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액세균 Myxococcus stipitatus KYC4013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생산
Production of Bioactive Substances by a Myxobacterium Myxococcus stipitatus KYC4013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2 no.4, 2014년, pp.331 - 338  

안동주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수현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종석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경기바이오센터) ,  조경연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분리 Myxococcus 속 점액세균 207 균주들 중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인 M. stipitatus KYC4013 균주의 배양 추출물을 고분해능 LC-MS로 비교 분석한 결과 melithiazol 유도체로 추정되는 5개 항진균 물질과 phenalamide 유도체로 추정되는 3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lithiazol 유도체 추정 물질들은 CYS 배지에서 가장 잘 생산되었으며, phenalamide 유도체 추정 물질들은 VY3 배지에서 가장 잘 생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yxococcus stipitatus KYC4013 extract exhibited the most potent antifungal activity among the extracts of 207 Myxococcus strains isolated in Korea. High-resolution LC-MS analysis revealed that M. stipitatus KYC4013 produces five antifungal substances and three other secondary metabolites that wer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ipitatus에 속한 균주들이 다른 Myxococcus 종 균주들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 stipitatus 균주들의 배양추출물을 대상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여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물질피크를 찾고자 하였다. 46균주들의 배양추출물을 용리조건1로 분석하였을 때 가장 강한 항진균 활성을 보인 KYC4013 균주의 배양추출물은 23-25분 부근에서 6개의 피크를 보였다(Table 1, Fig.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한 Myxococcus 속 균주들을 대상으로 배양추출물을 제조하여 항미생물 활성물질 생산 균주들을 선별하였으며, 이 중 강력한 항진균 물질을 생산하는 M. stipitatus KYC4013을 대상으로 이 균주가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을 분석하고 생산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액세균의 특징은 무엇인가? 점액세균(myxobacteria)은 δ-Proteobacteria 문(phylum)의 Myxococcales 목(order)으로 분류되는 그람음성 세균으로 토양 및 썩은 나무껍질이나 식물, 초식동물들의 배설물 등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며 다른 유기물 등을 분해하거나 주변의 미생물을 죽이고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는다[9, 11, 20]. 7과(family) 22속(genus)이 알려져 있는데[3, 9], 이 중 Corallococcus, Myxococcus, Nannocystis, Sorangium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다른 속 균주들에 비해 많은 수 분리되었다[4].
점액세균의 주변 다른 미생물들을 죽이고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는 특성으로 생긴 특징은? 7과(family) 22속(genus)이 알려져 있는데[3, 9], 이 중 Corallococcus, Myxococcus, Nannocystis, Sorangium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다른 속 균주들에 비해 많은 수 분리되었다[4]. 주변의 다른 미생물들을 죽이고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는다는 특성에서 알 수 있듯이 점액세균은 다양한 이차대사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현재까지 약 100종류의 기본 구조를 갖는 500여개의 물질이 분리되었다[7, 17]. Sorangium 속은 대표적인 생리활성물질 생산 점액세균 종류로 점액세균에서 분리된 생리활성물질의 약 48%가 이 속에 속하는 균주들에서 분리되었다[4].
유도체일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UV 스펙트럼 실험에서, PDA 검출기를 통해 얻은 S1, S2, S7, S8, S9 피크 분획에서 240 nm와 310 nm 부근 최대 흡광을 보이는 것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2B). 따라서 이들 다섯 개 피크 물질들은 동일 계열 항진균 물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4, S5, S6 피크분획의 UV 스펙트럼도 서로 유사하여(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J-W, Kim B-W. 2002. Isolation and in vivo activities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Myxococcus sp. JW154 (Myxo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162-166. 

  2. Ahn J-W, Choi S-U, Kwon HJ. 2002. Isolation and properties of cytotoxic polyene antibiotics produced by Myxococcus stipitatus JW117.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157-161. 

