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기영양염 농도와 수온 상승이 산호 갈색공생조류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Nutrient Enrichment and Water Temperature Increment on the Zooxanthellae Density in the Scleractinian Coral Tissues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5 no.2, 2013년, pp.85 - 92  

김태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 ,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ral symbiotic algae zooxanthellae is often expelled from the host as the host coral is under physiological stress, causing the coral to turn completely white. Such coral bleaching events are occurring more freque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global warming, ocean acidification and increased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2℃ 수온에서 갈색공생조류 밀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온조절장치(Chosion Electric Factory, Amazon)를 이용하여 수온을 조절하였다. 수온조절장치 열판에서 전달되는 직접적인 열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 수조(10 L)에 실험 수조를 넣어 중탕하였다.
  • 대조구 실험 수조는 실험실 실온을 30℃로 설정하여 채집 지역 조건과 동일하게 유지하였고, 해수는 채집 지역 주변에서 펌프를 통해 들여온 해수를 0.45 µm 필터에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 채집은 2010년 10월에 실시하였고, 동일한 산호 성장과 건강 상태의 시료를 확보하기 위해 직경 5 m 이내 군락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군체(colony)에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단시 전지가위를 이용하여 가지 끝 5-6 cm 정도만 절단하는 방법으로 산호절편 30개를 확보하였다. 채집한 후에 해수가 담긴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였고, 채집 장소의 조건과 동일하게 야외수조에서 24시간 동안 순치 배양하였다.
  • 사전에 동일조건 유지를 위해 먹이를 공급하지 않고 순치·배양된 A. nobilis 절편은 실험 시작 후 24시간 동안 각 조건에서 배양하였고, 8시간 주기로 3회에 걸쳐 조직에서 이탈하는 갈색공생조류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 산호절편은 1 L 폐쇄식 수조 바닥에 PVC 받침을 부착하여 각각 3개씩 고정시켰고, 0.45 µm 필터에 여과된 해수를 이용하여 2회 반복 실험하였다.
  • 32℃ 수온에서 갈색공생조류 밀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온조절장치(Chosion Electric Factory, Amazon)를 이용하여 수온을 조절하였다. 수온조절장치 열판에서 전달되는 직접적인 열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 수조(10 L)에 실험 수조를 넣어 중탕하였다.
  • 여과된 갈색공생조류는 광학 현미경(OLYMPUS, BX51)으로 hemocytometer에서 계수한 값을 표면적으로 나누어 단위 면적당 개수로 환산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호 조직 으로부터 이탈되어 나오는 갈색공생조류 밀도 측정을 위해 수조를 1차적으로 교반한 후, 실험 조건별로 각각 10 ml을 채취하여 균질화 시켜 단위 부피(ml-1)에 존재하는 갈색공생조류의 수로 계산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에서 24시간 동안 수온 조건과 무기영양염 농도 조건에 따라 산호 조직으로부터 이탈되는 갈색공생조류 밀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수온 32℃ 조건과 염화암모늄(NH4Cl) 20 µM 농도 조건에서 실험 시작 8시간 이후부터 갈색공생조류가 이탈하여 탈색현상 징후가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고, 실험 종료 후에는 두 가지 조건에서 모두 탈색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 이 지역에서 일차적으로 산호초 탈색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 환경 변화가 산호 조직 내 갈색공생조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은 산호초 모니터링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축주 웨노섬 연안에서 우점하는 사슴뿔산호(Staghorn Coral) 종류인 Acropora nobilis를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수온 상승과 무기영양염 증가에 따른 갈색공생조류의 밀도 변화를 통해 탈색 발생 정도를 비교하였다.
  • 이번 실험에서는 일정 범위 이상에서 산호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농도(인산칼륨 10 µM, 질산나트륨 20 µM, 염화암모늄 20 µM)로 고려하였다.
  • nobilis 절편은 실험 시작 후 24시간 동안 각 조건에서 배양하였고, 8시간 주기로 3회에 걸쳐 조직에서 이탈하는 갈색공생조류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해수의 순환과 가스 교환을 위해 소형 공기펌프(에어하이테크, AD-60)를 설치하였고, 광주기는 16 L : 8 D로 설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무기영양염 농도에 따른 갈색공생조류 밀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인산염 공급원으로 인산칼륨(KH2PO4) 10 µM, 질산염 공급원으로 질산나트륨(NaNO3) 20 µM과 염화암모늄(NH4Cl) 20 µM을 각각 사용하였다.
  • 연구해역은 마이크로네시아 연방 축 환초에 위치한 웨노 섬 북부 연안으로(Fig. 1), 대상시료인 A. nobilis는 태평양에서 마이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호주 북부와 동부 연안에 분포하고, 인도양에서는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 동부 연안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대를 형성한다(Veron 2000). 연구해역에서 A.
  • 연구해역인 마이크로네시아 연방 축주 웨노섬 연안에는 산호초가 광범위하게 발달되어 있다. 현재까지 산호초 탈색현상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수온 상승 가능성(NOAA 2008)이 존재하고, 섬 연안에서는 국지적으로 맹그로브 군락이 소실되었으며, 인접 마을로부터 생활 하수 유입이 증가하는 등 산호초 탈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곳곳에 잠재되어 있다.
  • nobilis는 초 언덕(reef crest)과 경사면(reef slope) 수심 5 m 이내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산호초 군락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Kim 2012). 채집은 2010년 10월에 실시하였고, 동일한 산호 성장과 건강 상태의 시료를 확보하기 위해 직경 5 m 이내 군락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군체(colony)에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절단시 전지가위를 이용하여 가지 끝 5-6 cm 정도만 절단하는 방법으로 산호절편 30개를 확보하였다.

