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 게르마늄 농축수로 재배한 농산물의 항염 및 함암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of Agricultural Produce Grown with Organic Germanium-enriched Wate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6 no.1, 2021년, pp.103 - 109  

이명선 (청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in sprouts of mouse-eyed bean (Rhynchosia nulubilis), ginseng (Panax ginseng),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and lettuce (Lactuca sativa) grown with organic germanium concent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의 질병 예방과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생활 문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온화 기기를 사용하여 고함량 게르마늄 농축수를 제작(게르마늄 함량: 1, 683 ppm)하고, 이 농축수를 다량 희석하여 재배한 농산물들에서 게르마늄의 함량 분석과 효능 분석을 함으로써 고농도 유기 게르마늄 함유 농산물의 항염 및 항암 효과를 확인하고 웰니스 보조식품 신소재로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온화 기기를 사용하여 고함량 게르마늄 농축 수를 제작하고, 이 농축수를 다량 희석하여 재배한 농산물에서 게르마늄의 함량 분석과 효능분석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인체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천연의 게르마늄 농축수로 재배한 쥐눈이 콩나물, 인삼 새싹, 들깨 새싹, 브로콜리 새싹 및 상추 새싹에서 다량의 게르마늄 성분이 검출되었고, 모든 실험군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p<0.
  • 2004)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천연의 고농축 게르마늄 수를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이로 인하여 농도 조절이 가능한 게르마늄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배한 새싹에서 게르마늄의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항암, 항염 활성과 게르마늄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세계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전립선 암에 강력한 항암효과를 나타낸 인삼 새싹과 브로콜리 새싹은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의약품 보조 식품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결과들은 다량의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는 농산물들이 국민 건강에 도움을 주는 웰니스 보조 식품의 신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so H, Suzuki F, Yamaguchi T, Hayashi Y, Ebina T, Ishida N. 1985. Induction of interferon and activation of NK cells and macrophages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Ge-132, and organic germanium compound. Microbiol. Immmunol., 29(1): 65-74 

  2. Broz P, Dixit VM. 2016. Inflammasomes: mechanism of assembly, regulation and signalling. Nat. Rev. Immunol., 16(7):407-20 

  3. Chang EJ, Oh H. 2005. Effects of addition of inorganic germanium, GeO2 on the growth, germanium and saponin contents of ginseng adventitious root in submerged culture. J. Ginseng Res., 29 (3):145-151 

  4. Clardy J, Walsh C. 2004. Lessons from natural molecules. Nature., 432:829-837 

  5. Ding J, Shao F. 2017. SnapShot: The Nonca nonical inflammasome. Cell., 168(3): 544-544 e1 

  6. Gerber GB, Leonard A. 1997. Mutagenicity, carcinogenicity and teratogenicity of germanium compounds. Mutation Research., 387:141-146 

  7. Ho CC, Cherm YF, Lin MT. 1990. Effects of organo germanium compound 2-carboxyethyl germanium sesquioxide on cardiovascular function motor activity in rats. Pharmacology., 41:286-291 

  8. Hur JY, Kim MJ, Hong SP, Yang, HJ. 2020. Anticancer effects of Ganjang with different aging periods. J Korean Soc. Food Cult., 35(2): 215-223 

  9. Iijima M, Mugishima M, Takeuchi M, Uchiyama S, Kobayashi I, Maruyama S. 1990. A case of inorganic germanium poisoning with peripheral and cranial nephropathy. Myopathy and Autonomic Dysfunction., 42(9):851-856 

  10. Ikemoto K. 1996. 2-Carboxyethyl germanium com pound, as an inducer of contrasuppressor T cells. Experientia., 52(2):159-166 

  11. Jang JJ, Cho KJ, Lee YS, Bae JH. 1991. Modifying responses of allyl sulfide, indole-3-carbinol and germanium in a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Carcino genesis., 12(4): 691-695 

  12. Jeong WS. 2008. Soybean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Inje Food Sci Forum Collection of Dissertations., 15:135-149 

  13. Kim EJ, Kim TS, Kim MH. 2013.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ccoli sprouts cultivated in the plant factory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8(1):57-69 

