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의 우울기분과 영양 생활습관 및 건강특성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and depressed mood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6 no.3, 2013년, pp.261 - 275  

추지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 ,  이지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조한익 (한국건강관리협회) ,  박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 40세 중년기의 대규모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한 기분상태와 비만, 복부비만, 대사증후군, 혈압 검사, 혈액 검사 및 요검사의 건강특성 그리고 영양 생활습관 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는 201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의 16개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을 방문하여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수검한 총 27,684명의 검진결과에 대해 생애전환기 1차 건강진단의 문진에서의 정신건강 간이검사 결과에 따라 우울기분군과 비우울군을 분류하여 건강상태 및 영양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연구대상자의 6.4%인 1,781명은 우울기분군으로, 93.6%인 25,903명은 비우울군으로 분류되었다. 성별로는 남성의 4.3%, 여성의 8.0%가 우울기분군으로 우울기분의 분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역에 따라 다소 편차를 보였고, 건강보험가입자보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의료급여수급자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가족력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기존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우울기분의 높은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다. 체질량지수 (BMI)가 18.5 $kg/m^2$ 이하의 저체중에서 우울기분과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과체중 및 비만군은 정상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허리둘레 기준 남성 90 cm 이상/여성 85 cm 이상의 복부비만에서 우울기분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고, 복부비만에서 우울기분의 오즈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체질량지수의 저체중과 복부비만은 다른 일반 특성 및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보정 후에도 유의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혈액 및 요검사 결과에서는 HDL-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라이드 결과에 대한 질환의심 비율이 비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색소 결과에서는 질환의심의 비율이 우울기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우울기분의 오즈비에 대해서는 다른 일반 특성 및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보정 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생활습관 평가 결과에서는 총점 28점 미만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갖고 있는 비율이 우울기분군에서 비우울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우유, 두유, 유제품',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를 통한 단백질 식품', '김치이외의 채소', '과일이나 과일 주스' 등의 섭취빈도가 낮을수록 '매끼 정해진 시간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 우울기분과 더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만 40세 성인의 우울기분은 영양 생활습관과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에 따른 주요 건강특성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부정적인 영양생활습관은 우울기분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정신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지원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우울기분의 관리를 위해서는 영양생활습관의 개선을 교육,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depressed mood with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critical transition to the middle adulthood stage. A total of 27,684 people who have taken the Life Transition Period Health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이나 기타 특정질환을 갖고 있는 집단이 아닌, 건강한 우리나라 중년기 성인의 보편적인 특성을 반영할 대규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기반으로, 중년기의 시작인 만 40세 성인 남녀의 우울한 기분상태와 비만 및 이화학적 건강특성과 영양 생활습관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201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14개 지역에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받은 만 40세의 27,684명의 검진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특성 및 영양 생활습관이 우울기분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차 건강진단의 문진의 정신건강 간이검사에서 ‘우울기분 (Depressed mood)’군과 ‘비우울 (Non-depressed)’군을 구분하고, 그룹별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비만, 복부 비만, 대사증후군, 혈압, 혈액검사 및 요검사 결과의 건강 특성, 그리고 영양 생활습관 특성과 우울기분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의 위기를 잘 극복하지 못할 경우 나타나는 증상은? 중년기는 신체적 측면에서 생물학적 노화가 시작되고, 암과만성질환 발병률이 급상승하는 시기이다.1-3) 또한, 중년의 위기 (mid-life crisis)라 불리는 심리적 변화와 경제 및 기타생활 수준의 사회 환경적 변화를 잘 극복하지 못하면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4,5) 이러한 생애주기적 건강위험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에서는 2007년 4월부터 국민 건강을 증진을 목적으로 전국의 모든 만 40세를 대상으로 신체검사뿐만 아니라 생활습관 진단이 포함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중년기란? 중년기는 신체적 측면에서 생물학적 노화가 시작되고, 암과만성질환 발병률이 급상승하는 시기이다.1-3) 또한, 중년의 위기 (mid-life crisis)라 불리는 심리적 변화와 경제 및 기타생활 수준의 사회 환경적 변화를 잘 극복하지 못하면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중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것은? 1-3) 또한, 중년의 위기 (mid-life crisis)라 불리는 심리적 변화와 경제 및 기타생활 수준의 사회 환경적 변화를 잘 극복하지 못하면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4,5) 이러한 생애주기적 건강위험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에서는 2007년 4월부터 국민 건강을 증진을 목적으로 전국의 모든 만 40세를 대상으로 신체검사뿐만 아니라 생활습관 진단이 포함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있다.1,6)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은 1차 건강진단에서 이학적 검사, 혈압 및 신체검사, 정신건강 간이검사 등을 진행하고, 2차 건강진단에서 1차 건강진단의 결과 건강위험평가 상담, 생활습관평가와 처방, 정신건강검사 및 상담 등을 실시하는 체계로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anual for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the people in transi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2. Jun SJ, Kim HK, Lee SM, Kim SA.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J Korean Community Nurs 2004; 15 (2): 266-276 

