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청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oagulation Activi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2, 2013년, pp.228 - 235  

이예슬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경진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선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대표 채소중의 하나인 무의 지상부는 과거 채소가 귀했던 겨울철 주요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무청김치 및 우거지 등으로 식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도시와 농촌의 격리, 산업화의 정착,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무청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무청의 효율적인 이용 및 유용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청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식품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무의 무청을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청의 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5.6%이었으며, 이들의 n-hexane, ethylacetate 및 butanol 분획 효율은 각각 25.3, 3.6, 19.4%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51.7%를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ethylacetate 분획에서 97.57 및 152.91 mg/g의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 분획물은 매우 강력한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먼저 항균 활성의 경우 무청 n-hexane 및 ethylacetate 분획물은 그람 양성균(S. aureus, L. monocytogenesB. subtilis)에 대해 양호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에서는 E. coli 및 P. aeruginosa를 제외한 P. vulgaris와 S. typhimurium에 대해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물 잔류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부분적인 항세균활성이 나타나, 무청 추출물이 다양한 항세균 활성물질을 포함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혈전 활성 평가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양호한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억제활성과 함께, 강력한 내인성 혈전 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무청이 영양적 측면 및 유용생리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식품소재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무청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 및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한 유용 소재개발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dish (Raphanus sativus) is a common cruciferous vegetable, and its aerial parts, called Mu-chung in Korean, have plentiful nutritional components such as vitamins, minerals and dietary fibers. Mu-chung has been used as a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dish, and dried Mu-chung is an impor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재래종 조선무의 무청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에 대한 보고는 없으며 활성 분획물 및 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4, 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청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식품소재 개발을 목표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재래종 조선무의 무청을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이들의 유용생리활성들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무청 ethanol 추출물, 특히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매우 강력한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무청이 영양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유용 생리활성면에서도 매우 가치 있는 식품소재이며, 향후 건강식품 개발의 새로운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그러나, 최근의 도시와 농촌의 격리, 산업화의 정착,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무청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무청의 효율적인 이용 및 유용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청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식품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무의 무청을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청의 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는 분류학상 어디에 속하는 식물입니까? 무(Raphanus sativus L.)는 쌍떡잎 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초본으로, 품종에 따라 비대한 지하부 뿌리(무)와 지상부 엽채(무청)를 함께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뿌리만 또는 무청만 식용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지역에 따라 무우, 무수, 무시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주로 3종류가 재배되고 있다.
조선무의 무청 ethanol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 결과는?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혈전 활성 평가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양호한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억제활성과 함께, 강력한 내인성 혈전 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무청이 영양적 측면 및 유용생리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식품소재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무청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 및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한 유용 소재개발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무청의 생리 활성은 무엇이 있습니까? 무에 대한 연구로는, 무 재배, 저장, 가공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생리활성으로는 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3], 항세균 활성[6], 인간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활성[4, 24], 무 식이섬유에 의한 배변촉진 활성[18], 및 항염증 활성 [19]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무청에 대한 연구로는 조리방법에 따른 미네랄 함량 변화[9], 열풍건조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16], 무청의 건조방법에 따른 미생물 변화[15]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생리활성에 대한 보고로는 무청의 항고혈압 활성[7, 12], 유방암 세포 성장억제활성[13], 폐암세포 생육억제효과[24], 항산화 활성[5, 14, 17], 콜레스테롤 축적 억제효과[17], 장 기능 개선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10], 및 위장 자극 저하 및 자궁수축 활성[8] 등이 있다. 그러나, 재래종 조선무의 무청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에 대한 보고는 없으며 활성 분획물 및 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4,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O. A. 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Ahn, S. M., H. Y. Ryu, D. K. Kang, I. C. Jung, and H. Y. Sohn. 2009.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 of Prunus avium 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95-200. 

  3. Beevi, S. S., L. N. Mangamoori, and B. B. Gowda. 2012. Polyphenolics profil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aphanus sativus L. Nat. Prod. Res. 26: 557-563. 

