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Abus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Regula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3 = no.123, 2013년, pp.49 - 62  

최지경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한유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ability between abus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by compar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ontrol. Participants were 17 abused children who had been separated from their abusers and 17 general children, all elementary s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학대받은 아동들의 정서적 능력이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다는 것이 부분적으로 밝혀졌으나 아동의 정서적 능력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점검하고 그 차이를 변별하여 생각한 뒤 행동하는데서 정보를 이용할 줄 아는 총체적인 능력(Salovey & Mayer, 1990)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학대받은 아동의 전반적인 정서적 능력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대로 인해 아동의 정서적 능력이 얼마나 저해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그들의 정서적 능력을 확인하는 기초연구를 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능력을 고려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지능 및 정서조절의 특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므로써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을 비교하여 그들의 정서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실제 정서유발상황에서 어떠한 전략과 동기를 가지고 정서를 조절하는지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서지능과 더불어 실제 상황에서 활용되는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학대받은 아동의 응답 중 ‘모르겠다’는 반응을 주로 보이는 아동들이 있었다.
  •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의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을 비교하여 정서적 능력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실제 정서유발상황에서 정서를 어떻게 조절하여 활용하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지능 및 정서조절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에게 나타나는 정서 및 행동 문제의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일반아동의 정서조절을 살펴본 연구들 중 질문지를 사용하여 양적으로 측정(Lim, 2002; Lim & Park, 2002; Lee & Moon, 2008; Jang & Lee, 2011)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하였으나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조절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이며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므로 면접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자료를 얻고자 한다. 이에 아동을 직접 면접하여 정서유발상황을 제시하고 아동이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정서를 조절하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한 Han(2004)의 정서조절 연구도구와 절차를 토대로 조사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의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을 비교하여 정서적 능력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실제 정서유발상황에서 정서를 어떻게 조절하여 활용하는지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지능 및 정서조절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에게 나타나는 정서 및 행동 문제의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일반아동의 정서조절을 살펴본 연구들 중 질문지를 사용하여 양적으로 측정(Lim, 2002; Lim & Park, 2002; Lee & Moon, 2008; Jang & Lee, 2011)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하였으나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조절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이며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므로 면접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자료를 얻고자 한다.
  • 첫째, 본 연구는 국내 연구로서는 드물게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지능 및 정서조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이제껏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연구가 심리사회적 특성과 관련된 문제에 집중되어있던 것에서 벗어나 학대받은 아동들이 어떠한 정서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 둘째, 정서지능질문지를 통해 나타난 일반아동과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지능에서 차이를 발견하는 것과 더불어 면접을 통해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조절에 대한 세부적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학대받은 아동의 문제행동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행동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정서적 능력과 실제적인 정서조절 전략 및 동기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적 능력을 고려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대의 후유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아동학대에 대한 초기 연구는 신체적 학대의 결과로 나타나는 신체적인 후유증(Kempe, 1962)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어 점차 다른 유형의 학대를 포함하는 연구로 변화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학대의 후유증으로 공격성, 위축, 좌절, 정서적 부적응, 반사회적 행동, 심한 애착(Main & Goldwyn, 1984; Hart, Germain, & Brassard, 1987)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학대받은 아동은 사회적 상황에서 부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타인과의 관계를 맺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Choi, 1989; Kaufman & Ciccetti, 1989; Straus, 1991; Kim, 1993; Lopez & Heffer, 1998)고 주장한다. 