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어, 전복, 오징어, 주꾸미를 첨가한 김치의 제조 레시피를 확립하여 제조하고 $4^{\circ}C$에서 김치를 저장, 발효시키면서 7일 간격으로 일반성분, 환원당, 유기산,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및 정미성분의 변화에 기인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산물 김치의 일반성분은 발효기간 중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조단백질 함량은 1.98~3.41%로 수산물 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수산물 김치와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가 발효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특히 수산물 김치에서 감소율이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 21일째 환원당의 급격한 감소와 반비례하여 유기산의 lactate가 급격한 생성되었으며 특히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첨가하여 제조한 수산물 김치가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더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수산물 김치의 hypoxanthine 함량은 발효초기에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발효 21일째부터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에서 IMP가 검출되지 않았고 반면에 수산물 김치에서는 발효 35일까지 검출되었다.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첨가한 수산물 김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citrulline, proline, arginine, taurine 순이었고,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는 hydroxyproline, alanine, arginine, valine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urine의 함량이 같은 발효기간 동안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수산물 김치에서 약 2~10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ABA의 경우는 발효후기에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약 1.5~3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와 같은 수산물 김치와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 김치간에는, 발효시 변화되는 정미성분 및 일반성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유익한 정미 성분이 일반 김치보다 높게 나타나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가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높은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roximate compounds, reducing sugar, organic acid, ATP and 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 of beachu kimchi (BK) with octopus, abalone, squid and webfoot octopus added during its storage at $4^{\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산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는 해안가 지방을 중심으로 생산, 소비가 되는 특이점으로 인해 체계화 및 과학화되어 있지 않아 수산물 김치의 과학화하는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중에서 대중성이 있고 김치 속재료로 많이 쓰이는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이용한 김치를 제조하여 발효과정 중의 일반성분 분석, 환원당, 유기산, 핵산관련물질, 아미노태 질소 및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및 정미성분 변화에 대한 탐색을 진행하여 수산물 김치의 발효기간 중의 영양학적 가치를 제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어, 전복, 오징어, 주꾸미로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와 그렇지 않은 김치 간 초기환원당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환원당의 함량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초기 환원당 함량의 경우,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는 26.9 mg/mL 이었고, 주꾸미를 첨가한 배추김치의 경우 25.3 mg/mL로 비슷했으나 문어, 전복 및 오징어를 첨가한 배추김치의 경우는 각각 29.0 mg/mL, 33.7 mg/mL, 31.0 mg/mL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명태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한 연구결과(29)와 감태 함량에 따른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는 보고 (30)와 유사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된장, 간장, 고추장, 젓갈 등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로 겨울철에 비타민, 무기질 등을 공급한 부식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빠질 수없는 중요한 식품이다(1). 또한 김치의 열량은 매우 낮으나 비타민, 무기질 함량 등의 생리적 조절 작용을 하는 물질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첨가한 김치의 환원당 함량을 관찰한 결과, 발효초기에는 빠른 감소형태를 보이다가 발효 35일째부터 일반 김치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원인은? 한편, 발효기간 동안의 전체적인 환원당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수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의 경우 발효기간 동안 일정한 수준으로 감소하는데 비해 문어, 전복, 오징어 및 주꾸미를 첨가한 김치는 발효초기부터 14일째까지는 빠른 감소의 형태를 보이다가 발효 35일째부터는 환원당 함량이 15~19 mg/mL로 수산물 첨가하지 않은 김치와 전체적으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김치양념 속의 설탕과 찹쌀풀에 의해 초기 환원당 함량이 높았다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젖산균의 번식으로 인해 환원당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생멸치를 첨가한 김치가 숙성이 진행될 때 생멸치를 첨가하지 않은 김치보다 더 빨리 환원 당이 소모된 이유를 단백질 급원인 수산물이 첨가됨에 따라 젖산균의 번식을 더욱 촉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서 수산물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발효후기에는 더욱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보고한 연구결과(31)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 267-276 

  2. Kim YJ (199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Food Ind Nutr, 4, 59-65 

  3. Cho SM, Park S, Kim HJ, Back OH, Lee YM, Lee HJ, Chun HK, Park HJ (2005)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salted foods (Kimchi and Watery Kimchi). Th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June, 10, 155-155 

  4. Park KY, Ha JO, Rhee SH (1996) A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69-75 

  5. Ha KH (1998)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ale juice. Korean J Food Nutr, 11, 1-5 

  6. Yu MH, Im HG, Im IK, Hwang EY, Choi JH, Lee EJ, Kim JB, Lee IS, Seo HJ (2009)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28-434 

  7. Kong YH, Cheigh HS, Song YO, Jo YO, Choi SY (2007) Anti-obesity effects of Kimchi tablet composition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 1529-1536 

  8. Jeon HN, Kim HJ, Song YO (2003) Effects of Kimchi solvent fractions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heart, kidney and lung of rabbit fed a 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Soc Food Sci Nutr, 32, 250-255 

  9. Bae MO, Kim HJ, Cha YS, Lee MK, Oh SH (2009)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OPK2-59 with high GABA producing capacity on liver function improvement.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 1499-1505 

  10. Kim SY, Kim JD, Son JS, Lee SK, Park KJ, Park MS (2011) Biochem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46-452 

  11. Lee YM, Kwon MJ, Kim JK, Suh HS, Choi JS, Song YO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 in chinese cabbage Kimchi responsible for antioxidant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29-133 

  12. Woo MJ, Choi JR, Kim MJ, Jang MS, Cho EJ, Song YO (201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41, 1771-1777 

