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간호사의 업무범위에 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Scope of Practice of Nurses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원문보기

의료법학, v.20 no.2, 2019년, pp.141 - 171  

배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간호사는 의료법 상 의료인으로서 의료기관에서 진료의 보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의료인인 간호사는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에 근거 구급대원으로서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체계에서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의료를 제공한다.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업무범위는 의료법 상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업무를 판례 등을 통해 구체화되어 왔다. 반대로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는 응급의료법에 의해 구체적 행위를 열거하는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다.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체계에서 응급의료종사자로서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업무범위는 대상 환자의 긴급성, 응급의료기관으로의 이송 중이라는 점, 통신 상의 의료지도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간호사의 업무범위를 의료기관 내에서와 달리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병원 전단계에서 간호사가 응급구조사보다 넓은 업무범위가 인정되고 이것이 정책목표에도 부합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rses are medical personnels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and perform medical practice such as medical assistance at medical institutions. The nurse, a medical personnel, provides emergency medical service to emergency patients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as a 119 rescuer based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해당 행위가 의료지도에 의해 수행된 것이라면 간호사와 의료지도 의사의 의료분업의 형태에 따라 책임에 대한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의료기관 내에서 적용되었던 의사-간호사 간의 의료분업에 따른 신뢰의 원칙이 통신 상의 의료지도 의사와 구급대원인 간호사 간에는 어떻게 적용될지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한다.
  • 이 글은 병원단계 즉 의료기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업무범위가 아닌 병원 전 단계(prehospital) 특히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내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업무범위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고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응급구조사와 같은 응급의료종사자 간의 업무범위와 비교하여 관련하여 고려하여야 하는 법적 문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의료법과 응급의료법 상 간호사의 업무범위를 적용하고 해석할 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간호사의 업무는 의료법에 근간을 두고 특별법으로서 응급의료법이 우선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병원 단계와 비교하여 병원 전 단계 특히 응급의료체계의 특수성은 무엇인지 또한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병원 전 단계에서 간호사가 제공할 수 있는 응급처치의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검토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간호사가 119 구급대원으로서 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법적책임은 국가배상책임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61) 그 외 일반적인 간호행위를 함에 있어서는 주의의무에 대한 일반적인 법리가 적용될 것이다. 특히 병원 전 단계 응급의 료체계에서 의사의 지시와 감독을 받지 않고 간호사 단독의 판단에 의한 행위 이거나 독립적으로 수행된 응급처치의 경우 보다 높은 정도의 주의의무를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간호사의 독립적인 법적 책임이 부과될 수 있으나 이때에도 의료기관 내에서와 같은 정도의 주의의무 판단기준을 적용할 수는 없을 것이고, 현장이나 구급차 내 라는 장비와 장소적인 제약과 통신 상의 의료지도의 한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정시설에서의 간호사의 독립적인 활동은 어떤 법을 근거로 할 수 있는가? 물론 위 간호사의 독립적인 활동의 근거에는 ‘의료취약지역’이나 ‘학교’라는 상황적 특수성이나 의료기관 외라는 단서가 있다. 또한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36조 제2항에 따르면 교정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야간 또는 공휴일 등에 「의료법」 제27조에도 불구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교정시설에서 의사가 아닌 간호사에게 단독으로 의료행위를 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 역시 야간 또는 공휴일에 의무관이 부재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 등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호사란? 간호사는 의료법 상 의료인으로서 의료기관에서 진료의 보조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의료인인 간호사는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에 근거 구급대원으로서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체계에서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의료를 제공한다.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이 업무범위는 어떻게 구체화해왔나? 의료인인 간호사는 119 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에 근거 구급대원으로서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체계에서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의료를 제공한다.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업무범위는 의료법 상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업무를 판례 등을 통해 구체화되어 왔다. 반대로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는 응급의료법에 의해 구체적 행위를 열거하는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경례, "전문간호사 제도와 무면허 의료행위-대법원 2010.3. 25. 선고, 2008 도 590 판결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1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0. 

  2. 김광년.김기련.엄상희, "원격 의료 지도 지원을 위한 스마트 앱",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22권 12호,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3. 김재민 외, "119 구급대원 직접의료지도체계 구축 및 간접프로토콜에 의한 업무 수행 확대-경기도에서의 경험", 대한응급의학회지 제26권 4호, 2015. 

  4. 김천수, "'선한 사마리아인 법'에 따른 민사책임의 감경-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 2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5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4. 

  5. 배현아.정구영.이경환, "119 구급대원의 직무과실에 대한 국가배상책임",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2권 2호, 2004. 

  6. 배현아,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형사정책연구 제79권, 2009. 

  7. 범경철,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의료법학 제15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4. 

  8. 범경철, 의료분쟁소송, 법률정보센터, 2003. 

  9. 서울중앙병원 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 군자출판사, 2001. 

  10. 소방청, 2019 소방청 통계연보, 2019. 

  11. 이상돈.김나경, 의료법 강의, 법문사, 제3판, 2017. 

  12. 장미희, "간호사의 업무범위와 주의의무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일감법학 제22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13. 조재현,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간호조무사 등에 관한 규칙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3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5. 

  14. 한국의료법학회 보건의료법학 편찬위원회, 보건의료법학, 동림사, 2004. 

  15. 한송이 외,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확대를 위한 입법 타당성 연구: 중요도와 필요도 및 허용도가 높은 업무를 중심으로",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제19권 3호, 한국응급구조학회, 2015. 

  16. Alonso-Serra, Hector, Donald Blanton, and Robert E. O'Connor. "Physician medical direction in EMS",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 2 No 2, 1998. 

  17. NAEMSP (National Association of EMS Physicians), Prehospital system and Medical oversight,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3rd ed. 20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