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근해에 출현하는 현생 부유성 유공충 종과 계절변화
Occurrence of Modern Planktonic Foraminiferal Species and their Seasonal Variations around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5 no.2, 2013년, pp.181 - 191  

현상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센터) ,  카츠노리 키모토 ,  조성환 ((주)연안생태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modern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l species and their seasonal variations around Jeju Island, we conducted planktonic foraminiferal sampling at KIOST's regular sampling sites during 16 months. In total seven genus and 16 modern planktonic foraminiferal speci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살아있는 현생 부유성 유공충에 대한 연구나 이를 이용하여 해양환경변화를 파악하는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제주 주변해역에서 현재 출현하는 현생 부유성 유공충의 종류를 살펴보고 이들의 계절변화를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공충이란? 유공충은 탄산염을 생성하는 원생동물로 골격질 metazoans가 출현하기 시작하는 캄브리안 전기에 지구상에 출현했다. 일반적으로 유공충은 저서성과 부유성으로 분류되며 분포지역이 넓고 지질학적으로 긴 시간동안 존재해 왔다는 이유로 지질연대를 결정하는 지표종으로 자주 이용되어 층서학이나 석유지질학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어 왔다(Resig 1990; Gupta 2002; Chacon et al.
부유성 유공충의 산출양상은 어떠한 군집상을 보이는가? 일반적으로 부유성 유공충의 산출양상은 5개의 주요한 군집상을 보인다. 즉, 극지역(polar) 군집, 아극지역(subpolar) 군집, 온대의 전이군집(transition-temperate), 아열대(subtropical) 군집과 열대(tropical) 군집이다. 이들 종들의 군집은 일차적으로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받지만 그 외 개체군의 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좀 더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유공충의 특징은? 유공충은 탄산염을 생성하는 원생동물로 골격질 metazoans가 출현하기 시작하는 캄브리안 전기에 지구상에 출현했다. 일반적으로 유공충은 저서성과 부유성으로 분류되며 분포지역이 넓고 지질학적으로 긴 시간동안 존재해 왔다는 이유로 지질연대를 결정하는 지표종으로 자주 이용되어 층서학이나 석유지질학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어 왔다(Resig 1990; Gupta 2002; Chacon et al. 2004; W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 AWH (1960) Ecology of recent planktonic foraminifera:Part 2 - Bathymetric and seasonal distributions in the Sargasso-Sea off Bermuda. Micropaleontology 6(4):373-392 

  2. Beardsley RC, Limeburner R, Yu H, Cannon GA (1985) Discharge of the Changjing (Yangtze River) in the East China Sea. Cont Shelf Res 4(1-2):57-76 

  3. Chacon B, Chivelet JM, Grafe K-U (2004) Latest Santonian to latest Maastrichtian planktic foraminifera and biostratigraphy of the hemipelagic successions of the Prebetic Zone (Murcia and Alicante provinces, south-east Spain). Cretaceous Res 25(4):585-601 

  4. Cifelli R (1971) On the temperature relationship on planktonic foraminifera. J Foramin Res 1:170-177 

  5. CLIMAP (1976) The surface of the ice-age earth. Science 191(4232):1131-1144 

  6. De-Garidel-Thoron T, Rosenthal Y, Bassinot F, Beaufort L (2005) Stabl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western Pacific warm pool over the past 1.75 million years. Nature 433(7023):294-298 

  7. Deuser WG, Ross EH, Hemleben C, Spindler M (1981)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number, mass size, and isotopic composi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settling in the deep Sargasso Sea. Palaeogeogr Palaeocl 33(1-3):103-127 

  8. Eggins SM, Sadekov A, De Deckker P (2004) Modulation and daily banding of Mg/Ca in Orbulina universa tests by symbiotic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A complication for seawater thermometry? Earth Planet Sci Lett 225: 411-419 

  9. Emiliani C (1955)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tests of certain pelagic foraminifera. Micropaleontology 1(4):377-380 

  10. Field DB, Baumgarterm TR, Charles CD, Ferreira-Bartrina V, Ohman MD (2006) Planktonic foraminifera of the California Current reflect 20th-century warming. Science 311(5757):63-66 

  11. Gupta BK (2002) Modern Foraminifera. Kluwer Acadamic Publishers, Dordrecht, 371 p 

  12. Hemleben CH, Spindler M, Anderson OR (1988) Modern Planktonic Foraminifera. Springer-Verlag, New York, 363 p 

  13. Hikami M, Ushie H, Irie T, Fujita K, Kurouanagi A, Sakai K, Nojiri Y, Suzuki A, Kawahata, H (2011) Contrasting calcification responses to ocean acidification between two reef foraminiferas harboring different algal symbionts. Geophys Res Lett 38(19):L19601. doi:10.1029/2011GL048501 

