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3 = no.123, 2013년, pp.15 - 26  

유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수홍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차지량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홍광표 (양산 천성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and conditions of happines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lso of the perception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ir needs level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There was a total of 649 participants, of which 405 wer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감과 행복 조건에 관한 인식을 비교하고,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감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동과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감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아동과 청소년 각각이 느끼는 행복 조건의 필요 정도에 따라 그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과 청소년이 현재 어떠한 측면에서 얼마나 행복을 누리고 있고, 그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행복의 조건은 무엇이며 행복 조건에 대한 필요도와 행복감과의 관련성은 어떠한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기초적인 정보를 토대로 각 발달단계에 맞는 행복 증진 방안과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이 현재 어떠한 요인에서 행복을 느끼고 있고 행복의 조건은 무엇이며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또한 아동 및 청소년 각각이 인식하는 행복 조건의 필요도 수준 상, 하위집단에 따라 현재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구체적으로, 아동과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감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아동과 청소년 각각이 느끼는 행복 조건의 필요 정도에 따라 그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과 청소년이 현재 어떠한 측면에서 얼마나 행복을 누리고 있고, 그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행복의 조건은 무엇이며 행복 조건에 대한 필요도와 행복감과의 관련성은 어떠한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기초적인 정보를 토대로 각 발달단계에 맞는 행복 증진 방안과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 이에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감과 행복 조건에 관한 인식을 비교하고,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감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동과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감과 행복의 조건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아동과 청소년 각각이 느끼는 행복 조건의 필요 정도에 따라 그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지수는 몇점인가요? 2003년 이후 급격하게 몰아친 웰빙(well-being) 문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잘 먹고 잘 사는 것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최근에는 더욱 큰 개념인 육체적, 정신적 만족을 포괄하는 행복이라는 용어를 공공연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OECD 국가 삶의 질 구조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지수(Happiness Index)는 10점 만점에 4.2점이었고 OECD 국가 34개 중 32위(중앙일보, 2012)인 것을 보면, 행복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들은 아직까지 진정한 행복을 느끼고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것인지, 어떠한 요인들이 행복을 결정하는지에 대해 학계의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크게 3가지 영역에서 진행되었다. 이 3가지 영역은 무엇인가요? 이후 국내외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크게 세 가지 영역에서 진행되었다. 첫째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인데, 성, 연령, 소득수준, 건강, 종교, 학력 등의 요인들이 행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Kim et al., 2003; Moon, Lee, & Park, 2009; Braun, 1976; Glenn & Weaver, 1979). 둘째는 개인의 심리적, 성격적 특성이 반영되는 성격, 통제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등이 포함되는 개인내적 요인이 있다(Koo, 2005; Kim, 2010; Moon et al., 2009; Grob et al., 1996; Veenhoven, 1994). 세 번째는 사회 및 관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사회적 지지체계의 지지를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부모 및 또래 등과 좋은 관계를 맺을수록, 관계효능감이 높을수록 더욱 행복한 것으로 밝혀졌다(Kim, Park, & Kwak, 1998; Park & Kim, 2008; 서은국, 2007; Cohen & Wills, 1985; Fordyce, 1974; Vaillant, 2002). 또한 행복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밝히고자 한 척도 개발 연구도 다양한 연령층으로 진행된 바 있는데, 아동의 행복감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 과외생활, 전반적 생활환경, 욕구 만족이 제시되었고(Choi et al.
행복감이란 무엇인가요? 최근 긍정심리학으로 주목받고 있는 Seligman(2002)은 행복을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강점을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행복감이란 생활전반에서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생활감정으로서 만족감, 충만감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를 의미한다고 하였다(Park,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김명소?차경호?임지영(2002). 대학생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25-731. 

  2. 박아청(2007).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실태와 이를 위협하는 요소. 2007년도 한국교육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1-16. 

  3. 서은국(2007). 한국 청소년의 주요 생활경험과 행복감. 2007년도 한국교육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17-28. 

  4. 이규순(200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가 학습동기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은경(2007). 청소년의 행복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정신건강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71-90. 

  6. 임미향?박영신(2006).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문화교육연구, 12, 159-179. 

  7. 정정임?주은선(2006). 또래 상담 활동이 따돌림 경험 학생들의 심리적인 변화에 주는 영향: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1-16. 

  8. 중앙일보(2012). 한국 행복지수 32위... OECD 국가 중 '최하위'. 2012.7.10. 

  9. 차경호?김명소(2002).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3-209. 

  10. 파인뉴스(2008, 2, 22). 청소년 행복지수 53.08...만족도 낮아. http://www.파인뉴스.kr에서 2013, 3, 5 인출. 

  11. Braun, P. M. W.(1976).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ocation in the social struc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2. Cho, S. Y., Shin, H. Y., Chio, M. S., & Choi, H. Y.(2009). Surve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2), 129-144. 

  13. Choi, C. S.(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the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4. Choi, H. Y., Shin, H. Y., Choi, M. S., & Cho, S. Y.(2009). Development of a Happiness Scale for School-aged Korean Children(HSSKC).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5), 1-11. 

  15. Choi, S. J., & Hyun, J. S.(2011).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youth's happiness. Youth Culture Forum, 27, 180-207. 

  16. Chung, K. S., Park, J. K., Park, S. H., Yoo, M. S., Choi, E. S., & Seo, B. S.(201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ternal Happiness Scale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1(1), 27-43. 

  17. Cohen, S.,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01-357. 

  18. Csikszentmihalyi,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Collins. 

  19. Diener, E., & Emmons, R. A.(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20.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21. Diener, E., Wirtz, D., Tov, W., Kim-Prieto, C., Choi, D., Oishi, S., & Biswas-Diener, R.(2010). Increasing the happiness of individuals with profound multiple disabilityes : Replication and extentio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7, 531-534. 

