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재로 알려진 삼채를 이용하여 삼채뿌리 첨가 김치를 제조하였고,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삼채뿌리 5%, 10% 및 20%를 첨가하여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Allium hookeri root (AHR) during a 56-day fermentation process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Kim 등(17)은 삼채뿌리 메탄올 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기능성 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삼채를 활용한 김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채뿌리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담근 후 숙성 중 품질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김치 | 김치에는 어떤 성분들이 있는가? |
유기산, 유산균, 식이섬유소, 여러 건강 기능성 성분(b-시토스테롤, 불포화지방산, 글루코시놀레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캡사이신, 인돌, 알릴 화합물 등), 영양성분(비타민 C, B1, B2, 베타카로틴, 클로로필, Ca 등의 무기질)
김치의 영양가는 김치 제조 시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기본적으로 영양 가치가 변하고, 발효 중 영양소의 변화는 숙성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3,4). 김치는 유기산, 유산균, 식이섬유소, 여러 건강 기능성 성분(b-시토스테롤, 불포화지방산, 글루코시놀레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캡사이신, 인돌, 알릴 화합물 등), 영양성분(비타민 C, B1, B2, 베타카로틴, 클로로필, Ca 등의 무기질) 등으로 면역 증강(5), 동맥경화억제 효과(6),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7), 항노화 효과(4), 항암성효과(8)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영양 및 기능성이 강조된 건강보조식품들이 각광받고 있으며, 김치의 품질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김치의 개발을 위해 명태 첨가 김치(9), 모과추출액 첨가 김치(10), 감태 첨가 김치(11), 전복과 다시마 추출물 첨가 김치(12), 어성초 첨가 김치(13), 인삼첨가 김치(14) 등 김치의 기능성 및 저장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김치가 개발되고 있다. |
삼채 | 삼채가 자생하는 지역인 현지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
현지에서 민간처방으로 다양한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단맛, 쓴맛, 매운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三菜)라 부르기도 하고 인삼의 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蔘菜)라 부르기도 한다. 현지에서 민간처방으로 다양한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16). 단백질, 당, 섬유소, ascorbic acid, phytosterol, total phenol 등이 양파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고, 식이 유황화합물이 마늘보다 6배 많다고 알려져 있다(17). |
김치 | 김치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
면역 증강(5), 동맥경화억제 효과(6),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7), 항노화 효과(4), 항암성효과(8)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
김치의 영양가는 김치 제조 시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기본적으로 영양 가치가 변하고, 발효 중 영양소의 변화는 숙성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3,4). 김치는 유기산, 유산균, 식이섬유소, 여러 건강 기능성 성분(b-시토스테롤, 불포화지방산, 글루코시놀레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캡사이신, 인돌, 알릴 화합물 등), 영양성분(비타민 C, B1, B2, 베타카로틴, 클로로필, Ca 등의 무기질) 등으로 면역 증강(5), 동맥경화억제 효과(6),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7), 항노화 효과(4), 항암성효과(8)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영양 및 기능성이 강조된 건강보조식품들이 각광받고 있으며, 김치의 품질 및 기능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김치의 개발을 위해 명태 첨가 김치(9), 모과추출액 첨가 김치(10), 감태 첨가 김치(11), 전복과 다시마 추출물 첨가 김치(12), 어성초 첨가 김치(13), 인삼첨가 김치(14) 등 김치의 기능성 및 저장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김치가 개발되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