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and Family Functioning on Early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3 = no.123, 2013년, pp.1 - 13  

이현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최인숙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and family functioning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mother) on early adolescent school adaptation. Data of 3,145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Survey on the Family Values and Li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환경 변인인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초기 청소년인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부모와 자녀의 성이 가족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Pinsof and Lebow, 2005) 부모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긍정적 의사소통은 학업성취(Byun, 2005; Masselam, Marcus, & Stunkard, 1990), 자존감(Brage & Meredith, 1994; Kim, 2001)과 정적 관련이 있고, 우울(Brage & Meredith, 1994; Kim, & An, 2008), 비행(Kafka & London, 1991; Kim & An, 2008; Min, 1992)과 부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적응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응집 및 가족적응을 포함한 가족기능이 초기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연구는 미흡하므로, 이를 확인함으로써 초기 청소년과 부모 및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초기 청소년인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부모와 자녀의 성이 가족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Pinsof and Lebow, 2005) 부모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가족식사라는 일상적인 행위로 한 가족으로서의 소속감과 정체성이 형성되고, 그 속에서 가족간 애정과 유대를 나누며 정서적 안정감을 획득하고, 가정내에서 획득된 소속감과 안정감은 이후 다른 사회적 관계에 까지 확장되고 연결된다는 점에서 가족식사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본 연구는 실제 가족식사를 많이 하는 것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식사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청소년의 발달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가족환경 변인으로써 가족기능의 영향력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 가족의 응집성, 적응력, 의사소통과 같은 가족 고유의 기능적 특성은 건강한 가족의 질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성장 환경으로써 가족의 역할에 관심을 가지고, 특히 그 중에서도 가족식사와 가족기능의 효과에 주목하고자 하는데, 이는 가족식사와 가족기능이 가정의 건강성을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지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한 가정은 가족원이 서로 시간을 공유하고, 의사소통하면서 공동체로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환경 변화에 긍정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특성을 지닌다(Curran, 1983; Olson, 2003; Stinnett & Sauer, 1971; 조희금 등, 2010에서 재인용).
  •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인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의 영향을 살펴보고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이러한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건강한 가정은 가족원이 서로 시간을 공유하고, 의사소통하면서 공동체로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환경 변화에 긍정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특성을 지닌다(Curran, 1983; Olson, 2003; Stinnett & Sauer, 1971; 조희금 등, 2010에서 재인용). 이러한 건강한 가정의 특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족식사를 가정건강성의 양적인 지표로 보고, 가족기능을 가정건강성의 질적인 지표로 간주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가정건강성의 양적 특성지표로서의 가족식사와 질적 특성지표로서의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의 환경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보고,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즉, 본 연구는 가정건강성의 양적 특성지표로서의 가족식사와 질적 특성지표로서의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의 환경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보고,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 환경으로써 가족의 기능과 역할을 확인하고, 청소년 자녀의 학교적응을 위한 가족 지원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제 가족식사를 많이 하는 것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식사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청소년의 발달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가족환경 변인으로써 가족기능의 영향력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가족순환모델에 의하면, 가족기능은 가족원간의 응집성, 변화에 대처하는 적응력, 가족원간 의사소통으로 나타난다.
  • 이러한 건강한 가정의 특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족식사를 가정건강성의 양적인 지표로 보고, 가족기능을 가정건강성의 질적인 지표로 간주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가정건강성의 양적 특성지표로서의 가족식사와 질적 특성지표로서의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의 환경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보고,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 환경으로써 가족의 기능과 역할을 확인하고, 청소년 자녀의 학교적응을 위한 가족 지원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amily adaptability, 8. Communication with father, 9. Communication with mother Coefficients in the left side of the table are for total stud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이에 정부는 지난 2012년 2월6일 관계부처합동으로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교장과 교사의 역할 및 책임강화, 신고조사체계개선 및 가·피해학생에 대한 조치 강화, 또래활동 등 예방교육 확대, 학부모교육확대 및 학부모의 책무성 강화, 교육전반에 결친 인성교육 실천, 가정과 사회의 역할 강화, 인터넷중독 등 유해요인대책 등의 7대 과제가 포함되어, 직접적인 대책 뿐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까지 제안하였다(관계부처합동, 2012). 보다 근원적인 대책으로 인성교육 실천과 가정과 사회의 역할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책들과 차별성이 있어 보인다.
청소년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요? 청소년 시기는 신체 및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는 발달적으로 중요한 시기이며 청소년의 건강한 적응을 위하여 당사자인 청소년뿐 아니라 부모도 이러한 자녀의 변화에 적응해나가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가족의 관점에서 가족역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환기 가운데 하나가 자녀가 청소년이 되는 시기이며(Steinberg, 1990), 이 때 가족환경은 청소년의 적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가족의례(family ritual)는 어디에 중요한 요소 인가요? 가족이 일상적으로 반복하는 활동이나 의례는 여러 가족 구성원을 포함하며 함께 함으로써 의미가 있는 활동이다. 이러한 가족의 일상과 의례는 가족생활의 문화적, 생태학적 맥락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가족생활이 가족원의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Fiese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관계부처합동(2012).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2. 김영희(2001).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3.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2012). 밥상머리교육 학부모용 길라잡이.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이종원?오승근?김은정(2010). 세대 간 의식구조 비교를 통한 미래사회 변동전망 3 : 가족과 가정생활에 관한 의식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5. 이현아(2012). 가정내 인성교육 회복을 위한 가정과 부모의 역할 지원 방안,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제1차 학술대회 자료집 49-85. 