데이터처리

  • 시간에 따른 이탈된 갈색공생조류 밀도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test)을 실시한 후 평균간 유의성(p < 0.05)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실험에 사용된 A. nobilis 절편은 하부 지름이 1.3 ± 0.2 cm, 높이가 5.6 ± 0.9 cm으로 실험 조건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측정된 지름과 높이 값을 이용하여 각 절편을 Simple geometry 방법(Naumann et al. 2009, Fig. 2)으로 표면적(23.8 ± 6.1 cm2)을 계산하였다(Table 1).
  • 초기 갈색공생조류 밀도는 Sutton and Hoegh-Guldberg(1990)의 방법에 따라 먼저 산호절편을 막자사발에서 분쇄하고, 현탁액을 여과지(20 µm)에 여과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호 탈색현상은 어떻게 나뉘는가? 산호 탈색현상은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탈색현상과 특정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소규모 탈색현상으로 나눌 수 있다. 대규모 탈색현상은 기후 변화와 엘니뇨에 의한 수온 상승으로 발생하며(Gates et al.
산호초 탈색현상이 가져오는 손실은 무엇인가? 산호초 탈색현상(coral bleaching)은 돌산호(Scleractinian Coral)의 탄산칼슘 외골격이 하얗게 탈색되어 발생한다. 그 원인은 산호 조직 내 공생하면서 산호에게 영양 공급원 역할을 하는 갈색공생조류(zooxanthellae)가 이탈하기 때문에 나타나고, 대량 폐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해양 생물 서식지를 제공하는 산호초 생태계에 치명적이다(Hoegh-Guldberg 1999). 이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산호초 생태계에 의존하는 어업, 관광업 등 인류에게도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가져 오고 있다(Costanza et al. 1997; Heck et al. 2003).
산호초 탈색현상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산호초 탈색현상(coral bleaching)은 돌산호(Scleractinian Coral)의 탄산칼슘 외골격이 하얗게 탈색되어 발생한다. 그 원인은 산호 조직 내 공생하면서 산호에게 영양 공급원 역할을 하는 갈색공생조류(zooxanthellae)가 이탈하기 때문에 나타나고, 대량 폐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해양 생물 서식지를 제공하는 산호초 생태계에 치명적이다(Hoegh-Guldberg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tkinson MJ, Carlson B, Crow GL (1995) Coral growth in high-nutrient, low pH seawater: a case study of corals cultured in the Waikiki Aquarium, Honolulu, HI. Coral Reefs 14:215-223 

