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교사의 자아 상태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go State Types of Teacher Librarian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2, 2014년, pp.77 - 95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이론에서 제시한 이고그램(egogram)을 통해서 사서교사의 자아 상태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바람직한 자아 상태는 A(Adult)와 NP(Nurturing Parent) 그리고 FC(Free Child)가 CP(Critical Parent)나 AC(Adapted Child)보다 높은 것이다. 그러나 사서교사는 CP가 높고 A와 FC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사서교사가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바른 것이라고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보하려 하지 않고 규칙과 규범을 강조하는 완고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서교사의 자아 상태는 학생의 자주적 학습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서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자는 물론 교수 파트너로서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교육용 콘텐츠 및 수업용 자료 개발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go state types of teacher librarians by using egogram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It is the ideal ego state types for teachers that NP (Nurturing Parent), A (Adult) and FC (Free Child) are much higher than CP (Critical Parent) and AC (Adapted Child). Bu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이론에서 제시한 이고그램(egogram)을 통해서 사서교사의 기능적 자아 상태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이고그램의 자아 상태가 지닌 일반적인 특징이 연구에 참여한 사서교사의 개인별 배경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사서교사가 바람직한 대인관계의 기본이 되는 자기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이론에서 제시한 이고그램(egogram)을 통해서 사서교사의 기능적 자아 상태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이고그램의 자아 상태가 지닌 일반적인 특징이 연구에 참여한 사서교사의 개인별 배경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줄여줘야하는 이유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은 신체적․사회적인 변화와 진학과 취업 같은 교육 환경의 변화를 겪는 인생의 전환기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한 가정과 학교의 노력이 필요하다(Sarason and Sarason 2001, 189).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량은 배경학문에 대한 전문성뿐만 아니라 학생의 생활지도와 학습 환경 조성 그리고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과 같은 비교과적 영역을 포함한다.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량에 포함되는 것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은 신체적․사회적인 변화와 진학과 취업 같은 교육 환경의 변화를 겪는 인생의 전환기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한 가정과 학교의 노력이 필요하다(Sarason and Sarason 2001, 189).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량은 배경학문에 대한 전문성뿐만 아니라 학생의 생활지도와 학습 환경 조성 그리고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과 같은 비교과적 영역을 포함한다.
사서교사의 학생지도가 미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은? 학생지도 측면에서 보면, 사서교사는 학교 도서관이라는 교육 환경에서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와 장래 희망 등에 대해서 얘기를 나눌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갖는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서 사서교사는 학생에게 긍정적인 성인의 모범을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의 스트레스 극복에 기여할 수 있다(Doll and Doll 2010, 3). 특히 학교도서관은 학생,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진 공동체 구성원 간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긍정적인 대인관계능력과 인성은 편안하고 친근한 도서관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파트너십은 물론 이용자의 정서적인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규수, 이병래. 1995. 유치원교사의 자아 상태 유형에 관한 연구. 원대논문집, 30(1): 319-340.(Kim, Kyu Soo and Byung Nae Lee. 1995. "A Study of Kindergarten Teacher's Egogram." THESES (Wonkwang University), 30(1): 319-340.) 

  2. 김옥희, 박미하. 2011. 교류분석의 의사거래 유형과 Satir의 의사소통 유형 비교. 교류분석연구, 2(1): 35-54.(Kim, OK Hee and Mi Ha Bak. 2011. "Comparison between Transactional Analysis and Satir Communication Styles." The Journal of Korea Transactional Analysis Research, 2(1): 35-54.) 

  3. 김종재. 2006. 인간관계론: 이론과 응용. 서울: 박영사.(Kim, Jong Jae. 2006. Human Relation. 2nd ed. Seoul: Bakyoungsa.) 

  4. 김종호. 2008. 교류분석(TA)의 자아 상태 측정을 위한 한국형 Egogram척도개발. 상담학연구, 9(3): 877-903.(Kim, Jong Ho. 2008. "Development of Criterion of Korean Egogram for Measuring Ego-state in Transactional Analysis." Korea Journal of Counselling, 9(3): 877-903.) 

  5. 김종호. 2009. 교류분석을 통한 청소년들과의 대화 기법. 상담과 지도, 14(3): 83-99.(Kim, Jong Ho. 2009. "Communication Skills with Young People through Transactional Analysis." Sangdam and Jido (The Korean Counselor's Association), 14(3): 83-99.) 

  6. 박명희. 2004. 에고그램에 나타난 성격유형과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Park, Myeong Hee. 2004. The Effect of Ego-states of Egogram and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 Satisfaction. M.A. thesis, Han 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7. 박화윤, 최인숙, 천은영. 2003. 예비 유아 교사의 자아 상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339-365.(Park, Wha Youn, In Sook Choi, and Eun Yeong Chon. 2003. "The Study on the Ego State Type of the Preservice Teacher."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34: 339-365.) 

