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말굽버섯의 열수추출물에서 얻은 조다당체인 MFKF-CP를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DEAE-sepharose FF 및 ConcanavalinA-sepharose 4B를 이용한 두 차례의 연속적인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다. DEAE-sepharose FF에서는 3종류의 다당체(MFKF-NP, MFKF-AP1, MFKF-AP2)를 분리하였는데, 그 중에서 MFKF-AP1이 $50{\mu}g/ml$ 농도에서 70% 이상의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다. 이어서 ConcanavalinA-sepharose 4B 칼럼을 이용해 MFKF-AP1과 MFKF-AP2 다당체로부터 각각 MFKF-AP1${\alpha}$, ${\beta}$와 MFKF-AP2${\alpha}$, ${\beta}$ 다당체를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MFKF-AP1${\beta}$$20{\mu}g/ml$ 농도에서 70% 이상의 가장 우수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활성 순서는 MFKF-AP1${\beta}$ > MFKF-AP1${\alpha}$ > MFKF-AP2${\alpha}$ > MFKFAP2${\beta}$ > MFKF-NP > PKS이었다. 또한, $Mg^{++}$$Ca^{++}$ 이온이 제거되거나 첨가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 실험을 통해 말굽버섯의 주 항보체 다당체인 MFKF-AP1${\beta}$는 고전경로(classical pathway)와 대체경로(alternative pathway) 모두를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구성당 조성 분석에서는 중성다당체인 MFKF-NP를 제외하고 나머지 4종의 다당체가 xylose를 약 70-99%의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주요 항보체 다당체인 MFKF-AP1${\beta}$는 xylose를 99% 함유하고 glucose(0.24%) 및 arabinose (0.66%)를 미량 함유하고 있는 매우 특이한 homoxylan이었다. 또한, MFKF-AP1${\beta}$의 분자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약 12,00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ve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MFKF-NP, MFKF-AP1${\alpha}$, ${\beta}$, and MFKF-AP2${\alpha}$, ${\beta}$) were separ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f fruiting bodies of Fomes fomentarius by two subsequent column chromatography using DEAE-sep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말굽버섯의 자실체로부터 항보체 활성이 우수한 물에 잘 녹는 homoxylan을 처음으로 보고하고 이것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굽버섯 자실체에서 분리한 수용성 다당체로부터 인체 혈장내 보체계를 강력히 활성화시키는 다당체를 정제하고 이들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말굽버섯에서 유래한 다당체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굽버섯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버섯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은 기원전 8,000년 중석기시대의 유적에서 발굴된 바 있다. 북반구 온대 이북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말굽버섯은 구멍 장이 버섯 과(Polyporaceae) 말굽버섯 속(Fomes)에 속하는 버섯으로 활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生木)에 발생하여 여러 해 동안 자란다. 민간에서는 항종양, 항그람양성균, 항산화, 해열, 이뇨 및 항당뇨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중국의 [중약대사전], [중국본초도록] 등에서는 화균지(樺樺樺)라 하며, 식도암, 위암, 자궁암 등에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다.
말굽버섯은 계통 분류상 어디에 속하는 버섯인가? 버섯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은 기원전 8,000년 중석기시대의 유적에서 발굴된 바 있다. 북반구 온대 이북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말굽버섯은 구멍 장이 버섯 과(Polyporaceae) 말굽버섯 속(Fomes)에 속하는 버섯으로 활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生木)에 발생하여 여러 해 동안 자란다. 민간에서는 항종양, 항그람양성균, 항산화, 해열, 이뇨 및 항당뇨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중국의 [중약대사전], [중국본초도록] 등에서는 화균지(樺樺樺)라 하며, 식도암, 위암, 자궁암 등에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다.
민간에 알려진 말굽버섯의 효능은 무엇인가? 북반구 온대 이북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말굽버섯은 구멍 장이 버섯 과(Polyporaceae) 말굽버섯 속(Fomes)에 속하는 버섯으로 활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生木)에 발생하여 여러 해 동안 자란다. 민간에서는 항종양, 항그람양성균, 항산화, 해열, 이뇨 및 항당뇨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중국의 [중약대사전], [중국본초도록] 등에서는 화균지(樺樺樺)라 하며, 식도암, 위암, 자궁암 등에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의 주 약리성 물질에 대한 연구를 미국, 일본의 일부 연구진이 활발히 진행시켜 혈관성 치매 예방 및 치료효과, 항당뇨, 항암 효과 등 다양한 약리성이 보고된 바 있다[3, 4, 11, 12, 18,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lumenkrantz, N. 1973.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Anal. Biochem. 54: 484-489. 