  2. Bell PRF, Tomascik T (1993) The demise of the fringing corals reefs of Barbados and of regions in the Great Barrier Reef (GBR) lagoon-impacts of eutrophication. In: Ginsburg RN (ed) Proceedings of the colloquium on global aspects of coral reefs: health, hazards and history. Rosenstiel School of Marine and Atmospheric Science, University of Miami, FL, pp 319-325 

  3. Brown BE, Tissier MDA, Bythell JC (1995) Mechanisms of bleaching deduced from histological studies of reef corals sampled during a natural bleaching event. Mar Biol 122:655-663 

  4. Chavanich S, Viyakarn V, Loyjiw T, Pattaratamrong P, Chankong A (2009) Mass bleaching of soft coral, Sarcophyton spp. in Thailand and the role of temperature and salinity stress. ICES J Mar Sci 66:1515-1519 

  5. Cortes J, Fonseca AC, Nivia-Ruiz J, Nielsen-Munoz, V, Samper-Villarreal J, Salas E, Martinez S, Zamora-Trejos P (2010) Monitoring coral reefs, seagrasses and mangroves in Costa Rica. Rev Biol Trop 58:1-22 

  6.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van der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253-260 

  7. Dollar SJ (1994) Sewage discharge on coral reefs: not always pollution. Coral Reefs 13:224 

  8. Drew EA (1972) The biology and physiology of algainvertebrate symbiosis. II. The density of symbiotic algal cells in a number of hermatypic hard corals and alcyonarians from various depths. J Exp Mar Biol Ecol 29:71-75 

  9. Dubinsky Z, Stambler N, Ben-Zion M, McCloskey L, Muscatine L, Falkowski PG (1990) The effect of external nutrient resources on the optical propertie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Stylophora pistillata. Proc R Sot Land B 239:231-246 

  10. Dustan P (1979) Distribution of zooxanthellae and photosynthetic chloroplast pigments of the reef-building coral Montastrea annularis Ellis and Solander in relation to depth on a West Indian coral reef. B Mar Sci 29(1):79-95 

  11. Fagoonee I, Wilson HB, Hassell MP, Turner JR (1999) The dynamics of zooxanthellae population: a long term study in the field. Science 283:843-845 

  12. Ferrier-Pages C, Gattuso JP, Dallot S, Jaubert J (2000) Effect of nutrient enrichment on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the zooxanthellate coral Stylophora pistillata. Coral Reefs 19:103-113 

  13. Fletcher CH, Richmond BM (2010) Climate change in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University of Hawaii, Honolulu, 28 p 

  14. Furnas MJ (1991) Nutrient status and trends in waters of the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In: Yellow D (ed) Land uses, patterns and nutrient loadings of the Great Barrier Reef Region. James Cook University, Townsville, pp 162-179 

  15. Gates RD, Baghdasarian G, Muscatine L (1992) Temperature stress causes host cell detachment in symbiotic cnidarians:implications for coral bleaching. Biol Bull 182:324-332 

  16. Heck JL, Hays G, Orth RJ (2003) Critical evaluation of the nursery role hypothesis for seagrass meadow. Mar Ecol Prog Ser 253:123-136 

  17. Hoegh-Guldberg O (1999) Climate change, coral bleaching and the future of the world’s coral reefs. Mar Freshw Res 50:839-866 

  18. Hoegh-Guldberg O (2006) The population dynamics of symbiotic zooxanthellae in the coral Pocillopora damicornis exposed to elevated ammonium (NH4Cl) concentrations. Pac Sci 48:263-272 

  19. Hoegh-Guldberg O, Smith J (1989) Influence of the population density of zooxanthellae and supply of ammonium on the biomass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the reef corals Seriatopora hystrix and Stylophora pistillata. Mar Ecol Prog Ser 57:173- 186 

  20. Kim T (2012) Comparison between in situ Survey and High-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n Reef Habitat Distribution Patterns in Chuuk Atoll,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82 p 