이처럼 아동학대는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유발하는 대처방식과 관련(Egeland, Breitenbucher, & Rosenberg, 1980; Straus, 1991)되어 학대받은 아동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서조절이란?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지능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정서적 능력을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그러한 능력을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 중 정서조절은 실제 느낀 정서와 관계없이 주어진 상황에서 사회문화적으로 적절한 정서반응으로 표현하는 능력(Saarni, 1984; Underwood, Coie, & Herbsman, 1992; Davis, 1996)으로 아동이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요인(Cassidy et al., 1992; Hubbard & Coie, 1994; Underwood, 1997; Hwang, 1999; Kwon, 2002; Han, 2005; Han, 2006)이며 정서조절을 통해 행동문제가 감소(Hwang, 1999)된다.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을 살펴본 결과는? 첫째, 학대받은 아동은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에서 모두 일반아동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아동의 정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Salovey & Mayer, 1990)에 의한 학대가 아동의 정서지능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학대받은 아동들은 타인의 정서를 적절히 인식하는데 어려움(Pollak et al., 2000; Hwang, 2006; Kim, 2009)이 있을 뿐 아니라 정서를 조절하여 표현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경험할 것으로 보인다. 아동의 정서 발달이 부모자녀관계 속에서 시작(Salovey & Mayer, 1996)되며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이 아동의 정서에 영향(Gottman & Katz, 1989; Park & Park, 2002; Chae, 2010)을 주게 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부모에 의한 학대는 아동의 정서지능에 발달을 심각하게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정서지능이 대인관계 뿐 아니라 학업 및 직장생활 등 아동의 인생 전반에 걸쳐 중요한 요소(Salovey & Mayer, 1990)인 만큼 학대로 정서지능의 발달이 저해된 아동들이 사회적 상황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학대받은 아동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하여 그들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교육과 상담 등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이 정서유발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지를 확인하여 그들의 정서조절전략을 분석한 결과 일반 아동이 정서조절전략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에 비해 학대받은 아동은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하지 못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이 낮은 것(Mash, Johnston, & Kovitz, 1983)을 알 수 있었다. 학대받은 아동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폭력적이거나 강압적인 반응, 정서를 조절하지 않고 상황에 부적절하게 그대로 드러내는 반응, 보복하겠다는 반응과 같은 독특한 특성이 나타났다. 학대받은 아동은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정서를 상황에 맞게 조절하지 못하여 역기능적으로 반응(Shields & Cicchetti, 1998)함으로써 학대의 후유증으로 거론되는 공격성(Choi, 1989)이나 부적응 행동(Kim, 1994)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학대받은 아동의 부적응 문제에 집중하여 그들의 공격성이나 부적응과 같은 외현화된 행동특성을 학대의 후유증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대받은 아동이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는 전략을 사용하지 못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하게 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이는 학대받은 아동들의 부모가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여 대처하기보다는 자신의 기분에 따라 충동적으로 자녀를 학대하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아동들이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을 익히거나 사용하는 것은 어려웠을 것이다. 이처럼 학대받은 아동들은 가정에서 정서조절과 관련된 경험을 하지 못함으로써 가정 밖의 정서를 조절해야할 상황에서도 강압적이거나 보복하는 반응 또는 정서를 그대로 드러내는 반응 등으로 정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대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조절동기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일반아동이 적절한 동기를 가지고 있는 반면 학대받은 부적절한 동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받은 아동들은 주로 가지고 있는 동기는 두 가지로 자신의 정서에 초점을 맞추거나 또는 타인과 상황을 탓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대받은 아동이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우선 정서에 초점을 맞춘 동기는 심리적 부적응을 보이는 사람이 자신의 정서에 초점을 맞추어 대처한다는 Folkman(1984)의 주장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로써 학대받은 아동은 정서조절결과를 기대하고 동기를 조절하기 보다는 지금 당장의 정서적 경감(Runtz & Schallow, 1997)을 하기 위한 반응을 주로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학대받은 아동들의 부모가 자신의 분노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녀를 학대했던 것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동 스스로 학대를 받으며 많은 부정적인 정서들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작은 정서 자극도 견디지 못하고 이를 해소하는데 집중하여 정서를 조절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정서조절에 있어서 상황 자체보다 인지적 평가가 더 중요한데(Quiggle et al., 1992) 학대받은 아동들은 상대의 의도를 적대적으로 평가(Crick & Dodge, 1996)하여 상황을 외부의 탓으로 돌림으로써 자신의 정서를 조절해야한다고 느끼지 못함으로써 정서를 조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돌봄을 받아야할 부모에게서 받은 학대로 인해 아동들이 세상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적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학대로 인하여 아동의 전반적인 정서능력 뿐 아니라 사회적 상황에서 정서적 능력을 사용하는데 중요한 정서조절능력의 부족이 확인 된 바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1).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 Cassidy, J., Parke, R. D., Burkovsky, M. L., & Braungart, J. M.(1992). Family-peer connection: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 603-618. 