  8. 변우열, 이병기, 송기호. 2013.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31-47.(Byun, Woo Yeoul, Byeong Ki Lee, and Gi Ho Song. 2013.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Analysis of Self Images for Teacher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31-47.) 

  9. 송기호. 2011.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163-184.(Song, Gi Ho. 2011.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163-184.) 

  10. 심영택. 2003. 교사 화법의 개선 방향과 방법 연구. 화법연구, 5: 143-174.(Shim, Young Taek. 2003. "A Study on the Remedy Direction of Teacher's Classroom Talk and the Remedy Method of their's Talk." Korean Speech and Discourse Analysis, 5: 143-174.) 

  11. 오영희 외.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아 상태와 스트로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2): 381-400.(Oh, Young Hee et al. 2008. "Correlational Research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gram: Sroke of Kindergarten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2(2): 381-400.) 

  12. 우재현. 2008. 교류분석(TA) 입문. 제2판. 대구: 정암서원.(Woo, Jae Hyoun. 2008. Induction of Transactional Analysis. 2nd ed. Daegu: Jeongamseowon.) 

  13. 우재현. 2013. 이고그램 243패턴: 성격의 진단과 개선. 제8판. 대구: 정암서원.(Woo, Jae Hyoun. 2013. Egogram Pattern 243: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Personality. 8th ed. Daegu: Jeongamseowon.) 

  14. 이병래. 1997. 자아 상태 검사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학회지, 1(1): 141-164.(Lee, Byung Nae. 1997.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Egogram Checklist."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 141-164.) 

  15. 이성태. 2006. 인간관계론. 서울: 양서원.(Lee, Seong Tae. 2006. Human Relations. Seoul: Yangseowon.) 

  16. 이은주. 2007. 교사의 대인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고찰.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5(2): 109-138.(Lee, Eun Joo. 2007. "A Study on The Patter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f Teach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5(2): 109-138.) 

  17. 이은주. 2011. 교류분석을 통해 살펴본 예능교사의 교수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6(1): 99-124.(Lee, Eun Joo. 2011. "A Study on the Teaching Behavior Characters of Aesthetics Education on Transaction Analysi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6(1): 99-124.) 

  18. 이태영, 김명하. 2013. 예비 유아교사의 학년별 교수신념, 교사효능감, 자아 상태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7(6): 99-117.(Lee, Tae Young and Myung Ha Kim. 2013. "Differences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Teacher Efficacy, and Ego State according to Grade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7(6): 99-117.) 

  19. 최창호. 2011. 개인의 자아 상태 요인과 직무태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Choi, Chang Ho. 201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Ego State and Job Attitude. M.A. thesis,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 한국교류분석협회. 2012. EGO-OK GRAM [online]. [cited 2014.3.15]. .(Korean Transactional Analysis Association. EGO-OK GRAM [online]. [cited 2014.3.15]. .) 

  21. Doll, Carol A. and Beth Doll. 2010. The Resilient School Library. California: Libraries Unlimited. 

  22. Dusay, John M. 1993. 이고그램. 우재현 옮김. 대구: 정암서원.(Dusay, John M. 1993. Egogram. Translated by Woo, Jae Hyoun. Daegu: Jeongamseowon.) 

  23. IFLA/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14.5.14]. . 

  24. Montiel-Overall, Patricia. 1995.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ion (TCL)." School Libraries Worldwide, 11(2): 24-48. 

  25. Novojenova, Rima and Sawilowsky Shlomo S. 1999. "Measurement of Influence of the Teacher's Personality on Student in the Classroom." Social Behaviorand Personality, 27(5): 533-544. 

  26. Sarason, Irwin G. and Barbara R. Sarason. 2001. 이상심리학. 김은정, 김향구, 황순덕 옮김. 서울: 학지사.(Sarason, Irwin G. and Sarason, Barbara R. 2001. Abnormal Psychology. Translated by Kim, Eun Jeong, Hyang Goo Kim, and Soon Duk Hwang. Seoul: Hakjisa.) 

  27. Steiner, Claude. 2005. 교류분석: 정교한 이론과 실제. 권화순 역.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연구, 3: 104-114.(Steiner, Claude. 2005. "Transactional Analysis: Delicate Theory and Practice." Translated by Kwon, Hwa Soon. Transactional Analysis and Phychosocial Therapy, 3: 104-114.) 

  28. Williams, Kathryn B. and John E. Williams. 1980. "The Assessment of Transactional Analysis Ego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4(2): 120-129. 

  29. Woolls, Blanche. 1999. The School Library Manager. 2nd ed.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