  21. Kinsey DW, Davies PJ (1979) Effect of elevated nitrogen and phosphorus on coral reef growth. Limnol Oceanogr 24:935-940 

  22. Kline DI, Kuntz NM, Breitbart M, Knowlton N, Rohwer F (2006) Role of elevated organic carbon levels and microbial activity in coral mortality. Mar Ecol Prog Ser 314:119-125 

  23. Marubini F, Davies PS (1996) Nitrate increases zooxanthellate density and reduces skeletogenesis in corals. Mar Biol 127:319-328 

  24. Muscatine L, Falkowski PG, Dubinsky Z, Cook PA, McCloskey L (1989) The effect of external nutrient resourc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zooxanthellae in a reef coral. Proc Biol Sci 236:311-324 

  25. Naumann MS, Niggl W, Laforsch C, Glaser C, Wild C (2009) Coral surface area quantification-evaluation of established techniques by comparison with computer tomography. Coral Reefs 28:109-117 

  26. NOAA (2008) The State of Coral Reef Eco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Pacific. NOAA, 574 p 

  27. Freely Associated States: 2008.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 NCCOS 73. NOAA/NCCOS Center for Coastal Monitoring and Assessment's Biogeography Team, Silver Spring, MD, 569 p 

  28. Renegar DA, Riegl BM (2005) Effect of nutrient enrichment and elevated CO2 partial pressure on growth rate of Atlantic scleractinian coral Acropora cervicornis. Mar Ecol Prog Ser 293:69-76 

  29. Stambler N, Popper N, Dubinsky Z, Stimson J (1991) Effects of nutrient enrichment and water motion on the coral Pocillopora damicornis. Pac Sci 45:299-307 

  30. Steven ADL, Broadbent AD (1997) Growth and metabolic responses of Acropora prolifera to long-term nutrient enrichment. Proc 8th International Coral Reef Symposium 1:867-872 

  31. Stimson J (1997) The annual cycle of density of zooxanthellae in the tissues of field and laboratory-held Pocillopora damicornis (Linnaeus). J Exp Mar Biol Ecol 214:35-38 

  32. Stimson J, Kinzie III RA (1991) Temporal pattern and release rate of zooxanthellae from the reef coral Pocillopora damicornis (Linnaeus) under nitrogen-enrichment and control conditions.). J Exp Mar Biol Ecol 153:63-74 

  33. Stone L, Huppert A, Rajagopalan B, Bhasin H, Loya Y (1999) Mass coral reef bleaching: a recent outcome of increased El Nino activity? Ecol Lett 2:325-330 

  34. Sutton DC, Hoegh-Guldberg O (1990) Host-zooxanthella interactions in four temperate marine invertebrate symbiosies: assessment of effect of host extracts on symbionts. Biol Bull 178:175-186 

  35. Szmant AM (2002) Nutrient Enrichment on coral reefs: is it a major cause of coral reef decline? Estuaries 25:743-766 

  36. Tomascik T, Sander F (1985) Effects of eutrophication on reef building corals. I. Effects of eutrophication on the reef building coral Montastraea annularis. Mar Biol 87(2):143-155 

  37. Veron J (2000) CORALS of the world (Vol 1).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Townsville, 222 p 

  38. Walker DI, Ormond RFG (1982) Coral death and phosphate pollution in aquaba, Red Sea. Mar Pollut Bull 13:21-25 

  39. Walther GR, Post E, Convey P, Menzel A, Parmesan C, Beebee TJC, Fromentin JM, Hoegh-Guldberg O, Bairlein F (2002)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e 416:389-395 

  40. Warner ME, Fitt WK, Schmidt GW (1999) Damage to photosystemII in symbiotic dinoflagellates: a determinant of coral bleaching. P Natl Acad Sci Usa 96:8007-8012 

  41. Yuen YS, Nakamura T, Yamaziki SS, Yamasaki H (2008) Long-term effect of inorganic nitrogen enrichment on the reef-building corals Stylophora pistillata and Acropora spp. In: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Coral Reef Symposium, Ft. Lauderdale, Florida, 7-11 July 2008. pp 940-9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