  2.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3. Chen, W., Z. Zhao, S. F. Chen, and Y. Q. Li. 2008. Optim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 from Fomes fomentarius in submerged culture and its antitumor effect in vitro. Bioresour. Technol. 99: 3187-3194. 

  4. Chen, W., Z. Zhao, and Y. Q. Li. 2008. Simutaneous increase of mycelia bimass and in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Fomes fomentarius and its biological function of gastric cancer intervention. Carbohydr. Polym. 85: 369-375. 

  5. Cui, F. J., W. Y. Tao, Z. H. Xu, W. J. Guo, H. Y. Xu, Z. H. Ao, J. Jin, and Y. Q. Wei. 2007. Structural analysis of anti-tumor heteropolysaccharide GFPS1b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Grifola frondosa GF9801. Bioresour. Technol. 98: 395-401. 

  6. Dubois, M., K. A. Gilles, J. K. Hamilton, P. A. Rebers, and F. Smith.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7. Gao, Q. P., H. Kiyohara, J. C. Cyong, and H. Yamada. 1989. Chemical properti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actions from roots and leaves of Panax ginseng. Planta Med. 55: 9-12. 

  8. Ghoneum, M. and A. Jewett. 2000.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feron-gamma from human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by MGN-3, a modified arabinoxylan from rice bran, and its synergy with interleukin-2 in vitro. Cancer Detect. Prev. 24: 314-324. 

  9. Ghoneum, M. 1998. Anti-HIV activity in vitro of MGN-3, an activated arabinoxylan from rice bra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3: 25-29. 

  10. Yamada, H., J. C. l. Cyong, and Y. Otsuka. 198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 activating-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root of Lithospermum euchromum royle. Int. J. Immunopharmacol. 8: 71-78. 

  11. Ito, H., M. Sugiura, and T. Miyazaki. 1976.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Fomes formentarius. Chem. Pharm. Bull. 24: 2575. 

  12. Ito, H. 1986. Effects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on drug-metabolizing system in sarcoma 180- bearing mice. Jpn. J. Pharmacol. 40: 435-443. 

  13. Jones, T. M. and P. Albersheim. 1972. A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s. Plant Physiol. 49: 926-936. 

  14. Kabat, E. A. and M. M. Mayer. 1964. Complement and complement fixation: in Experiment Immunology, Charles C. Thomas Publisher, Springfield, Illinois. 

  15. Kojima, T., K. Tabata, W. Itoh, and T. Yanaki. 1986. Molecular weight dependence of the antitumor activity of schizophyllan. Agric. Biol. Chem. 50: 231-232. 

  16. Kweon, M. H., H. Jang, W. J. Lim, H. I. Chang, C. W. Kim, H. C. Yang, H. J. Hwang, and H. C. Sung. 1990. Anti-complementary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fruit bodies of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J. Microbiol. Biotechnol. 9: 450-456. 

  17. Lavia, I., D. Friesemb, S. Gereshc, Y. Hadarb, and B. Schwartza. 2006. An aqueous polysaccharide extract from the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induces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on HT-29 colon cancer cells. Cancer Lett. 244: 61-70. 

  18. Lee, J. S. 2005.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utr. Res. 25: 187-195. 

  19. Lee, K. H., J. W. Lee, M. D. Han, H. Jeong, Y. I. Kim, and D. W. Oh. 1994. Correlation between anti-complementary and antitumor 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45-51. 

  20. Mizuno, T. and N. Ukai. 1992. Antitumor-activ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m, and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called Yamabushitake or Houtou. Biosci. Biotechnol. Biochem. 56: 347-348. 

  21. Michaelson, T. E., A. Gilje, A. B. Samuelson, K. Hogaesen, and B. S. Paulsen. 2000. Interaction between human complement and a pectin type polysaccharide fraction. PMII, from the leaves of Plantago major L. Scandinabian. J. Immunol. 52: 483-490. 