  3. Garcia R, Gerth K, Stadler M, Jr Dogma IJ, Muller R. 2010. Expanded phylogeny of myxobacteria and evidence for cultivation of the 'unculturables'. Mol. Phylogenet. Evol. 57: 878-887. 

  4. Gerth K, Pradella S, Perlova O, Beyer S, Muller R. 2003. Myxobacteria: proficient producers of novel natural products with carious biological activities-past and future biotechnological aspects with the focus on the genus Sorangium. J. Biotech. 106: 233-253. 

  5. Huntley S, Kneip S, Treuner-Lange A, Sogaard-Andersen L. 2013. Complete genome sequence of Myxococcus stipitatus strain DSM 14675, a fruiting myxobacterium. Genome Announc. 1: e0010013. 

  6. Kim YJ, Furihata K, Yamanaka S, Fudo R, Seto H. 1991.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stipiamide, a new antibiotic effective to multidrug-resistant cancer cells. J. Antibiot. 44: 553-556. 

  7. Kim YS, Bae WC, Back SJ. 2003. Bioactive substances from myxo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1-12. 

  8. Li Z-F, Li X, Liu H, Liu X, Han K, Wu Z-H, et al. 2011. Genome sequence of the halotolerant marine bacterium Myxococcus fulvus HW-1. J. Bacteriol. 193: 5015-5016. 

  9. Reichenbach H. 2005. Myxococcales. pp. 1059-1144. In Brenner DJ, Krieg NR, Staley JT, Garrity GM (ed.),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nd ed. Bergey's Manual Trust, East Lansing, MI, USA. 

  10. Reichenbach H, Hofle G. 1999. Myxobacteria as producers of secondary metabolites. pp. 149-179. In Grabley S, Thiericke R (ed.), Drug Discovery from Nature, Springer Verlag, Berlin. 

  11. Reichenbach H, Dworkin M. 1992. The myxobacteria. pp. 3416-3487. In Balows A, Truper HG, Dworkin M, Harder W, Schleifer K-H (ed.), The Prokaryotes, 2nd ed., vol. IV, Springer Verlag, New York. 

  12. Sasse F, Bohlendorf B, Herrmann M, Kunze B, Forche E, Steinmetz H, et al. 1999. Melithiazols, new beta-methoxyacry-late inhibitors of the respiratory chain isolated from myxobacteria. Production, isolati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J. Antibiot. 52: 721-729. 

  13. Shi W, Kohler T, Zusman DR. 1994. Motility and chemotaxis in Myxococcus xanthus. Methods Mol. Genet. 3: 258-269. 

  14. Shin H, Youn J, An D, Cho K. 2013.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by strains of myxobacteria Corallococcus and Myxococcu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44-51. 

  15. Trowitzsch-Kienast W, Forche E, Wray V, Reichenbach H, Jurkiewicz E, Hunsmann G, et al. 1992. Antibiotika aus gleitenden bakterien, 45. Phenalamide, neue HIV-1-inhibitoren aus Myxococcus stipitatus Mx s40. Liebigs Annalen der Chemie. 1992: 659-779. 

  16. Weinig S, Hecht HJ, Mahmud T, Muller R. 2003. Melithiazol biosynthesis: further insights into myxobacterial PKS/NRPS systems and evidence for a new subclass of methyl transferases. Chem. Biol. 10: 939-952. 

  17. Weissman KJ, Muller R. 2009. A brief tour of myxobacterial secondary metabolism. Bioorg. Med. Chem. 17: 2121-2136. 

  18. Weissman KJ, Muller R. 2010. Myxobacterial secondary metabolites: bioactivities and modes-of-action. Nat. Prod. Rep. 27: 1276-1295. 

  19. Wenzel SC, Muller R. 2009. The impact of genomics on the exploitation of the myxobacterial secondary metabolome. Nat. Prod. Rep. 26: 1385-1407. 

  20. Zusman DR, Scott AE, Yang Z, Kirby JR. 2007. Chemosensory pathways, motility and development in Myxococcus xanthus. Nat. Rev. Microbiol. 5: 862-8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