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Analysis of Self Images for Teacher Librarian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4 no.2, 2013년, pp.31 - 47  

변우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이병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이용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여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자아상 측정 결과 사서교사는 스스로를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춘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무시당하고 비활동적'이라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중에서는 교육경력이 평가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배 사서교사의 조언자 내지는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선배 사서교사와 후배 사서교사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도서관협회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서교사 배치를 의무화하여 직업적 안정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 간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해서 전문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elf-image of the teacher librarian by 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 and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self-imag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 librarians have regarded themselv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미변별법(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을 이용하여 사서교사의 시각에서 자신의 자아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교사가 긍정적인 자아상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의미변별법(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을 이용하여 사서교사의 시각에서 자신의 자아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교사가 긍정적인 자아상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도서관 지침에서는 어떤 규정을 통해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는가? 자기주도 학습과 자원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교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법이 학교도서관의 정보관리지식은 물론 정보활용능력과 밀접하게 연계되면서 사서교사의 자격과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이다(ASLA 2000).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학교도서관 지침』(IFLA and UNESCO 2002)에서는 보조직원으로 사서교사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면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역할 수행에 적합한 사서교사 배치가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사서교사 스스로 자신의 역할과 직무 범위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갖추는 것이 어렵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어떤 영향이 있는가? 학교도서관의 역할 수행에 적합한 사서교사 배치가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사서교사 스스로 자신의 역할과 직무 범위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갖추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으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일관성 없는 경험을 하거나 사서교사의 존재 가치에 대한 혼란을 초래하였다(정진수 2008, 298-299). 즉 사서교사의 경우 사서교사 스스로 전문가로서의 내적 신념이 일반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학교 공동체 구성원이 사서교사에 대해서 갖는 가치와 태도, 인상이나 느낌 등이 학교도서관의 변화에 맞추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다.
사서교사의 자격과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자기주도 학습과 자원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교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법이 학교도서관의 정보관리지식은 물론 정보활용능력과 밀접하게 연계되면서 사서교사의 자격과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이다(ASLA 2000).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학교도서관 지침』(IFLA and UNESCO 2002)에서는 보조직원으로 사서교사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면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인적자원부. 2002. . 서 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3.4.1]. . 

  4. 권은경. 2007.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 학교도 서관의 운영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 28(3): 247-276. 

  5. 김성준. 2009.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 40(3): 249-270. 

  6. 김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 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 점에 관한 연구. , 17(1): 135-159. 

  7. 문화체육관광부. 2012.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8.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 광부. 2013.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9. 박경래. 2005. .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0. 박경숙. 1974. 意味辨別法에 의한 '선생'의 이 미지 測定. , 1(2): 61-73. 

  11. 박화윤, 최인숙, 천은영. 2003.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상태 유형에 관한 연구. , 34: 339-355. 

  12. 변우열 등. 2003.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3. 유길호. 2006. .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서영민. 2005. .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송기호. 2009.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 가치에 대한 연구. , 40(4): 225-247. 

  16. 송기호. 2010.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 41(2): 317-337. 

  17. 송기호. 2011.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 45(2): 163-183. 

  18. 신승주. 2007. . 석 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이병기. 2008. . 서울: 조은글터. 

  20. 이학주. 2000. 의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 17(1): 183-205. 

  21. 이희수. 2002.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2. 임경원 등. 2006.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 의미 변별척도의 적용. , 22(3): 213-233. 

  23. 임상직. 2003. .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 전공. 

  24. 임승렬. 2003. 유치원교사의 자아상(self-image) 검사도구개발과 자아상 분석. , 8(2): 315-332. 

  25. 장동환. 1964. 한국어의 의미론적 구조에 관한 연구. , 9: 191-206. 

  26. 장석경. 2008. .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 육대학원. 

  27. 정진수. 2008.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대한 연구. , 43(4): 281-306. 

  28. 조수재. 2006. . 석사 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29. 한윤옥. 2001.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대한 연구. , 35(3): 211-234. 

  30. 홍정원. 2008. . 석사 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31.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ALIA). 2009. Standards of professional excellence for teacher librarians. [online]. [cited 2013.5.2]. . 

  32.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0. Policy Statement-School Library Bill of lights. [online]. [cited 2013.4.3]. . 

  33. Brown, Jean and Bruce Sheppard. 1998. "Teacher-librarians: Mirror images + the spark." Emergency Librarian, 25(3). [online]. [cited 2013.5.20]. . 

  34. IFLA and UNESCO. 1998.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3.5.1]. . 

  35. IFLA and 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13.4.5]. . 

  36. Prostano, Emanuel T. and Joyce S. Prostano. 1999.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5th. ed. 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Inc. 

  37. Sannon, David. 2009. "Teacher-Librarians are Instructional Leaders." Medium, 33(3): 3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