고 있으며 자양, 강장, 진핵약으로 사용되며 렴폐(斂肺), 자신(滋腎), 생진(生津), 수한(收汗), 삽정 (澁精), 지사(止瀉)의 효능이 있다. 근래 차로 제품화되어 관심을 받고 있는데 (Kim 등 1991, Hyun 등 2002) 오미 즉, 신맛, 단맛, 매운맛, 쓴맛, 짠맛이 어우러져 독특한 풍미를 나타내며 추출물은 차, 술 등의 가공 제품에 천연의 붉은 색을 부여하기도 하였다(Jang 등 1996, Jeung 등 2006, Seol 등 2008). 최근 음료시장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지닌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며 오미자가 상품성 있는 원료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오미자의 효능은? 오미자는 중국, 일본, 대만 및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오미를 가지고 있으며 자양, 강장, 진핵약으로 사용되며 렴폐(斂肺), 자신(滋腎), 생진(生津), 수한(收汗), 삽정 (澁精), 지사(止瀉)의 효능이 있다. 근래 차로 제품화되어 관심을 받고 있는데 (Kim 등 1991, Hyun 등 2002) 오미 즉, 신맛, 단맛, 매운맛, 쓴맛, 짠맛이 어우러져 독특한 풍미를 나타내며 추출물은 차, 술 등의 가공 제품에 천연의 붉은 색을 부여하기도 하였다(Jang 등 1996, Jeung 등 2006, Seol 등 2008).
오미란 어떤 종류의 맛을 말하는가? 오미자는 중국, 일본, 대만 및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오미를 가지고 있으며 자양, 강장, 진핵약으로 사용되며 렴폐(斂肺), 자신(滋腎), 생진(生津), 수한(收汗), 삽정 (澁精), 지사(止瀉)의 효능이 있다. 근래 차로 제품화되어 관심을 받고 있는데 (Kim 등 1991, Hyun 등 2002) 오미 즉, 신맛, 단맛, 매운맛, 쓴맛, 짠맛이 어우러져 독특한 풍미를 나타내며 추출물은 차, 술 등의 가공 제품에 천연의 붉은 색을 부여하기도 하였다(Jang 등 1996, Jeung 등 2006, Seol 등 2008). 최근 음료시장에서는 건강 기능성을 지닌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는 추세이며 오미자가 상품성 있는 원료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인희. 1992. 한국인의 보양식.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pp288. 

  2. 김호. 2008. 조선의 식치 전통과 왕실의 식치음식. 조선시대사학보 45집. p135-177 

  3. 서유구(이효지 등 편). 2007. 임원십육지 . 교문사. 파주 p256 

  4. 지명순, 윤창열. 2010. 동의보감 단방처방 중 식재료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 전학회지 23(1):279-302 

  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효일. 서울. pp651-652 

  6. 한복려, 정길자. 2010. 조선왕조궁중음식,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 214 

  7. 허준(동의보감연구실 편저). 2009. 신대역 동의보감. 법인문화사 . p242, 416, 422, 835 

  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1199-1200 

  9. Choi JH, Oh SK 1985. Studies on the an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6):506-515 

  10.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ive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549-556 

  11.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2007. Biological activiry of omij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198-203 

  12. Han ES, Rho SN.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s made prepared by various immersion conditio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368-375 

  13. Hyun KH, Kim HJ, Jeong HC. 2002. A study on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Plant Res., 15(1):1-7 

  14. Jang EH, Pyo YH, Ahn MS. 1996. Antioxidant effect of omija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2(3):372-376 

  15. Jeung PH, Kim YS, Shin DH. 2006.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4):469-474 

  16.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542-548 

  17. Jung HS 2002. Optimization of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for the processing of Omija-pyun. Ph. D. thesis Sookmyung University. p 41 

  18. Jung JW, Park BG. 2005. The effect of taste and cooking method of medicinal customer loyal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357-365 

  19.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333-338 

  20. Kim JS, Choi S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Korean J. Food Nutr., 21(1):35-42 

  21.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3):178-182. 

  22. Kim SH, Lee BH, Jong-Chul Kim JC, Choi SS, Kim GW, Joo MH and Yoo SH. 2008. Compositional characterization and colorant identific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Food Sci. Biotech., 17(4):787-793 

  23.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nt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extract under various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2(1):41-47 

  24. Kim SJ, Youn KW, Park HS.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pine, oak, and lily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833-837 

  25. Kim YM, Kim DH, Yum CA 1991. Changes in flavor componen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ith various extraction tim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7(1):27-34 

  26. Kwak EJ, An JH, Lee HG, Shin MJ, Lee YS. 2002.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herbal sauces of jujube and omi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7-11 

  27. Kwak EJ, Lee YS. 2002. Effect of extracts of various foods and medicinal herb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jube-omija herbal sau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4):433-439 

  28.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of extracts from omija. Korean J. Food Preserv., 15(4):587-592 

  29. Kwon J, Lee SJ, So JN, Oh CH. 2001.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on the immuno regulatory action and apoptosis of L1210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3):384-388 

  30. Min SH, Lee BR.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cultivated in Jecheon. Korean J. Food Culture, 22(3):336-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