  3. Kim MC. Mid-life crisis and it's related variables [PhD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89 

  4. Choi MK, Lee YH. Depression, powerlessness, social support, and socioeconomic status in middle aged community resi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0; 19(2): 196-204 

  5. Choi TS, Park HJ.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upon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male. Korean J Couns 2011; 12(3): 931-944 

  6. Kim YT, Lee WC, Cho B. National screening program for the transitional age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0; 53(5): 371-376 

  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health examination implementation guid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s analysis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pidemiological survey of psychiatric illnesse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10. Kwon SM.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Psychol Sci 1996; 5(1): 13-38 

  11. Hong KW. Korean depression genetics studies. Public Health Wkly Rep 2010; 5(19): 342-345 

  12. Kim HC.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epression according to biological method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1999; 5(1): 11-28 

  13. Lee MS.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Soc Sci 2010; (27): 5-30 

  14. Zhao G, Ford ES, Li C, Tsai J, Dhingra S, Balluz LS. Waist circumference, abdominal obesity, and depression among overweight and obese U.S. adul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6. BMC Psychiatry 2011; 11: 130 

  15. Maeng WJ. The association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hD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16. Choi WH.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2; 6 (2): 91-99 

  17. Kim EJ, Lee AR, Hwang MJ, Cho JH, Song MY.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tress and obesity indexes in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J Soc Korean Med Obes Res 2011; 11(1): 15-24 

  18. Kang JH, Oh SW, Yoon SJ, Choi MK, Suh SY, Lee IG, Cho BR, Hwang HS, Huh BY. Relationship of serum lipid profile and the degree of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Fam Med 2000; 21(2): 276-288 

  19. Lee BJ, Lee JS. Mediating effects of alcohol-induced stress in the relation between alcohol use and depressive symptoms. Soc Sci Res Rev 2007; 23(2): 193-212 

  20. Lee JW. A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and nutrients intake of depressed and normal subjects: base on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1 

  21. Kim KH. A survey o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ve trends, stress and attitudes of food intake in adults. Korean J Diet Cult 1998; 13(4): 327-337 

  22. Beydoun MA, Kuczmarski MT, Mason MA, Ling SM, Evans MK, Zonderman AB. Role of depressive symptoms in explaining socioeconomic status disparities in dietary quality and central adiposity among US adul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Am J Clin Nutr 2009; 90(4): 1084-1095 

  23. Nanri A, Kimura Y, Matsushita Y, Ohta M, Sato M, Mishima N, Sasaki S, Mizoue T. Dietary pattern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Japanese men and women. Eur J Clin Nutr 2010; 64(8): 832-839 

  24. Park JY, You JS, Chang KJ. Dietary taurine intake, nutrients intake, dietary habits and life stress by depression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 case-control study. J Biomed Sci 2010; 17 Suppl 1: S40 

  25. Kim SH, Kim H, Park SH, Hwang JY, Chung HW, Chang N. Dietary intake, dietary habits, and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Korean J Nutr 2012; 45(3): 229- 239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examination practic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Available from: http:// www.mw.go.kr/front_new/jb/sjb0402vw.jsp?PAR_MENU_ ID03&MENU_ID030405&page11&CONT_SEQ246758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examination operation rul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Available from: http://hi.nhic.or.kr/site/hi/ggpa001m06/ 

  28. Yoon SJ, Kim DJ.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nicotine dependence. Korean J Psychopharmacol 2005; 16(5): 351-360 