  22. Okawa, K., M. Takeuchi, and N. Nakamura. 2005. Immunological effects of partially hydrolyzed arabinoxylan from corn husk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9: 19-25. 

  23. Okuda, T., Y. Yoshioka, T. Ikekawa, G. Chihara, and K. Nishioka. 1972.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antitumor polysaccharides. Nature New Biol. 238: 59-60. 

  24. Park, Y. M., I. T. Kim, H. J. Park, J. W. Choi, K. Y. Park, J. D. Lee, B. H. Nam, D. G. Kim, J. Y. Lee, and K. T. Lee. 2004.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of Fomes fomentarius. Biol. Pharm. Bull. 27: 1588- 1593. 

  25. Samuelsena, A. B., I. Lunda, J. M. Djahromia, B. S. Paulsena, J. K. Wolda, and S. H. Knutsenb. 1999. Structural features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some heteroxylan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the seeds of Plantago major L.. Carbohydr. Polym. 38: 133-143. 

  26. Sasaki, T. and N. Takasuka. 1976, Further study of the structure of lentinan, an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Lentinus edodes. Carbohydr. Res. 47: 99-104. 

  27. Schepetkin, I. A. and M. T. Quinn. 2006. Botanical polysaccharides: macrophage immunomodulation and therapeutical potenti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6: 317-333. 

  28. Shin, K. S., K. S. Kwon, and H. C. Yang. 1992.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J. Korean Agric. Chem. Soc. 35: 42-50. 

  29. Song, W. C. and M. R. Sarrias. 2000. Complement and innate immunity. Immunopharm. 49: 187-198. 

  30. Song, C. H. 1998.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endopolymers produced from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higher fungi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entinus edodes. Biotechnol. Lett. 20: 741-744. 

  31. Suzuki, H., K. Hasimoto, S. Oikawa, K., Sato, M. Osawa, and T. Yadomae. 1989.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a $\beta$ -glucan obtained from liquid-cultured Grifola frondosa. Chem. Pharm. Bull. 37: 410-413. 

  32. Tabata, K., W. Itoh, T. Kojima, S. Kawabate, and K. Misaki. 1981. Ultrasonic degradation of schizophyllan, and antitumor polysaccharide produced by Schizophyllum commune RRIES. Carbohydr. Res. 89: 121-135. 

  33. Thomas, A. E. and I. Kimishige. 1974. Activation of alternative pathway of human complement by rabbit cells. J. Immunol. 113: 348-358. 

  34. Tsukagoshi, S., Y. Hashimoto, G. Fujii, H. Kobayashi, K. Nomoto, and K. Orita. 1984. Krestin (PSK). Cancer Treat Rev 11: 131-155. 

  35. Vincent, E., C. Ooi, and F. Liu. 2000. Immunomodulation and Anti-cancer activity of polysaccharide-protein complexes. Curr. Med. Chem. 7: 715-729. 

  36. Yamada, H., T. Nagai, J. C. Cyong, Y. Otsuka, N. Shimizu, and K. Shimada. 1985.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structure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plant polysaccharides, Carbohydr. Res. 144: 101-111. 

  37. Yameda, H., T. Nagai, J. C. Cyong, and Y. Otsuka. 1991. Mode of complement activation by acidic heteroglycan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Chem. Pham. Bull. 39: 2077-2081. 

  38. Yanahira, S., H. Kiyohara, J. C. Cyong, and Y. Otsuka. 1987.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acidic heteroglycans from the seed of Coix lacrym-jobi var. ma-yuen. Phytochemistry 26: 3269-3275. 

  39. Yang, H. C. 1998.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anti-complementary and macrophage activ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garicus bisp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9-716. 

  40. Yoon, S. H., J. H. Lim, Y. S. Kim, C. H. Kim, J. H. Jo, and Y. S. Hwang. 1998.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teoglycans extracted from fruitin bodies of Fomitella fraxinea. The Korean J. Mycology 26: 511-518. 

  41. Yoon, S. H. 1998. Chemical analysis of acidic proteo-heteroglycans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from the hot-water extracts of Fomitella fraxinea. The Korean J. Mycology 26: 502-510. 

  42. Zhang, M., S. W. Cui, P. C. K. Cheung, and Q. Wang. 2007.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mushrooms: a review on their isolation proces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tumor activity.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8: 4-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