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쇼핑장소에 따른 소비자특성과 로컬푸드 지출비 차이 분석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xpenditure of Local Food by Retail Store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4 no.2, 2013년, pp.195 - 207  

유소이 (전북대학교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xpenditures on local food between large scale stores and direct sale stores selling local food and to find some influencing factors on the expenditure on local food from both consumer groups. First, the l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마트 소비자와 로컬푸드직매장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과 로컬푸드의 지출비를 파악하여 구매행동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대형마트와 로컬푸드직매장 소비자들의 개별 특성들과 로컬푸드의 지출비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둘째, 로컬푸드의 지출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대형마트와 로컬푸드직매장 소비자간에 차이가 있는 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로컬푸드를 대상으로 대형마트 소비자와 로컬푸드직매장 소비자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형마트와 로컬푸드직매장 소비자들의 특성들과 지출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서 지출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008)은 소비자가 로컬푸드의 구매장소를 고려할 때 구매시 효용이 높은 소매점을 선택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로컬 푸드 수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Zepeda & Li 2006).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쇼핑장소에 따라 상이한 소비자의 특성이 로컬푸드의 구매행동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글로벌 푸드의 유통과 소비가 일반화되면서 일어난 현상은? 최근 들어 로컬푸드(local food)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나, 농식품의 유통시스템 측면에서 로컬푸드는 최근에 등장한 것이 아니라 교통수단이 발달하기 이전부터 농식품의 생산과 유통, 소비가 지역에서 자족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그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글로벌 푸드의 유통과 소비가 일반화되었고, 이는 제품의 중간 유통 단계를 더 복잡하게 하였다. 따라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관계가 단절되어 농식품 품질, 안전성 등에 대한 신뢰 저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로컬푸드로 전환하게 하였다(Gouk 2012).
로컬푸드의 시초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로컬푸드(local food)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나, 농식품의 유통시스템 측면에서 로컬푸드는 최근에 등장한 것이 아니라 교통수단이 발달하기 이전부터 농식품의 생산과 유통, 소비가 지역에서 자족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그 시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글로벌 푸드의 유통과 소비가 일반화되었고, 이는 제품의 중간 유통 단계를 더 복잡하게 하였다.
유통시스템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로컬푸드로 전환된 이유는? 그러나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글로벌 푸드의 유통과 소비가 일반화되었고, 이는 제품의 중간 유통 단계를 더 복잡하게 하였다. 따라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관계가 단절되어 농식품 품질, 안전성 등에 대한 신뢰 저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로컬푸드로 전환하게 하였다(Gouk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lake MK, Mellor J, Crane L(2010) Buying local food: Shopping practices, place, and consumption networks in defining food as "local". An Assoc Am Geogr 100(2), 409-426 

  2. Bond K, Thilmany JD, Bond C(2009) Where do consumers shop for fresh produce and why? J Agri Appl Econ 41(1), 61-74 

  3. Brown C(2003) Consumers' preferences for locally produced food: A study in Southeast Missouri. Am J Alter Agri 18(4), 213-224 

  4. Cha M, Kim Y(2009)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of organic foods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health concerns, healthy eating practices and attitudes, and food choice motives. Korean J Community Nutr 14(3), 286-294 

  5. Choi H, Lee K(2012)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for organic food: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 Distr Sci 10(2), 55-62 

  6. Conner D, Colasanti K, Ross B, Smalley SB(2010) Locally grown foods and farmers markets: Consumer attitude and behaviors. Sustainability 2, 742-756 

  7. Gouk S(2012) Local food and regional food industry. Agricultural Outlook 2012 Korea EO4-2012, Korea Rural Econ Inst, pp453-497 

  8. Hebert M(2011) Examining current research on local food: A review. Studies by Undergraduate Researchers at Guelph 4(2), 88-92 

  9. Jekanowski MD, Williams II DR, Schiek WA(2000)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An analysis of an indiana survey. Agri Res Econ Rev 29(8), 43-53 

  10. Jeonbukilbo(2012) Direct sale store for Local food-Yongjin store. Available from http://m.jjan.kr/article View.html?idxno450402&menu3 [cited 2012 December 23] 

  11. Joongangilbo(2012) Contributing to farmer's income by supplying local food to large scale store. Available from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388786&clocolink/article/default [cited 2012 November 22] 

  12. Kim J(2006) The perceived needs and purchas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of goods and services. J Korean Home Manag Assoc 24(6), 147-160 

  13. Lake AA, Hylans RM, Rugg-Gunn AJ, Wood CE, Mathers JC, Adamson AJ(2007) Health eating: Perceptions and practice(the ASH30 study). Appet 48, 176-182 

  14. Lockie S, Lyons K, Lawrence G, Grice J(2004) Choosing organics: A path analysis of factors underlying the selection of organic food among Australian consumers. Appet 43, 135-146 

  15. Lindeman M, Vaananen M(2000) Measurement of ethical food choice motives. Appet 34, 55-59 

  16. LocalfoodKnews(2012) Rediscovery of local food in Korea. Available from http://www.localfood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 [cited 2012 December 23] 

  17. Lusk JL, Nilsson T, Foster K(2007) Public preferences and private choices: Effect of altruism and free riding on demand for environmentally certified pork. Envir Res Econ 36, 499-521 

  18. Onozaka Y, Nurse G, McFadden DT(2010) Local food consumers: How motivations and perceptions translate to buying behavior. Choices 25(1), 1-6 

  19. Park Y, Jeong Y(2004) Determinants of food away from home and consumption patterns. Korean J Food Culture 19(1), 118-127 

  20. Pearson D, Henryks J, Trott A, Jones P, Parker G, Dumaresq D, Dyball R(2011) Local food: Understanding consumer motivations in innovative retail formats. Br Food J 113(7), 886-899 

  21. Pieniak Z, Verbeke W, Vanhonacker F, Guerrero L, Hersleth M(2009)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and motives for food choice in six European countries. Appetite 53, 101-108 

  22. Sohn S(2006) The modern food consumption phenomena and it's meaning in context of consumption culture. Korean J Food Culture 21(3), 241-246 

  23. Steptoe A, Pollard TM, Wardle J(1995) Development of a measure of the motives underlying the selection of food: the food choice questionnaire. Appetite 25, 267-284 

  24. The Farmers Newspaper(2012) Establishing direct local food store in Jeonju. Available from http://www.nongmin.com/article [cited 2012 December 23] 

  25. Thilmany D, Bond CA, Bond J(2008) Going local: Exploring consumer behavior and motivations for direct food purchasers. Am J Agri Econ 90(5), 1303-1309 

  26. Tivadar B, Luthar B(2005) Food, ethics and aesthetics. Appetite 44, 215-233 

  27. Wansink B, Sonka ST, Cheney MM(2002) A cultural hedonic framework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unfamiliar goods: Soy acceptance in Russia and Columbia. Rev Agri Econ 24(2), 353-365 

  28. Yoon H, Cho M(2007) Healthy dining out attitude of restaurant diners by self-rated health status. Korean J Food Culture 22(3), 323-329 

  29. Zepeda L, Li J(2006) Who buys local food. J Food Distr Res 37(3), 5-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