  29. Mendelsohn C. Smoking and depression--a review. Aust Fam Physician 2012; 41(5): 304-307 

  30. Korhonen T, Koivumaa-Honkanen H, Varjonen J, Broms U, Koskenvuo M, Kaprio J. Cigarette smoking and dimensions of depressive symptoms: longitudinal analysis among Finnish male and female twins. Nicotine Tob Res 2011; 13(4): 261-272 

  31. Suh GH, Kim JK, Yeon BK, Park SK, Yoo KY, Yang BK, Kim YS, Cho M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 39(5): 809- 824 

  32. Sunwoo YK, Bae JN, Hahm BJ, Lee DW, Park JI, Cho SJ, Lee JY, Kim JY, Chang SM, Jeon HJ, Cho MJ. Relationships of mental disorders and weight status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1; 26(1): 108-115 

  33. Chang HH, Yen ST.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epression: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ample of the elderly in Taiwan. Aging Ment Health 2012; 16(2): 173-180 

  34. Yu NW, Chen CY, Liu CY, Chau YL, Chang CM.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Chinese communit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health promo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erformance survey in Taiwan. Chang Gung Med J 2011; 34(6): 620-627 

  35. Li ZB, Ho SY, Chan WM, Ho KS, Li MP, Leung GM, Lam TH. Obes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elderly. Int J Geriatr Psychiatry 2004; 19(1): 68-74 

  36. Samaan Z, Anand SS, Zhang X, Desai D, Rivera M, Pare G, Thabane L, Xie C, Gerstein H, Engert JC, Craig I, Cohen-Woods S, Mohan V, Diaz R, Wang X, Liu L, Corre T, Preisig M, Kutalik Z, Bergmann S, Vollenweider P, Waeber G, Yusuf S, Meyre 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obesity-associated rs9939609 A variant in fat mass- and obesity-associated gene on depression. Mol Psychiatry.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2013 

  37. Rivera M, Cohen-Woods S, Kapur K, Breen G, Ng MY, Butler AW, Craddock N, Gill M, Korszun A, Maier W, Mors O, Owen MJ, Preisig M, Bergmann S, Tozzi F, Rice J, Rietschel M, Rucker J, Schosser A, Aitchison KJ, Uher R, Craig IW, Lewis CM, Farmer AE, McGuffin P. Depressive disorder moderates the effect of the FTO gene on body mass index. Mol Psychiatry 2012; 17(6): 604-611 

  38. de Wit LM, van Straten A, van Herten M, Penninx BW, Cuijpers P. Depression and body mass index, a u-shaped association. BMC Public Health 2009; 9: 14 

  39. Son YJ, Kim G.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self-esteem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ult women in Korea. Korean J Obes 2012; 21(2): 89-98 

  40. Han IY, Yoo HJ, Ryu OH, Sim KW, Rhee YS. Obesity and depression in women at an obesity clinic: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physique anxiety and stress. Korean J Health Promot 2010; 10(4): 147-153 

  41. Jung JW, Kim CH, Sin HC, Park YW, Cheong SY, Sung 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stress and depression - among the 35-64 years old clients of comprehensive medical examination center in on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 4(1): 10-17 

  42. Yoon DH, Park JH, Cho SC, Park MJ, Kim SS, Choi SH, Choi SY, Jeong IK, Lee CM, Shin CS, Cho SH, Oh BH, Choi JK.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Korean J Obes 2005; 14(4): 213-219 

  43. Kinder LS, Carnethon MR, Palaniappan LP, King AC, Fortmann SP. Depress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young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sychosom Med 2004; 66(3): 316-322 

  44.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1993; 26(9): 1129-1137 

  45. Mamplekou E, Bountziouka V, Psaltopoulou T, Zeimbekis A, Tsakoundakis N, Papaerakleous N, Gotsis E, Metallinos G, Pounis G, Polychronopoulos E, Lionis C, Panagiotakos D. Urban environment, physical inactivity and unhealthy dietary habits correlate to depression among elderly living in eastern Mediterranean islands: the MEDIS (MEDiterranean ISlands elderly) study. J Nutr Health Aging 2010; 14(6): 449-455 

  46. Tsai AC, Chang TL, Chi SH. Frequent consumption of vegetables predicts lower risk of depression in older Taiwanese - results of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Public Health Nutr 2012; 15(6): 1087-10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