  13. Cha YJ, Lee YM, Jung YJ, Jeong EJ, Kim SJ, Park SY, Yoon SS, Kim EJ (2003)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Nutr, 32, 555-561 

  14. Moon GS, Song YS, Jeon YS (1996) A Study of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Korean J Soc Food Sci, 12, 74-81 

  15. Jung YK, Oh SH, Kim SD (2007)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argi 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4, 526-530 

  16.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17. Bae MS, Lee SC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Styela clav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73-579 

  18. Jung BM, Jung SJ, Kim E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88-197 

  19. Jang MS, Park HY, Park JI, Byun HS, Kim YK, Yoon HD (2011) Analysis of nutrient composition of Baechu Kimchi (Chinese cabbage Kimchi) with seafood. Korean J Food Preserv, 18, 535-545 

  20. Kim EM, Kim YM, Jo JH, Woo SJ (1998) A study on the housewive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eafoods and fermented seafoods add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9-26 

  21. Kim HL, Kang SG, Kim IC, Kim SJ, Kim DW, Ma SJ, Gao T, Li H, Kim MJ, Lee TH, Han KS (2006) In vitro anti-hypertensive,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Soc Food Sci Nutr, 35, 835-840 

  22. Zhoua DY, Tanga Y, Zhua BW, Qina L, Lia DM, Yanga JF, Leia K, Muratab Y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hydrolysates obtained from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an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muscle. Food Chem, 132, 815-822 

  23. Passi S, Cataudella S, Di Marco P, De Simone F, Rastrelli L (2002)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levels in muscle tissue of different Mediterranean marine species of fish and shellfish. J Agric Food Chem, 50, 7314-7322 

  24. Jang MS, Park HY, Nam KH (2012) Changes in nutrient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properties of abalone Mul-Kimchi using dried pollack and licorice stoc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13-620 

  2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6.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7. Lee YJ, Park JW, Park IB, Shin GW, Jo YC, Koh SM, Kang SG, Kim JM, Kim HS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viscera with respect to the age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Food Preserv, 16, 849-860 

  28. Lee HY, Kim SH, Kim DJ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quid upon acid and heat treatment. Korean J Soc Food Sci Nutr, 41, 539-549 

  29.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30. Lee HA, Song YO, Jang MS, Han JS (2013) Effect of Ecklonia cava on the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42, 83-88 

  31. Ryu BM, Jeon YS, Song YS, Moon GS (199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Nutr, 25, 460-469 

  32. Park SY, Lim HK, Park SG, Cho MH (2012) Quality and preference changes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Al Biol Chem, 55, 135-140 

  33. Moon YJ, Baek KA, Sung CK (2001)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chemistry from over ripened Kimchi. Korean J Food Nutr, 14, 512-520 

  34. Sung JM, Lim JH, Park KJ, Jeong JW (2008) Effects of semi-dried red peer with a different seed ratio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5, 427-436 

  35.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CH,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36. Park IK, Kim SH, Kim SD (1996) Effect of organic acid addi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195-204 

  37. Jeong ST, Kim JG, Kang EJ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inter chinese cabbage and changes of quality during the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79-183 

  38. Venugopal V (2002) Biosensors in fish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Biosensors Bioelectronics, 17 147-157 

  39. Irving HF (1981) Metabolic basis for disorders of purine nucleotide degradation. Metabolism, 30, 616-634 

  40. Ryu KY, Shim SL, Kim W, Jung MS, Hwang IM, Kim JH, Hong CH, Jung CH, Kim KS (2009)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aste components in the conger cels (Conger myriaster ).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 1069-1075 

  41. Park SK, Cho YS, Park JR, Moon JS, Lee YS (1995)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Korean J Soc Food Sci Nutr, 24, 48-53 

  42. Kim JI, Choi JS, Kim WS, Cheigh HS (2000)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s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Nutr, 29, 796-801 

  43. Chung SY, Sung NJ, Lee YK (1984) Compositions in amino acids and nucleotides of fermented entrails of yellow yorvina. Korean J Soc Food Sci Nutr, 13, 285-290 

  44. Chung SY, Sung NJ, Lee JM (1981) The taste Compounds in Fermented Entrails of Trepang Stichopus Japonicus. Korean J Soc Food Sci Nutr, 10, 1-16 

  45. Lee OH, Lee HJ, Woo SJ (1994)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0, 225-231 

  46. Park TS (1996) Effect of dietary protein, taurine on cysteine catabolism in cat liver. Korean J Nutr, 29, 729-737 

  47. Okezie IA, Barry HW, Brigid MH, John B (1988) The antioxidant action of taurine, hypotaurine and their metabolic precursors. Biochem J, 256, 251-255 

  48. Lourenco R, Camilo ME (2002) Taurine: a conditionally essential amiacid in humans? an overview in health and disease. Nutr Hosp, 17, 262-270 

  49. Donald AV (1978) The biochemical basis for the conjugation of bile acids with either glycine or taurine. Biochem J, 174, 621-626 

  50. Gideon B, Simcha LY, Yael F, Tzahi A, Hana K, Moriyah Z, Hillel F (1996) Calmodulin binding to glutamate decarboxylase is required for regulation of glutamate and GABA metabolism and normal development in plants. EMBO J, 15, 2988-2996 

  51. Alan WB, Barry JS (1997)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Plant Physiol, 115, 446-452 

  52. Chung HJ, Jang SH, Cho HY, Lim ST (2009) Effects of steeping and anaerobic treatment on GABA (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in germinated waxy hull-less barley. Food Sci Tech, 42, 1712-1716 

  53. Woo SM, Woo SC, Jeong YJ (2006)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and Korean cabbage Kimchi on the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3, 789-7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