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및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제조한 한국식 김치와 일본식 김치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비교
Comparing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Kimchi Made with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 and Recip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4, 2013년, pp.520 - 526  

김희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길정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배추와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식 및 일본식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보다 pH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도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가 일본산으로 만든 것보다 발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 3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에 비해 총균은 낮고 유산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총균수가 가장 낮았고 유산균수는 가장 높았다. 조직감은 김치 제조 직후부터 4주차까지 한국산 배추의 조직감이 일본산 배추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종합적인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였으며,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assay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저해율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92%),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91%),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88%)로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를 이용한 in vitro 항암실험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저해율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는 57%,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38%,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 26%로 나타나 DPPH assay와 같은 경향을 보여 일본산 배추보다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이 더 높았다(p<0.05). 따라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김치의 주재료로서 더 적합하며, 이러한 한국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제조 방법으로 만든 김치가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방법으로 만든 김치보다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kimchi with the best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 manufactured and compared recipes for Korean and Japanese kimchi made either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s. All batches were fermented for 4 weeks at $5^{\circ}C$, and tested for pH, texture, microbi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가별로 김치를 만드는 재료에 따른 특성 및 기능성 비교 연구는 본 연구의 선행연구로서 수행된 Park(12)의 연구 정도만 있을 뿐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배추가 김치의 주재료로서 적합한 배추이며, 한국의 전통 김치 제조 방법이 일본에서 만들어지는 변형된 일본식 레시피의 김치보다 더 우수함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장점은? 김치는 오래 전부터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등의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해온 우리나라 고유의 채소 발효 식품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비만억제, 동맥경화예방, 항노화,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 등의 건강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국제적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고 있다(1).
김치 제조에 일반 배추보다 유기농 배추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이유는?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연중 공급이 가능하지만 계절별로 재배산지가 다르며 재배되는 품종도 달라 무게, 잎의 수, 크기, 관능적인 질감이 다르게 나타난다(4). 배추는 수확 시기 등의 요인에 의해 total glucosinolates의 함량이 다르게 나타나고(7,8) 일반배추에 비하여 유기농 배추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으며(9), 유기농 배추로 만든 김치는 일반 배추로 만든 김치보다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가 더 높음이 보고되었다(10,11). Park(12)은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탄력성이 좋고 무르지 않아 김치 제조에 더 적합하며 기능성도 더 우수하다고 하였다.
일본에서 츠케모노형태로 만든 아사츠케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김치의 아삭한 질감과 단맛을 좋아하는 일본인의 입맛(3)에 맞게 변형된 일본산 김치는 일본 김치 시장에서 한국, 중국 등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되는 김치에 비하여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4). 일본에서는 츠케모노 (일본식 채소절임) 형태로 만든 ‘아사츠케’라는 거의 발효하지 않은 김치를 생산하고 있는데(5), 이는 유산균에 의해 발효되는 한국식 김치와 달리 아미노산이나 유기산, 첨가물 등을 사용하여 발효되지 않고도 한국 김치처럼 숙성된 맛이 나도록 하며, 일정 기간 동안 산도와 미생물 수의 변동이 거의 없다(4). 또한 일본에서는 솔비톨 등의 감미료를 조직감 개량제로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과일즙, 설탕 등의 당류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ark KY, Rhee SH. 2005. Fuctional foods from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and functionality. In Asian Functional Food. Shi J, Ho CT, Shahidi F,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341-380. 

  2. Han JS, Cho YS, Lee SJ. 2003. A comparis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ercial baechu kimchi. J Korean Home Econ Assoc 41: 85-92. 

  3. Ku KH, Cho JS, Park WS, Nam YJ. 1999. Effects of sorbitol and sugar sour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aechu Kimchi . Korean J Food Sci Technol 31:794-801. 

  4. Lee JH. 2008. Kimchi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to global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41: 23-27. 

  5. Sonoda S. 1996. Kimchi and Japan market.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 7-10. 

  6. Hwang KS. 2005. Current status and further development perspectives of exported Korean kimchi into Japan. Food Preserv Process Ind 4: 46-56. 

  7. Kim MK, Hong EY, Kim KH. 2010. Change of total glucosinolates level according to processing treatments in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from different harvest seasons. Kor J Hort Sci Technol 28: 593-559. 

  8. Hong SI, Lee MK, Park WS. 2000. Gas composition within kimchi package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seasonal factor. Kor J Food Sci Technol 32: 1326-1330. 

