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7세기 한국 능(綾)직물 연구
A Study on Korean Twill Fabrics in the 17th Centur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4, 2013년, pp.56 - 69  

조효숙 (가천대학교 의상학과) ,  이은진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udies the fabrics from excavated 17th century tombs of Mrs. Min from Yeoheung family(1586~1656), Yeo-on Kim(1596~1665) and Won-rip Choi(1618~1690) and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trend in fabrics of those times and the background behind it by viewing and ex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 기록을 조사하여 17세기의 시대적 배경과 직물의 유행 경향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17세기의 분묘에서 출토된 직물을 조사하여 면직물과 마직물, 교직물 등은 제외한 견직물의 총수량 대비 능의 비율과 능의 제직특성, 화문능에 사용된 무늬의 특성을 분석하여 시대적 배경과 옷감의 유행 경향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0) 임란 발발 후 십여 년 동안에는 면포로 만든 옷이 절대적으로 많이 출토되었으며11), 병자호란을 기점으로 보아도 임란만큼 현저한 차이는 아니지만 수자직이 면직물보다 적게 나타나다가 1650년 이후에야 수자직이 증가하였다.12) 이러한 현상은 전쟁으로 모든 것이 초토화된 상황에서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고급 직물을 생산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에 제직기법이 단순하여 직조가 쉽고 일상생활에 필수적이거나 실용적인 직물 위주로 생산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 18) 이러한 직물 생산환경의 변화도 옷감의 유행 경향에 영향을 미쳐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화문단보다 상대적으로 제직이 쉬운 화문능의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였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능(綾)이란 무엇인가? 능(綾)은 직물의 세 가지 기본조직 중의 하나인능직(綾織)으로 직조한 견직물로, 능직 또는 변화능직의 바탕에 능직이나 부직(浮織)으로 무늬를 표현 하였다.1)2) 무늬가 있는 것은 문능(紋綾) 또는 화문능(花紋綾)이라 하였는데, 일반적으로 바탕과 무늬의 능선방향이 같으나 조직순환 단위나 경․위사의 부출(浮出)을 다르게 한 것은 동향능(同向綾), 바탕과 무늬의 능선방향이 다른 것은 이향능(異向綾)이라고 한다.
17세기에 한시적으로 능의 생산과 사용이 증가한 현상은 어떤 요인들 때문인가? 이와 같이 17세기에 한시적으로 능의 생산과 사용이 증가한 이례적인 현상은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의 전쟁과 경제적인 어려움, 화문단과 같은 고급 직물의 생산을 규제한 정부의 정책, 수자직과 같은 제직기술의 발달과 정착, 관청 소속 장인에 비해 제직기술이 미흡한 민간 장인에 의한 제직 증가와 같은 생산환경의 변화, 화려한 것보다는 정갈하며 절제된 것을 선호하는 미의식의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이고 다원적으로 작용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의 여러 분묘에서 출토된 화문단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무늬는 무엇인가? 1446)의 끝동, 치마(No.1449)의 겉감 등 3점에 사용된 무늬는 <그림 5>31)처럼 사생풍으로 표현된 두 종류의 모란을 한 줄씩 교대로 배열하고 그 주위를 C자형 넝쿨과 잎사귀가 들어차있는 충전형 모란넝쿨무늬이다. 꽃의 크기는 한 종류는 세로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高漢玉(1986), 中國歷代織染繡圖錄, 上海: 科學技術出版社, p. 16. 

  2. 陳維稷主編(1984), 中國紡織科學絲綢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 317. 

  3. 조효숙 (1993), 韓國絹織物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9. 

  4.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5. 민길자 (2000), 한국 전통직물사 연구, 서울: 한림원, p. 122. 

  6. 陳維稷主編(1984), 中國紡織科學絲綢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 324. 

  7.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11. 

  8.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7, 178. 

  9. 임현주, 조효숙 (2004), 조선시대 16.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 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服飾, 54(8), p. 118. 

  1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179. 

  11. 仁祖實錄, 권36, 16년 3월 丁丑. 

  12. 孝宗實錄, 권7, 2년 8월 己酉, 庚戌 

  13. 顯宗實錄, 권22 부록, 현종대왕 행장(2) 

  14.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52. 

  15.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53. 

  16.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51. 

  17. 장현주 (1999), 조선시대 견직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9-71. 

  18.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09. 

  19. 김성환 (2003), 흥곡공 일가의 행력,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60. 

  20.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88, 89, 90. 

  21.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01. 

  22.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02. 

  23.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99. 

  24.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00. 

  25.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19. 

  26.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11. 

  27.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10. 

  28.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0. 

  29.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2. 

  3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1. 

  31.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8. 

  32.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78. 

  33.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7. 

  34.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3. 

  35.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4. 

  36. 조효숙 (2003), 파평윤씨 모자 미라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 132. 

  37. 조효숙 (2004), 심수륜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용인 출토 청송심씨 정이공파 심수륜 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 93. 

  38. 조효숙 (2005), 연안김씨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