  14. Kim EJ, Lee KI, Park KY. 2002. Quality analysis of nutrients in soybean sproutes cultures with German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150 

  15. Kim EJ, Lee KI, Park KY. 2004. The growth inhibition against gastric cancer cell in germanium or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3):287-291 

  16. Kim KT, Kim SS, Lee SH, Kim DM. 2003. The functionally of barley leaf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36:45-49 

  17. Kim MJ, Kim IJ, Nam SY, Lee CH, Yun T, Song BH. 2006.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 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8-13 

  18. Lamkanfi M, Dixit VM. 2014. Mechanisms and func tions of inflammasomes. Cell., 277(1):61-75 

  19. Lee HM, Chung Y. 1991. Effect of organic germanium on metallothionnein induction in liver and kidney of cadmium and mercury intoxicated rats. Yakhak Hoeji., 35(2):99-110 

  20. Lee JS, Park JL, Kim SH, Park SH, Kang SK, Park CB, Sohn TU, Kang JK, Kim YB. 2004. Oral single and repeateddose toxicity studies on Geranti Bio-Ge yeast, organic germanium fortified yeasts, in rats. J. Toxicol. Sci. 29:541-553 

  21. Lee MS. 2016. Study on efficac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taining germanium. J. of The Korea Industry Association., 10(6): 451-459 

  22. Lee ST, Lee YH, Heo JY, Hong KP, Dahlgren RA, Heo JS. 2008.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germanium uptake by water celery in soil treated with germanium. Korean J.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2):185-190 

  23. Man SM, Karki R, Kannegan TD. 2017. Molecular mechanisms and functions of pyroptosis, inflammatory caspases and inflammasomes in infectious diseases. Immunol Rev., 157(5):1013-22 

  24. Mathur A, Hayward JA, Man SM. 2018. Molecular mechanisms of inflammasome signaling. J. Leukoc Biol., 103(2): 233 

  25. Mochizuki H, Kada K. 1982. Antimutagenic effect of Ge-132 on ?-ray-induced mutation in Escherichia coli B/rWP2 trp-. Int. J. Radiat. Bio., 42(6): 653-659 

  26. Newman DJ, Cragg GM. 2012. Natural products as sources of new drugs over the 30 years from 1981 to 2010. J. Nat. Prod. 75:311-355 

  27. Obra K, Saito T, Sato H, Yamakage K, Watanabe T, Kakizawa M, Tsukamoto T, Kobayashi K, Hongo M, Yoshinaga K. 1991. Germanium poisoning; Clinical symptoms and renal damage caused by long-term intake of germanium. Japanese J. of Medicine., 30(1): 67-72 

  28. Seo DC, Cheon YS, Park SK, Park JH, Kim AR, Lee WG, Lee ST, Lee YH, Cho JS, Heo JS. 2010. Applications of different types of germanium compounds on rice plant growth and its Ge uptake. Korean J. of soil Science Fertilizer., 43(2):166-173 

  29. Shi J, Gao W, Shao F. 2017. Pyroptosis: Gasdermin-mediated programmed necrotic cell death. Trends Biochem Sci., 42(4): 245-254 

  30. Sugiya S, Sakamaki T, Sugita Y, Abo H, Satoh 1986. Subacute oral toxicity of carboxyethylger manium sesquioxide (Ge132) in rats. Pharmacometrics., 31(6):1181-1190 

  31. Suzuki F, Brukiewicz RR, Pollard RB. 1986. Cooperation of lymphokine(s) and macro phages in expression of antitumor activity of carboxyethylgermanium (Ge-132). Anti tumor Res., 62(2):177-182 

  32. Suzuki Y, Taguchi K. 1983. Phamacological studies of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Ge-132). Pharmacometrics., 26(5): 803-810 

  33. Wei XS. 1992. Effect of yeast on bioenrichment of germanium. Food Science., 149:49-54 

  34. Yi YS. 2017. Caspase-11 non-canonical inflammasome: a critical sensor of intracellular lipopolysaccharide in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Immunology., 152(2):207-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