  4. Beevi, S. S., L. N. Mangamoori, M. Subathra, and J. R. Edula. 2010. Hexane extract of Raphanus sativus L. roots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s by modulating genes related to apoptotic pathway. Plant Food Hum. Nutr. 65: 200-209. 

  5. Beevi, S. S., M. L. Narasu, and B. B. Gowda. 2010. Polyphenolics profile,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eaves and stem of Raphanus sativus L. Plant Food Hum. Nutr. 65: 8-17. 

  6. Beevi, S. S., L. N. Mangamoori, V. Dhand, and D. S. Ramakrishna. 2009. Isothiocyanate profile and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of root, stem, and leaf extracts derived from Raphanus sativus L. Foodborne Pathog. Dis. 6: 129-136. 

  7. Chung, D. H., S. H. Kim, N. Myung, K. J. Cho, and M. J. Chang. 2012.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ethylacetate extract of radish leav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Nutr. Res. Pract. 6: 308-314. 

  8. Ghayur, M. N. and A. H. Gilani. 2005. Gastrointestinal stimulatory and uterotonic activities of dietary radish leaves extract are mediated through multiple pathways. Phytother. Res. 19: 750-755. 

  9. Han, J. S., J. S. Kim, M. S. Kim, and Y. H. Choi. 1999. Changes on mineral contents of vegetable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5: 382-387. 

  10. Jang, H. S., J. M. Ahn, K. H. Ku, S. J. Rhee, S. K. Kang, and J. H. Choi. 2008. Effect of radish leaves powder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fecal triglyceride and sterol excretion in rats feed a hypercholesterol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58-1263. 

  11. Kim, J. I., H. S. Jang, J. S. Kim, and H. Y. Sohn.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33-139. 

  12. Kim, B. R., J. H. Park, S. H. Kim, K. J. Cho, and M. J. Chang. 2010. Antihypertensive properties of dried radish leaves powder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Nut. 43: 561-569. 

  13. Kim, W. K., J. H. Kim, D. H. Jeong, Y. H. Chun, S. H. Kim, K. J. Cho, and M. J. Chang. 2011.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f) ethanol extract inhibits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ErbB(2) and ErbB(3)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Nutr. Res. Pract. 5: 288-293. 

  14. Ku, K. H., K. A. Lee, and Y. E. Kim.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90-395. 

  15. Ku, K. H., K. A. Lee, Y. L. Kim, and M. G. Lee. 2006. Effects of pre-treatment method on the surface microbe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49-654. 

  16. Ku, K. H., K. A. Lee, Y. L. Kim, and Y. W. Lee.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80-785. 

  17. Rhee, S. J., J. M. Ahn, K. H. Ku, and J. H. Choi. 2005. Effect of radish leaves powder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57-1163. 

  18. Shimotoyodome, A., S. Meguro, T. Hase, I. Tokimitsu, and T. Sakata. 2001. Sulfated polysaccharides, but not cellulose, increase colonic mucus in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Digest. Dis. Sci. 46: 1482-1489. 

  19. Sim, J. G., J. H. Lee, T. Y. Shin, S. H. Jeong, M. H. Kim, H. H. Ku, and J. S. Park. 2010.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egetable soup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97-1101. 

  20. Singleton, V. L., R. Orthofer, and R. M. Lamuela-Raventos.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21. Sohn, H. Y., H. Y. Ryu, Y. J. Jang, H. S. Jang, Y. M. Park, and S. Y. Kim. 2008.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of Saxifraga stolonifer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95-200. 

  22. Sohn, H. Y., K. H. Son, C. S. Kwon, G. S. Kwon, and S. S. Kang. 2004.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y of 18 prenylated flavonoids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s: Morus alba L., Morus mongolica Schneider, Broussnetia papyrifera (L.) Vent, Sophora flavescens Ait and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Phytomedicine 11: 666-672. 

  23. Valentina, U., J. Fabcic, and F. Stampar. 2007. Sugars, organic acid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weet cherry (Prunus avium L.). Food Chem. 107: 185-192. 

  24. Yim, H. B., G. Lee, and H. J. Chae. 2004. Cytotoxicity of ethanol extract of Raphanus sativus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87-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