  14. Kang S, Lim DI, Rho KC, Jung HS, Choi JY, Yoo HS (2006) Planktic foraminifera assemblages of core sediments from the Korea Strait and paleoceanographic changes. J Korean Earth Sci Soc 27:464-474 

  15. Katoh O, Teshima K, Abe O, Fujita H, Miyagi K, Morinaga K, Nakagawa N (1996) Process of the Tsushima Current formation reveled by ACDP measurements in summer. J Oceanogr 52(4):491-507 

  16. Kim JM, Kennett, JP, Park BK, Kim DC, Kim GY, Roark, EB (2000) Paleoceanographic change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East Sea of Korea. Paleoceanography 15(2):254-266 

  17. Korea Hydrographic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3) KOOFS(Korea Ocean Observing And Forecasting System) http://www.khoa.go.kr/koofs/kor/observation/obs_real_map.asp Accessed 17 June 2013 

  18. Kuroyanagi A, Kawahata H (2004) Vertical distrubution of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seas around Japan. Mar Micropaleontol 53(1-2):173-196 

  19. Kuroyanagi A, Kawahata H, Suzuki A, Fujita K, Irie T (2009)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large benthic foraminiferas: results from laboratory experiments. Mar Micropaleontol 73:190-195 

  20. Lea DW, Pak DK, Spero HJ (2000) Climate impact of late Quaternary equatorial Pacific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Science 289(5485):1719-1724 

  21. Moy AD, Howard WR, Brey SG, Trull TW (2009) Reduced calcification in modern Southern Ocean planktonic foraminifera. Nat Geosci 2(4):276-280 

  22. Oba T, Kato M, Kitazato H, Koizumi I, Omura A, Sakai T, Takayama T (1991)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85,000 years. Paleoceanography 6(4):499-518 

  23. Parker FL (1962) Planktonic foraminiferal species in Pacific sediments. Micropaleontology 8(2):219-254 

  24. Park BK, Shin IC (1998) Seasonal distribu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s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a larger marginal sea of the northwest Pacific. J Foramin Res 28:321-326 

  25. Resig JM (1990) Benthic foraminiferal stratigraphy and paleoenvironments off Peru, Leg 112. Proc Ocean Drill Program, Sci Results 112:263-296 

  26. Saito T, Thompson PR, Breger D (1981) Systematic index of recent and Pleistocene planktonic foraminifera. University of Tokyo press, 190 p 

  27. Schmidt MW, Spero HJ, Lea DW (2004) Links between salinity variation in the Caribbean and North Atlantic thermohaline circulation. Nature 428:160-163 

  28. Schmidt MW, Vautravers MJ, Sapero HJ (2006) Western Caribbean sea surface temperatures during the late Quaternary. Geochem Geophy Geosy 7(2):Q02P10. dio:10.1029/2005GC000957 

  29. Ujiie Y, Ujiie H (2000) Distribution and oceanographic relationships of modern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Ryukyu Arc region, northwest Pacific Ocean. J Foramin Res 30:336-360 

  30. Ujiie Y, Ujiie H, Taira A, Nakamura T, Oguri K (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urface water in the Kuroshio source region, Pacific Ocean, over the past 21,000 years: evidence from planktonic foraminifera. Mar Micropaleontol 49:335-364 

  31. Urey HC (1948) Oxygen isotopes in nature and in the laboratory. Science 108:489-496 

  32. Wan X, Lamolda MA, Si J, Li G (2005) Foraminiferal stratigraphy of Late Cretaceous red beds in southern Tibet. Cretaceous Res 26(1):43-48 

  33. Watkins JM, Mix AC, Wilson (1998). Living planktic foraminifera in the central tropical Pacific Ocean: articulating the equatorial 'cold tongue' during the La Nina. Mar Micropaleontol 33(3-4):157-174 

  34. Williams DF, Be AWH, Fairbanks RG (1981) Seasonal stable isotope variations in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 from Bermuda plankton tows. Palaeogeogr Palaeocl 33(1-3):71-102 

  35. Xu X, Yamasaki M, Oda M, Honda MC (2005) Comparison of seasonal flux variation of plankton foraminifera in sediment traps on both sides of the Ryukyu Island, Japan. Mar Micropaleontol 58(1):45-55 

  36. Yamasaki M, Murakami T, Tsuchihashi M, Oda M (2010) Seasonal variation in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l assemblag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Fossils 87:35-46 (in Japanese) 

  37. Yamasaki M, Oda D (2003) Sediment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East China Sea: evidence from sediment trap experiment. Mar Micropaleontol 49(1-2):3-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