  22. Erickson, D., Clarke, S., & Micheal, K.(2010). AD/H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ure completed by children or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5(3), 1-8. 

  23. Fordyce, M. W.(1974). Human happiness: The findings of psychological research. Unpublished book, Edison Community College. 

  24. Glenn, N. D., & Weaver, C. N.(1979). A note on family situation and global happiness. Social Forces, 57, 960-967. 

  25. Grob. A., Little, T. D., Wanner, B., & Wearing, A. J. (1996). Adolescents well-being and perceived control across 14 sociocultural contex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785-795. 

  26. Han, M., Choi, I. C., Kim, B. J., Lee, H. J., Kim, K. M., & Ryu, S. A.(2012).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ce: Age-based comparis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5), 217-235. 

  27. Hunter, F. T., & Youniss, J.(1982). Changes in functions of three relations during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18(6), 806-811. 

  28. Hwang, J. W., & Kim, K. H.(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0(1), 57-71. 

  29. Jeon, K. S., & Jung, T, Y.(2009). Happiness determinants for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5(1), 133-153. 

  30. Jeon, S. H., Shin, M., & Yoo, M. S.(2011).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monitoring,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4(2), 73-87. 

  31. Jun, M. K., & Jang, J. S.(2009).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during childho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3), 103-118. 

  32. Jung, H. J., & Moon, H. J.(2011).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child'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children's happines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7(3), 21-42. 

  33. Kim, C. S.(2009). A study of determinants of happiness o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3), 649-665. 

  34. Kim, E. J., Oh, K. J., & Ha, E. H.(1999). 3 months follow-up study: Depression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of marri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8(2), 15-26. 

  35. Kim, H. J.(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affects, subjective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36. Kim, J. W., Lee, J. A., & Lee, I. K.(2009). Relationships between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fter-School Happiness by Stress and Playfuln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37-53. 

  37. Kim, K. A.(2003). Relationship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body cathexi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8. Kim, K. M.(2010). Correlates of Happiness and Self-Acceptance Promotion in College Counselling.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3), 863-883. 

  39. Kim, M. S., & Han, Y. S.(2006).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for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Survey Research, 7(2), 1-38. 

  40. Kim, M. S., Kim, H. W., Han, Y. S., & Lim, J. Y.(2003). Explorations on the happy life of Koreans on the bases of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2(2), 1-33. 

  41. Kim, M. S., Kim, H. W., Cha, K. H., Han, Y. S., & Lim, J. Y.(2003). Exploration of the structure of happy life and development of the happy life scale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415- 442. 

  42. Kim, U. C., Park, Y. S., & Kwak, K. J.(1998). Comparison of urban and rural students: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life-satisfaction level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3(1), 79-101. 

  43. Kim, U. C., Park, Y. S., & Baak, S. Y.(2012). Factors that influence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9(2), 197-225. 

  44. Kim, Y. H.(2007).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happiness, personality types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45. Kim, Y. H., & Kang, M. H.(2008).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happiness, personality types and parents-child communication patter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6), 35-54. 

  46. Koo, J. S.(2005).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efficacy beliefs, life experiences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47. Lee, M. R.(2003). Daily contextual variations in levels of adolescent happines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6(4), 193-209. 

  48. Lee, Y. O., & Lee, J. S.(2011). A study of the difference by development stages on daily stress, perceived environment, psychological problem of child?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6(1), 53-79. 

  49. Linda, L. Caldwell, & Oh, S. S.(2011). Korean Adolescent Leisure, Health and Happines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5(3), 173-180. 

  50. Michalos, A. C.(1985). Multiple discrepancies theory (MDT). Social Indicators Research, 16, 347-413. 

  51. Michalos, A. C.(2008). Education, happiness and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87(3), 347-366. 

  52. Moon, S. K., Lee, M. Y., & Park, S. H.(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ellbeing of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4), 137-153. 

  53. Paek, S. H.(2008). The relation between daily life exper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hil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4. Park, H. C., Kim, S. B., & Hong D. A. G.(2011).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 on happiness: Children's perspectiv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3), 167-193. 

  55. Park, J. I., Park, C. U., Seo, H. J., & Youm, Y. S.(2010). Collection of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4(2), 121-154. 

  56. Park, S. K.(2002).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happiness applying reality 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57. Park, Y. S., & Kim, U. C.(2008). The quality of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4), 801-836. 

  58. Park, Y. S., & Kim, U. C.(2009).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5(3), 399-429. 

  59. Park, Y. S., Kim, U. C., & Min, B. K.(2002). A longitudinal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2), 63-92. 

  60.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61. Seligman, M. E. P.(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Y.: Free Press. 

  62. Seligman, M. E. P.(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63. Seong, B. H., & Yoon, S. A.(2010). Definition of happiness and its determinants. Journal of Brain Education, 6, 103-134. 

  64. Shin, M. D.(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perception of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ngju. 

  65. So, S. S.(2012). A Study on integration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Kyonggido. 

  66. Vaillant, G. E.(2002). Aging well : Surprising guideposts to a happier life from landmark Harvard study of adult development. Boston : Little-Brown. 

  67. Veenhoven, R.(1994). Correlates of happiness, (3Vols). Rotterdam, The Netherlands: RISBO, Center for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68. Watson, D., Clark, L. A., Mcintyre, C. W., & Hamaker, S.(1992). Affect, personality and social ac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1011-1025. 

  69. Yang, J. Y.(2010). The relationship among orientations to happiness, religio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