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대학생의 착용 패션스타일과 음악·여가·라이프스타일·가치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tyle and Music, Recreation, Lifestyle and Value of 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4, 2013년, pp.44 - 55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백두진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고선영 (인천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fashion styles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dividual taste in other areas including music styles and recreation types. Life style and values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취향에 따른 취향문화를 구성하는 패션스타일과 음악, 여가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선택을 하는 양식을 나타내는 라이프스타일과 선호하는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취향문화의 기본 바탕인 가치관과 선호 패션스타일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취향에 따른 취향문화를 구성하는 패션스타일과 음악, 여가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더불어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선택을 하는 양식을 나타내는 라이프스타일과 선호하는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취향문화의 기본 바탕인 가치관과 선호 패션스타일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착용하는 의복스타일을 포함한 취향문화가 존재한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담론으로만 존재하던 패션스타일과 다른 문화영역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패션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쉽게 관찰되는 소비자는 착용하는 패션스타일이 소비자 시장을 구분하는 효과적인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연구문제 1: 착용하는 패션스타일과 선호하는 음악장르간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착용하는 패션스타일과 여가활동간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착용하는 패션스타일과 라이프스타일 간의 연관성을 알아본다.
  • 이 연구는 착용하는 패션스타일과 선호하는 음악장르, 여가활동,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의 문화양식으로서의 패션스타일과 다른 문화영역 및 가치관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취향문화를 구성하는 패션스타일과 음악, 여가활동 및 라이프스타일간의 관계를 밝히고 취향문화의 기본바탕이 되는 가치관과 패션스타일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6) 다양한 여가활동 중에서 어떤 활동을 선택하는 가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여가활동도 음악과 같이 취향문화를 구성하며, 따라서 선호하는 음악과 여가활동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하였다.7)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패션스타일과 여가활동은 모두 취향문화의 구성요소로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이프스타일은 무엇이라 정의할 수 있는가? 라이프스타일은 사회학, 심리학, 경영학 등 각기 다른 학문분야에서 조금씩 서로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개인의 가치체계나 개성이 그 사람의 삶과 소비의 유형으로 나타나는 양식’이라고 정의할수 있다.21) 라이프스타일은 복합적인 가치체계에 의해 특징 지워지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소비자의 전반적인 예측변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여가활동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여가활동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활동, 취미교양활동, 놀이오락 활동, 관람감상활동, 사교활동으로 구분한 김재운20)의 유형을 사용하였다. 스포츠 활동은 조깅, 체조, 헬스, 축구, 수영 등 각종 스포츠관련 활동을 의미하며, 취미교양활동은 사진촬영, 합창, 악기연주, 그림, 공예, 요리, 쇼핑, 독서, 서예 등을 포함한다.
박정양, 서경현은 한국 대학생 300여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음악 장르와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박정양, 서경현11)은 한국 대학생 300여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음악 장르와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전음악 선호는 삶의 만족과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는데, 이는 고전음악이 삶의 만족을 높여주는 인과관계로 해석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상황의 학생들이 고전음악을 자주 듣고 좋아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에 비하여 대중음악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음악을 통해 심리적 효용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음악을 좋아하는 모든 학생들은 노래 부르기 등 음악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박정양, 서경헌 (2008), 대학생의 음악선호와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pp. 497-511. 

  2. Gans, H. J. (1974),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p. 30. 

  3. 박한힘 (2011), 힙합문화의 음악적 특성 변화가 대중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문화연구, 19(2), pp. 416-429. 

  4. 이인성 외 (2006), 힙합 뮤지션의 패션스타일 연구 - 흑인 뮤지션 스타와 국내 힙합뮤지션의 비교 연구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1), pp. 127-136. 

  5. 김신우, 전종찬, 김영인 (2005),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디자인학연구, 18(1), pp. 233-244. 

  6. 허남양 (2010),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 만족과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4), pp. 39-49. 

  7. North, A. C. & Hargreaves, D. J. (2007), Lifestyle correlates of musical preference: 2. Media, leisure time and music, Psychology of Music, 35(2), pp.179-200. 

  8. 김신우, 전종찬, 김영인, (2005),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패션의 기호적 해석, 디자인학연구, 18(1), pp. 237-241. 

  9. Fox, W. S. & Wince, M. H. (1975), Musical taste culture and taste publics, Youth and Society, 7(2), pp. 198-224. 

  10. North, A. C. & Hargreaves, D. J. (2007), Lifestyle correlates of musical preference: 2. Media, leisure time and music, Psychology of Music, 35(2), pp. 181-199. 

  11. 도규희 (1999), 댄스음악이 10대 패션문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랩음악과 힙합패션을 중심으로-, 디자인학 연구, 12(3), pp. 93-103. 

  12. 박한임 (2010), 클럽문화가 대중의상에 미친 영향 -하우스 뮤직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1), pp. 75-91. 

  13. Briggs, A. & Cobley, P. (1999), 'I like my shit sagged': fashion, 'black musics', and subcultures, Journal of Youth Studies, 2(3), pp. 337-352. 

  14. Kelly, J. R. (1982), Leisure, New Jersey: Prentice-Hall, pp. 10-11. 

  15. 제은숙 (2011), 여가활동 소비자의 패션관여와 의복선택기준, 복식, 61(7), pp. 51-66. 

  16. 김재운 (2005), 대학생 스포츠형 여가활동 참여가 대학생활 적응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9(3), pp. 131-142. 

  17. 정순희, 김현정 (2002),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소비문화연구, 5(2), pp. 107-128. 

  18. 김정실, 이선재 (2008),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32(10), pp. 1535-1547. 

  19. 임경복, 임숙자 (1993),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여대생의 시간소비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3), pp. 359-366. 

  20. 전경란, 이미숙 (2008),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6(3), pp. 444-460. 

  21. 전성미, 박정현, 최종명 (2006),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유행관여도 분석, 생활과학연구논총, 10(1), pp. 181-191. 

  22. 이옥희 (2005), 일본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추구 혜택과의 관계 연구, 복식문화연구, 13(6), pp. 857-870. 

  23. 허경옥 (2006),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점포선호 및 만족도의 차이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5(3), pp. 385-395. 

  24. 김진영 (2006), 아울렛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20-3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Roy, D. & Saha, G. (2007), Changes in women's dress preference: An in-depth study based on lifestyle and age, South Asian Journal of Management, 14(2), pp. 92-106. 

  26. 한경미, 나영주 (2003),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생동과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pp. 1026-1935. 

  27. Sarabia-sanchez, F., Vigaray, M. & Hota, M. (2012), Using values and shopping styles to identify fashion apparel seg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0(3), pp. 180-199. 

  28. 김선학, 정용길 (2000), 사회적 가치, 패션리더십, 그리고 쇼핑행동 특성, 대한경영학회지, 15, pp. 159-181. 

  29. Kim, J., Jun, D. & Oh, K. (2010),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subjective age on the fashion adoption of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6), pp. 1008-1020. 

  30. 이수철, 이은경 (2009), 트렌드와 섬유패션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가치의 변화,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pp. 395-404. 

  31. 나수임 (2004), 직장여성의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패션트렌드 선호경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pp. 314-328. 

  32. 김미정, 이상례(2003), 팝음악과 패션에 관한 연구, 복식, 53(2), pp. 101-108. 

  33. 송상연, 이윤재, 이영선 (2010), 역구매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개인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1(1), pp. 223-243. 

  34. 김혜숙 (200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 북한사람 및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6(1), pp. 35-50. 

  35.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pp. 1-65. 

  36. Maio, G. R., & Olsen, J. M. (1995), Relations between value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fun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1, pp. 266-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