  9. Seong JH, Park SG, Park EM, Kim HS, Kim DS, Chung HS. 2006.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organic Korean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3: 655-660. 

  10. Choi WY, Park KY. 1998. Brining property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organic Chinese cabbage kimchi. J Food Sci Nutr 3: 287-291. 

  11. Choi WY, Park KY. 1999. Anticancer effects of organic Chinese cabbage kimchi . J Food Sci Nutr 4: 113-116. 

  12. Park SE.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chemoprevention effects of Korean and Japanese raw baechu cabbages, and kimchi prepared with the cabbage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3. Cho SK, Moon JS, Kim YJ, Kim JE, Choi HY, Ahn JE, Otgonbayar GE, Eom HJ, Kim TJ, Kim YM, Kim HR, Han NS. 2012. Comparison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in Korea and Jap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55-161. 

  14. Han JS, Kim MS, Kim YJ, Choi YH, Lee SJ, Otani K, Minamide T, Huh SM. 1999. A survey of Japanese preference for Kimchi and Kimchi use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5: 388-394. 

  15. Kim KA, Lee JS, Kim LY. 1993. Comparison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Kimchi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ome Econo Res J 3: 51-65. 

  16. Cho EJ, Lee SM, Park KY. 1998. Standardization of kinds of ingredient in Chinese cabbage kimchi .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56-1463.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Washington, DC, USA. p 79. 

  18. Kim YW, Jung JK, Cho YJ, Lee SJ, Kim SH, Park KY, Kang SA. 2009. Quality changes in brined Baechu cabbage using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film, and salt cont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605-611. 

  19. Kim YW, Jeong JK, Lee SM, Kang SA, Lee DS, Kim SH, Park KY. 2009. Effect of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film on extension of shelf-life of brined Baechu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67-1772. 

  20.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2009. Improved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96-1002. 

  21. Ha JH. 2002.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kimchi absorbed in SPME by GC-AED and GC-MS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43-545. 

  22. Han GJ, Choi HS, Lee SM, Lee EJ, Park SE, Park KY. 2011.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115. 

  23. Rush RJ, Cheng SJ, Klauning JE. 1999. Prevention of cytotoxicity and inhibition of intercellular communication by antioxidant catechins isolated from Chinese green tea. Carcinogenesis 10: 1003-1008. 

  24. Park JG, Kramer BS, Steinberg SM, Carmichael J, Collins JM, Minna JD, Gazdar A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ell lines using a tetrazolium- based colorimetri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25. Skehan P, Storeng R, Scudiero D, Monks A, McMahon J, Vistica D, Warren JT, Bokesch H, Kenney S, Boyd M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26.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76-482. 

  27. Chang JH, Shim YY, Cha SK, Chee KM. 2010.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Appl Microbiol 109: 220-230. 

  28. Lee CH, Hwang IJ, Kim JK. 1998. Macro- 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42-748. 

  29. Lee SH, Kim SD. 1988. Effect of starter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7: 342-347. 

  30. Hwang IJ, Yoon EJ, Hwng SY, Lee CH. 1988. Effects of K-sorbate, salt-fermented fish and CaCl2 addition on the texture changes of chinese cabbage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3: 309-317. 

  31. Kim YK, Lee GC. 1999. Contents of pectic substance and minerals and textural properties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 258-263. 

  32. Park HJ, Han YS. 1994. Effect of mustard leaf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3: 618-624. 

  33. Kim HC. 2010. A study on the export competitiveness analysis for Korean kimchi in Japan market. J Commodity Science 28: 39-49. 

  34. Beak SE. 1993. The oxidation stability of soybean, palm fish oil and lard affected by crude gingerol. Korean J Soc Food Sci 9: 298-302. 

  35. Beak SE. 1994. Effect of temperature on antioxidant of crude gingerol. Korean J Soc Food Sci 10: 121-125. 

  36. Yoon HH, Chang HC. 2011. Growth inhibitory effect of kimchi prepared with four year-old solar salt and topan solar salt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935-941. 

  37. Kil JH, Choi SM, Moon SH, Rhee SH, Park KY. 2004. Increased chemopreventive effects of kimchi by manipulation of sub-ingredients. J Korean Assoc Cancer Prev 9: 179-187. 

  38. Lee EJ, Park SE, Choi HS, Han GJ, Kang SA, Park K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Korean J Food Preserv 17: 793-7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