  3. Chae, Y.(2010). Young children's emotion control & social ability according to parenting attitude.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13, 117-132. 

  4. Choi, Y.(1989). Aggression and empathy in the abused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5. Cole, P. M., Zahn-Waxler, C., & Smith, K. D.(1994). Expressive control during a disappointment: Variations related to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Developmental Psychology, 30(6), 835-846. 

  6. Crick, N. R. & Dodge, K. A.(1996).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67(3), 993-1002. 

  7. Davis, T.(1996). Gender differences in masking negative emotions: Ability or motiv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1, 660-667. 

  8. Egeland, B., Breitenbucher, M., & Rosenberg, D.(1980). A prospective study of the significance of life stress in the etiology of child abuse. Journal of Clinical and Consulting Psychology, 48, 195-205. 

  9. Ekman, P. & Frisen, W.(1975). Unmasking the fa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0. Folkman, S.(1984). Personal control stress & coping process: A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6, 839-852. 

  11.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N.Y. Bantam Books. 

  12. Gottman, J. M. & Katz, L. F.(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 Psychology, 25(3), 373-381. 

  13. Han, E.(2004). Children's motive and competence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2(3), 65-77. 

  14. Han, E.(2005). Emotion regulation as a predictor of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in school-age children.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26(4), 85-100. 

  15. Han, E.(2006). Affective predictors of school-age children' 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5), 1-15 

  16. Hart, S. N., Germain, R. B., & Brassard, M. R.(1987) Psychological maltreatment of children and youth. N.Y.: Pergamon Press 

  17. Hwang, E.(2006).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scious affect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s abusive exper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8. Hwang, H.(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emotional & behavioural problem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3(1), 67-84. 

  19. Hubbard, J. A. & Coie, J. D.(1994). Emotional correlate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 

  20. Jang, M. & Lee, J.(2011). Effects of mother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4(1), 35-53. 

  21. Kang, J.(2000).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body image and stress coping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2. Kempe, C. H.(1962), The battered child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1(July), 17-24. 

  23. Kim, E.(2008). The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 and attributional bias influenced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bus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4. Kim, G.(1993). The influence of child abused on children's aggress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1), 85-100. 

  25. Kim, H.(1994). The relation between verbal aggression by parents and children's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6. Kim, H. & Kim, Y.(2009).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mily emotional environment, maternal discipline style, & 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3). 145-158. 

  27. Kwon, Y.(2002).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effects of emotionality,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mater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8. Kurtines, C. A.(1989). Developing self-esteem and creativity in the preschool chi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ami. 

  29. Lee, J. & Moon, H.(2008).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ity,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29(4), 1-14. 

  30. Lim, H. & Park, S.(2002).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23(1), 37-54. 

  31. Lim, Y.(2002).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40(1), 113-124. 

  32. Main, M. & Goldwyn, R.(1984). Predicting rejection of her infant from mother's representation of her own experieence: Implication for the abused-abusing intergenerational cycle. Special Issue: Infant mental health from theory to intervention. Child Abuse & Neglect, 8, 203-217. 

  33. Mavroveli, S., Petrides, K. V., Rieffe, C., & Backer, F. (2007).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er-rate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25, 263-275. 

  34. Moon, Y.(1996).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Korea. Sejong Culture Publishing. Korea. 

  35. Park, E.(2008).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familial abused runaway youth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Seoul. 

  36. Park, H. & Park, S.(2002). Father's parenting behavior, son's emotional regulation as related to son's ag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8), 87-98. 

  37. Pervin, L. A.(1996). The science of personality. N.Y.: Wiley. 

  38. Pollak, S. D., Cicchetti, D., Hornung, K., & Reed, A.(2000). Recognizing emotion in faces: Developmental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Developmental Psychology, 36, 679-688. 

  39. Quiggle, N., Garber, J., Panak, W., & Dodge, K.(1992).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aggressive and depress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1305-1320. 

  40. Saarni, C.(1984). An observational study of children's attempts to monitor their expressive behavior. Child Development, 55, 1504-1513. 

  41. Saarni, C., Mumme, D. L., & Campos, J. J.(1998). Emotional development: Acti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W. Damon (Series Ed.) & N. Eisenberg (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5th ed., pp. 237-309). N.Y.: Wiley. 

  42.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on and Personality, 9, 185-211. 

  43. Shields, A. & Cicchetti, D.(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the contributions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4), 381-395. 

  44. Straus, M. A.(1991) Verbal aggression by parents and psychosocial problem of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15, 223-238. 

  45. Underwood, M. K., Coie, J. D., & Herbsman, C. R.(1992). Display rules for anger and aggression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366-380. 

  46. Underwood, M. K.(1997). Peer social status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and control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Merrill-Palmer Quarterly, 43, 610-6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