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복령(S. china) 메탄올 추출물(SCME)의 항비만 활성을 pancreatic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 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에서 MDI로 유도한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토복령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토복령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복령이 보유한 pancreatic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besity activity of Smilax china methanol extract (SCME) was evaluated using a pancreatic lipase enzyme inhibition assay, and a cell culture model system. Results indicated that, SCME effectively inhibited pancreatic lipase enzym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ipase는 주로 췌장에서 분비되어 TG를 glycerol과 fatty acid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지방소화효소인 pancreatic lipase의 활성 저해능은 시료가 보유한 항비만 활성을 예측하기에 매우 유용한 시험법이다[8]. 본 연구에서는 토복령의 항비만 활성을 세포 실험계에서 분석하기에 앞서 시료가 보유한 lipase 효소 활성 저해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1.
  • 본 연구에서는 토복령이 보유한 지방 생성 억제능의 작용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토복령 추출물이 adipogenesis에 관여하는 주요 핵심 조절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보유하여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토복령의 항비만 효과 및 그 기전을 알아보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토복령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보유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의 adipogenesis에 토복령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Fig.
  • 토복령이 보유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제거능(lipolysis activity)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Confluent 상태의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일간 배양한 다음 MDI를 첨가한 DMEM 배지로 2일간 배양하고 10 μg/ml이 든 DMEM 배지에 4일간 추가 배양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복령 추출물의 lipase 억제 양상은? 0, 17.8%의 lipase 활성을 나타내어 토복령 추출물이 lipase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1).
토복령이란? 토복령(Smilax china)은 백합과에 속하는 덩굴성 낙엽관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명감나무 또는 망개나무라고 불리기도 하며, 청미래덩굴의 근경을 지칭하는 생약을 말한다.
토복령의 생리학적 효과는? 한방과 민간에서 토복령은 해독, 임질, 소화, 이뇨 등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23]. 몸 속에 축적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수은 중독을 푸는데 효과적이며, 간질환, 관절염, 창독, 종기, 만성피부염, 간경화증, 신경통, 생리불순, 성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25, 27]. 이 외에도 항산화[20], 항염증[15] 활성과 위암, 간암, 식도암, 자궁암 등에서의 항암 효과 또한 보고되어 있으나[21, 29] 토복령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ttie AD, Scherer PE. 2009. Adipocyte metabolism and obesity. J. Lipid Res. 50: 395-399. 

  2. Bae CR, Kwon DY, Cha YS. 2013. Anti-obesity effects of salted and unsalted doenjang supplementation in C57BL/6J mice fed with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36-1042. 

  3. Back SH, Kim SH, Son KH, Chung KC, Chang HW. 1994. Inactivation of human pleural fluod phospholipase $A_2$ by dioscin. Arch. Pharm. Res. 17: 218-222. 

  4. Cao Z, Umek RM, McKnight SL. 1991.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d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Genes Dev. 5: 1538-1552. 

  5. Darlington GJ, Ross SE, MacDougald OA. 1998.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6. Despres JP, Lemieux I. 2006.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444: 881-887. 

  7. Ferraro KF, Su YP, Gretebeck RJ, Black DR, Badylak SF. 2002. Body mass index and disability in adulthood: a 20-year panel study. Am. J. Public Health. 92: 834-840. 

  8. Flier JS, Maratos Flier E. 1998. Obesity and the hypothalamus: novel peptides for new pathways. Cell 92: 437-440. 

  9.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et al.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 1752-1761. 

  10. Grundy SM. 1998.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67: 563-572. 

  11. Gupta R, Rathi P, Gupta N, Bradoo S. 2003. Lipase assays for conventional and molecular screening: an overview. Biotechnol. Appl. Biochem. 37: 63-71. 

  12. Heck AM, Yanovski JA, Calis KA. 2000. Orlistat, a new lipase inhibitor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Pharmacotherapy 20: 270-279. 

  13. Hotamisligil GS. 2006. Inflammation and metabolic disorders. Nature 444: 860-867. 

  14. Kedare SB, Singh RP. 2011. Genesis and development of DPPH method of antioxidant assay. J. Food Sci. Technol. 48: 412-422. 

  15. Khan I, Nisar M, Ebad F, Nadeem S, Saeed M, Khan H, et al. 2009.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ieboldogenin from Smilax china Linn.: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ies. J. Ethnopharmacol. 121: 175-177. 

  16.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583-591. 

  17. Kim SW, Chung KC, Son KH, Kang SS. 1989. Steroidal saponins from the rhizomes of Smilax china. Korean J. Phamacogn. 20: 76-82. 

  18. Kim SW, Son KH, Chung KC. 1989. Mutagenic effect of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rhizomes. Yakhak Hoeji 33: 285-289. 

  19. Kwon CS, Sohn HY, Kim SH, Kim JH, Son KH, Lee JS, et al. 2003. Anti-obesity effect of Dioscorea nipponica Makino with lipase-inhibitory activity in roden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1451-1456. 

  20. Lee SE, Ju EM, Kim JH.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enzyme fortify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Exp. Mol. Med. 33: 263-268. 

  21. Li YL, Gan GP, Zhang HZ, Wu HZ, Li CL, Huang YP, et al. 2007. A flavonoid glycoside isolated from Smilax china L. rhizome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n human cancer cell lines. J. Ethnopharmacol. 113: 115-124. 

  22. Liu F, Kim J, Li Y, Liu X, Li J, Chen X. 2001. An extra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has insulin-like uptake-stimulator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inhibitory activities in 3T3-L1 cells. J. Nutr. 131: 2242-2247. 

  23. Majdalawieh AF, Carr RI. 2010. In vitro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black pepper (Piper nigrum) and cardamom (Elettaria cardamomum). J. Med. Food. 13: 371-381. 

  24. Mukherjee M. 2003. Human digestive and metabolic lipases - a brief review. J. Mol Catal. B. Enzym. 22: 369-376. 

  25. Ntambi JM, Kim YC. 2000.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 3122-3126. 

  26. Park JA, Park C, Han MH, Kim BW, Chung YH, Choi YH. 2011.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21: 720-728. 

  27. Rosen ED, Hsu CH, Wang X, Sakai X, Freeman MW, Gonzalez FJ, et al. 2001. C/EBP $\alpha$ induces adipogenesis through PPAR: a unified pathway. Genes Dev. 16: 22-26. 

  28. Wei Y, Xu Y, Han X, Qi Y, Xu L, Xu Y, et al. 2013. Anti-cancer effects of dioscin on three kinds of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through inducing DNA damage and activating mitochondrial signal pathway. Food Chem. Toxicol. 59: 118-128. 

  29. Xu W, Liu J, Li C, Wu HZ, Liu YW. 2008. Kaempferol-7-Obeta-D-glucoside (KG) isolated from Smilax china L. rhizome induces G2/M phase arrest and apoptosis on HeLa cells in a p53-independent manner. Cancer Lett. 264: 229-2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