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청 분말이 첨가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with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f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3, 2015년, pp.318 - 327  

김찬희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eolgiddeok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adish leaf powder, and stored for 3 day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the decrease was less in the groups with radish leaf powde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가 될 수 있는 무청의 이용성 증진을 목적으로 무청분말 첨가 설기떡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하여 최적 배합비를 선정함으로써 무청분말 첨가 설기떡의 제품화 가능성도 같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기떡의 수분함량을 높이는 무청분말 첨가가 적정 수준 이상이 됐을 때, 오히려 설기떡의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증가할수록 설기떡의 수분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RL12의 경우는 다른 무청분말 첨가 설기떡과 비교시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설기떡 제조시 무청분말 9% 정도까지의 첨가는 완성된 설기떡 구조 내에서 수분결합력이 높은 무청분말의 식이섬유소가 가열시 겔화되어 보수력을 유지하면서 호화전분의수분증발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지만 RL12의 경우는 무청분말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식이섬유소의수분결합력이 상대적으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즉 무청분말 내 식이섬유소의 양이 너무 많게 되면 가열 후 호화전분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수분을 보유하기 보다는 오히려 호화전분의 수분을 식이섬유소가 흡착해 오는 반대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설기떡 자체의 수분함량이 적어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무청분말
무청이란 무엇인가? 무청(Raphanus sativus L. leaf)은 무의 잎 부분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자연 건조시켜 채소가 귀했던 겨울철에 국이나 나물로 조리하여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소의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도시와 농촌의 생활방식 차이, 산업화의 정착,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무가 대량 생산되는 시기에 상응하여 생산되는 무청의 양은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Ku KH 등 2008).
무청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은 무엇인가? 그렇지만 도시와 농촌의 생활방식 차이, 산업화의 정착,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무가 대량 생산되는 시기에 상응하여 생산되는 무청의 양은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Ku KH 등 2008). 무청에는 β-  carotene과 비타민 C, 칼륨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다량 들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무청을 말린 우거지의 경우 35% 이상이 건강에 유용한 식이섬유소를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면서 무청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관심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Lee SO 등 2005, Ku KH 등 2006a, Tatsuzawa F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by different amount of bamboo leaf flour. Korean J Culinary Res 16(1):104-111 

  2.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777-784 

  3. Bae YJ,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buchu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6):827-833 

  4. Baek HN, Lee HG. 2004. Sensory and texture properties of neuti-dduk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 Sci 20(1):49-56 

  5. Cha GH, Lee EM, Lee HG. 2005. Sensory and ma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 Sci 21(4):422-432 

  6. Cho EJ, Yang MO, Hwang CH, Kim WJ, Kim MJ, Lee M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m Miquel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458-467 

  7. Choi WS, Choi MK, Chae K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apricot seed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6):653-659 

  8. Chung DH, Kim SH, Myung N, Cho KJ, Chang MJ. 2012.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ethylacetate extract of radish leav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Nutr Res Pract 6(2):308-314 

  9. Gwon SY, Moon BK. 2009.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green tea or rosemary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5(2):150-159 

  10. Han JS, Kim JS, Kim MS, Choi YH. 1999. Changes on mineral contents of vegetable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5(3):382-387 

  11. Jang HS, Ahn JM, Ku KH, Rhee SJ, Kang SK, Choi JH. 2008. Effect of radish leaves powder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fecal triglyceride and sterol excretion in rats feed a hypercholesterol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1258-1263 

  12. Jang MS, Kim BW, Yoon SJ. 2005. Effects of addition baekbokryung (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ook Sci 21(6):895-907 

  13. Jeon ER, Jung LH, Kim KA. 2000.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starch during steeping condition of potato. Korean J Soc Food Sci 16(3):431-436 

  14. Jung JS, Shin SM, Kim A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Korean J Food Nutr 23(2):147-153 

  15. Kang YS, Cho TO, Hong J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Aralia elat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5(5):593-599 

  16. Kim KO, Kim SS, Sung NK, Lee YC. 1997. Methods & application of sensory evaluation. Sinkwang Press, Seoul, Korea. pp 131-135 

  17. Kim SG, Lee SJ. 1998. Amylograph pasting properties of flour and starch of Korean rices differing in maturity. Agric Chem Biotechnol 41(3):421-425 

  18. Kim WK, Kim JH, Jeong DH, Chun YH, Kim SH, Cho KJ, Chang MJ. 2011.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f) ethanol extract inhibits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ErbB (2) and ErbB (3)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Nutr Res Pract 5(3):288-293 

  19. Ku KH, Lee KA, Kim YE.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390-395 

  20. Ku KH, Lee KA, Kim YL, Lee MG. 2006a. Effects of pretreatment method on the surface microbe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649-654 

  21. Ku KH, Lee KA, Kim YL, Lee YW. 2006b.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780-785 

  22. Lee ES,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yacon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6(5):545-551 

  23. Lee KH, Park HC, Her ES. 1998.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method. Hyoil Press, Seoul, Korea. pp 253-296 

  24. Lee MY, Yoon S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Hericium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6):575-580 

  25. Lee SH, Ch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9(3):233-239 

  26. Lee SO, Lee HJ, Yu MH, Im HG.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233-240 

  27. Lee YJ, Kim E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6):723-733 

  28. Lee YS, Kwon KJ, Kim MS, Sohn HY. 2013.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oagulation activi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2):228-235 

  29. Lim J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pple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2):111-123 

  30. Lim JH, Park J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parsley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1):101-111 

  3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Moonyoung, Seoul, Korea. pp 375-377 

  32. National Rural Science Institute RDA. 2011.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Kyomunsa Press, Seoul, Korea. pp 100-103 

  33. Park HY, Kim BW, Jang MS. 2008. The effects of added barley (Hordeum vulgare L.) sprout powder on the quality and preservation of sulgidduk. Korean J Food Cook Sci 24(4): 487-493 

  34. Park KS, Jang JO, Yoon HK, Kim HR.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heongkukjang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3):250-258 

  35. Park MK, Lee JM, Park CH, In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chlorell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25-229 

  36.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6):763-772 

  37. Prosky L, Asp NG, Schweizer TF, Devries JW, Furda I. 1988.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products interlaboratory study. J AOAC 71(3): 1017-1023 

  38. Rhee SJ, Ahn JM, Ku KH, Choi JH. 2005. Effect of radish leaves powder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4):1157-1163 

  39. Shin SM, Jung JS, Han MR, Kim AJ, Kim Y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red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5(5):586-592 

  40. Tatsuzawa F, Toki K, Saito N, Shinoda K, Shigihara A, Honda T. 2008. Anthocyanin occurrence in the root peels, petioles and flower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Dyes Pigm 79(1):83-88 

  41.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3(3):433-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