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처트-백운석 반응에 의한 석면상 투각섬석의 생성과 형태적 특성
Asbestiform Tremolite Formed by Chert-Dolomite Reaction and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2, 2013년, pp.111 - 118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진범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천시 수산면의 고생대 백운암에는 속성기원 흑색 처트 단괴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흑운모 화강암 관입과 관련된 접촉변성작용으로 백운석과 처트가 반응하여 단괴 주위로 변질대가 형성되었다. 변질 초기에 활석방해석이 처트와 백운암을 교대하며 생성되었지만, 후기에 투각섬석이 활석과 방해석을 교대하였다. 처트 단괴들이 밀집한 백운암 층준에서는 회백색 투각섬석이 다량으로 산출된다. 주사전자현미경광학현미경 관찰결과, 투각섬석은 다양한 종횡비의 신장된 입자 형태를 보이며, 수 mm의 좁은 공간에서 같이 산출된다. 침상-섬유상 입자들이 다발을 이루는 석면상 투각섬석도 있으나, 주상 입자들도 흔히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연 유래 석면물질의 경우, 모든 투각섬석이 석면상 투각섬석은 아니므로 석면 정량 시 유의해야 한다. 수산 지역에서 석면상 각섬석의 산출 환경은 함처트 백운암, 열원, 수용성 유체의 존재가 투각섬석 석면의 지질학적 생성 조건이 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agenetic black chert nodules occur in the Paleozoic dolostone in Susan, Jecheon, Korea. They reacted with dolomite to form alteration rim around the nodules during the contact metamorphism probably related to the intrusion of biotite granite. In the earlier stage of alteration, talc and calcit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년 제천시 수산면에 위치한 채석장에서 석면상 투각섬석의 산출이 확인되어 사회문제화된 바 있는데, 이 경우에도 백운암 내 처트(chert)의 존재가 석면상 투각섬석 생성의 중요 인자였던 것으로 해석된다.이 연구에서는 제천시 수산면 채석장에 노출된 함처트 백운암에서 관찰된 백운석과 처트의 반응에 의한 석면상 투각섬석의 생성과 형태적 특성에 대하여 보고한다.

가설 설정

  • (c) Radiating tremolite columns/needles. (d) Chert nodule with alteration rims aligned to bedding plane. (e) Altered chert nodules exposed on the bedding planes (lower par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각섬석-양기석 고용체 계열의 석면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연발생석면(naturally oc-curring asbestos)으로 사문석 계열의 온석면과 각섬석 계열의 석면상 투각섬석 및 석면상 양기석이 있다(Koh, 2009). 온석면이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사문암 분포지에서 제한적으로 산출되는 반면에, 투각섬석-양기석 고용체 계열의 석면은 보다 광범한 지질환경에서 산출될 뿐만 아니라(Jeong and Choi, 2012), 석면상 투각섬석-양기석의 위해성이 온석면보다 크다는 동물실험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Mc-Connel et al., 1990; Davis et al.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연발생석면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연발생석면(naturally oc-curring asbestos)으로 사문석 계열의 온석면과 각섬석 계열의 석면상 투각섬석 및 석면상 양기석이 있다(Koh, 2009). 온석면이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사문암 분포지에서 제한적으로 산출되는 반면에, 투각섬석-양기석 고용체 계열의 석면은 보다 광범한 지질환경에서 산출될 뿐만 아니라(Jeong and Choi, 2012), 석면상 투각섬석-양기석의 위해성이 온석면보다 크다는 동물실험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Mc-Connel et al.
투각섬석의 생성에는 Ca, Mg, Si, H2O가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것은 무엇인가? 투각섬석의 생성에는 Ca, Mg, Si, H2O가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열수의 도입으로 Ca와 Mg가 주성분인 백운암이 Si 및 물과 반응하는 환경이 투각섬석 생성에 적합함을 쉽게 예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질작용을 받은 백운암 분포지역이 자연발생석면의 산출 가능 지역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Mg 함량이 높은 사문암에도 Ca를 함유한 단사휘석이 흔히 함유되어 있으므로 열수 작용에 의하여 투각섬석이 생성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avis, J.M.G., Addison, J., McIntosh, C., Miller, B.G., and Niven, K. (1991) Variations in the carcinogenicity of tremolite dust samples of differing morphology.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643, 473-490. 

  2. Gunter, M.E., Belluso, E., and Mottana, A. (2007) Amphiboles: Environmental and health concerns. In: Hawthorne, F.C., Oberti, R. Della Ventura, G. Mottana, A. (eds.), Amphiboles: Crystal Chemistry, Occurrence and Health Issue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ol. 67,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the Geochemical Society, 453-516. 

  3. Hoersch, A.L. (1981) Progressive metamorphism of the chert-bearing Durness limestone in the Beinin an Dubhaich, Isle of Skye: A reexamination. American Mineralogist, 66, 491-506. 

  4. Jeong, G.Y. and Choi, J.B. (2012) Morphological Diversity of Tremolite-actinolite Series Amphiboles with Implications to the Evaluation of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5, 95-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oesten, R. (1991) Local equilibrium in metasomatic processes revisited: diffusion-controlled growth of chert nodule reaction rims in dolomite. American Mineralogist, 76, 743-755. 

  6. Koh, S.M. (2009) Occurrence and formation environments of asbestos minerals. In: Kim, S.J. (ed.), Asbestos Academy,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8-34. 

  7. Lee, M.S. and Park, B.S. (1965) The Geological map of Hwanggang-ni sheet with explanatory text. Geological Survey of Korea. 

  8. Lower, H. and Meeker, G. (2002) Tabulation of asbestos-related terminology. USGS Open-File Report 02-458. 

  9. McConnel, E.E. et al. (1990) Toxicology and cacinogenesis studies of tremolite. National Toxicology Program Technical Report Series No. 277. 183p. 

  10.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0) Guideline for the Reclamation of Asbestos Mine a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11.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012) A study for the selection of asbestos-bearing materials and their reasonable managements.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2. Pettijohn, F.J. (1975) Sedimetary rocks. Harper & Row, Publishers, New York. 

  13. Strohmeier, B.R., Huntington, J.C., Bunker, K.L., Sanchez, M.S., Allison, K., and Lee, R.J. (2010) What is asbestos? and why is it important? Challenges of defining and characterizing asbestos. International Geological Review, 52, 801-872. 

  14. Suzuki, K. (1977) Local equilibrium during the contact metamorphism of siliceous dolomites in Kasugamura, Gifu-ken, Japan.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61, 79-89. 

  15. Tilley, C.E. (1948) Earlier Stages in the Metamorphism of Siliceous Dolomites. Mineralogical Magazine, 28, 272-276. 

  16. Woodford, D.T., Sisson, V.B., and Leeman, W.P. (2001) Boron metasomatism of the Alta stock contact aureole, Utah: Evidence from borates, mineral chemistry, and geochemistry. American Mineralogist, 86, 513-533. 

  17. Yoon, K.T., Hwang, J.Y., Oh, J.H., and Lee, H. (2010) Characteristics of Tremolite Asbestos from Abandoned Asbestos Mines in Boryeong Area, Chungnam.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3, 7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