  6.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 공저(2010). 건강가정론 2판, 서울: 신정. 

  7. Barnes, H. L., & Olson, D. H.(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2), 438-447. 

  8. Brage, D., & Meredith, W.(1994). A causal model of adolescent depress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128, 455-468. 

  9. Byun, Y. I.(2005).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venes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3(2), 89-113. 

  10. CASA.(2007). The importance of family dinners III. N.Y.: Columbia University. 

  11. Cashwell, C. S.(1995).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of middle-school students: A matter of perspective? Journal of Humanistic Education and Development, 34, 83-91. 

  12. Choi, I. S.(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resilience and gender differences.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3), 105-129. 

  13. Compan, E., Moreno, J., Ruiz, M. T., & Pascual, E.(2002). Doing things together: adolescent health and family ritual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6(2), 89-94. 

  14. Crouter, A. C., MacDermid, S. M., & McHale, S. M., & Perry-Jenkins, M.(1990). Parenting monitoring and perceptions of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in dual and single-earner families, Developmental Psychology, 26, 649-657. 

  15. Curran D.(1983). Traits of healthy family, Windton Press. 

  16. DuJohnson, H. D., Lavoie, J. C., & Mahoney, M.(2001).Interparental conflict and family cohesion: Predictorsof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social avoidance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t,16(3), 304-318. 

  17. Eisenberg, M., Neumark-Sztainer, D., Fulkerson, J. A., & Story, M.(2008). Family meals and substance use: Is there a long-term protective associa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3(2), 151-156. 

  18. Eisenberg, M., Olson, R., Neumark-Sztainer, D., Story, M., & Bearinger, L.(2004).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Medicine, 158(8), 792-796. 

  19. Farrell, M. P., & Barnes, G. M.(1993). Family systems and social support: A test of the effects of cohesion and adaptability on the functioning of parents and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1), 119-132. 

  20. Fiese, B. H., Folkey, K. P., & Spagnola, M.(2006). Routine and ritual elements in family mealtimes: Contexts for child wellbeing and famly identity, New Direc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11, 67-90. 

  21. Fiese, B. H., Tomcho, T., Douglas, M., Josephs, K., Poltrock, S., & Bakerr, T.(2002). Fifty years of research on naturally occurring rituals: Cause for celebra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6, 381-390. 

  22. Fulkerson, J. A., Story, M., Mellin, A., Leffert, N., Neumark-Sztainer, D. & French, S. A.(2006). Family dinner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asserts and high-risk behavi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9(3), 337-345. 

  23. Gauze, C., Bukowski, W. M., Aquan-Assee, J., & Sippola, L. K.(1996). Interactions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friendship and associations with selfperceived well-being during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7(5), 2201-2216. 

  24. Hartons, J. L., & Power, T. G.(2000) Association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reports for assessing relations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4), 441-450 

  25. Hovey J. D., & King C. A.(1996).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immigrant and second-generation Latino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5(9), 1183-1192. 

  26. Jung, N. Y., & Lee, J. S.(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problem of child and child's perception of parents-child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7(4), 61-71. 

  27. Kafka, R. R., & London, P.(1991).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The influence of parents and friends. Adolescence, 26, 587-598. 

  28. Kang, Y. J., & Mun, J. W.(2005). Family related factor's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Studies on Korean Youth, 16(1), 283-316. 

  29. Kawash, G., & Kozeluk, L.(1990). Self-esteem in early adolescence as a function of position within Olson's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8, 189-196. 

  30. Kim, A. K.(2001). Social behavior i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relationships to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3), 271-285. 

  31. Kim, Y. H.(1989).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2. Kim, Y. H.(2001). Mother's involvemen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poor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179-190 

  33. Kim, Y. H., & An, S. M.(2008).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nflict, and adolescents' depression &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2), 1-30. 

  34. Lee, H. S.(2013).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e Korea Contents Studies, 13(1), 333-341. 

  35. Lee, J. M.(2009).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go-identity, and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1021- 1033. 

  36. Lee, J. Y., & Kim, H. H.(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elf-directed learning, appearance complex,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8), 65-88. 

  37. Lee, J. Y., & Lee, K. A.(2004). Individual and familial factors in relation to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6(2), 262-276. 

  38. Lee, K. S.(2006). The effects of stres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extracurricular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39. Lee, M. J.(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their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40. Masselam, V. S., Marcus, R. F., & Stunkard, C. L.(1990).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ing, and school performance. Adolescence, 25, 725-737. 

  41. Min, H. Y.(1992). The relation between juvenile delinquen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3(1), 112-124. 

  42. Oh, K. J., & Moon, K. J.(2006). Poverty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The Korean Jo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1), 59-76 

  43. Olson, D. H., & Gorall, D. M.(200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Normal family processes, 3, 514-547. 

  44.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1979).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amily Process, 18(1), 3-27. 

  45.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1983). Circumplex model: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1), 69-83. 

  46. Pinsof, W. M. & Lebow, J. L.(2005). A scientific paradigm for family psychology. In: Pinsof W.M., & Lebow J.L. (Eds.), Family psychology: The art of the science. N.Y.: Oxford University Press, 3-20. 

  47. Snow, C. E., & Beals, D. E.(2006). Mealtime talk that supports literacy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11, 51-66. 

  48. Steingerg, L.(1990). Interdependency in the family: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S. Feldman & G. Elliot(Eds.), At the threshold : The developing adolesc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9. Videon, T. M., & Manning, C. K.(2003),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patterns: The importance of family meal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2(5), 365-3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