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이용 분석 연구
User Needs and Uses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4 no.2, 2013년, pp.205 - 230  

김성진 (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초록

대학도서관은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도서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모바일 서비스의 양적 증가만이 아닌 질적 성장을 위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경험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적극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개의 대학도서관을 선정하고 재학생 6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도서관 이용빈도 및 목적, 이용/비이용 요인, 접근 경로, 주요 이용 서비스, 서비스 만족도, 불만족요인, 개선사항 등을 조사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서비스 개선과 이용률 제고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ademic libraries are trying to develop fully mobile web 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so that users can access to their services even using mobile devices. As the mobilization trends of library services increase in quantity, we need to more focus on what mobile services users want, ultimately for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과 2012년의 만 12-59세 인구의 스마트폰 이용 현황은 어떻게 되는가? 만 12-59세 인구의 스마트폰 이용 현황을 조사한 한국인터넷진흥원(2012a, 49-51)의 보고에 따르면 2011년에 39.2%였던 스마트폰 이용자의 비율이 2012년에는 78.5%로 증가하였다. 연령별로는 20대가 97.
최초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서관 서비스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서관 서비스는 1993년에 ‘지붕없는 도서관(Library Without A Roof)’ 프로젝트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대학, 통신업체, 모바일 기술업체가 협력하여 PDA를 통해 도서관의 검색 및 전자자료 이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Foster 1995).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를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모바일 도서관을 한 학기에 1회 이상 이용한다고 응답한 493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를 조사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유비쿼터스적 특성 때문이었고(36.7%), 그다음으로는 궁금증이 생겼을 때 곧바로 해결가능하게 해주는 즉시성(23.2%)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는 모바일 기기 사용법과 모바일 도서관 이용 방법이 쉽다고 인식하는 등 모바일 기기의 익숙함 때문이었고, 도서관 서비스 자체가 이용을 이끄는 주된 원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구중억. 2011.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 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 45(1): 75-101. 

  2. 김성진. 2012. 대학도서관의 스마트폰 기반 모 바일 서비스 현황 분석 연구. , 23(4): 71-91. 

  3. 김현희, 박종욱. 2011. 대학 환경에서의 모바일 도서관 모형 개발 연구. , 42(2): 299-322. 

  4. 이은희, 이지연. 2011.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28(3): 377-392. 

  5. 이정미. 2012.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 23(1): 179-194. 

  6.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a. . [online]. [cited 2013.4.10]. . 

  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b. . [online]. [cited 2013.4.10]. . 

  8. Bridges, Laurie, Hannah Gascho Rempel, and Kimberly Griggs. 2010. "Making the case for a mobile library Web site." Reference Services Review, 38(2): 309-320. 

  9. Cummings, Joel, Alex Merrill, and Steve Borrelli. 2010. "The use of handheld mobile devices: their impact and implications for library services." Library Hi Tech, 28(1): 22-40. 

  10. Dresselhaus, Angela and Flora Shrode. 2012. "Mobile technologies & academics: Do students use mobile technologies in their academic lives and are librarians ready to meet this challen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1(2): 82-101. 

  11. Farkas, Meredith. 2010. ""A library in your pocket: building a web presence for mobile users." American Libraries, 41 (6/7): 38. 

  12. Foster, Clifton Dale, 1995. "PDAs and the Library Without a Roof." Journal of Computing in Higher Education, 7(1): 85-93. 

  13. Holt, Ronda and Mary Walker. 2011. "Going mobile: The In's and Out's of an academic library mobile site."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Proceedings, 1: 41-47. 

  14. Johnson, L. R. Smith, H. Willis, A. Levine, and K. Haywood. 2011. The 2011 Horizon Report. Austin, Texas: The New Media Consortium. 

  15. Kamvar, Maryam and Shumeet Baluja. 2006. "A large scale study of wireless search behavior: Google mobile search." Proceedings of ACM CHI 2006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701-709. 

  16. Karim, Nor Shahriza Abdul, Siti Hawa Darus, and Ramlah Hussin. 2006. "Mobile phone applications in academic library services: a students' feedback survey." Campus-Wide Information Systems, 23(1): 35-51. 

  17. Kitty, Pope, Tom peters, Lori Bell, and Skip Burhans. 2010. "Twenty-first century library must-haves." Searcher, 18(3): 44-47. 

  18. Klatt, Carolyn. 2011. "Going mobile: free and easy." Medic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30(1): 56-73. 

  19. Seeholzer, J. and Joseph A. Salem. 2011. "Library on the go: A focus group study of the Mobile Web and the academic librar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2(1): 9-20. 

  20. Thomas, Lisa Carlucci. 2010. "Gone mobile?" Library Journal, 135(17): 30-34. 

  21. Wilson, Sally and Graham McCarthy. 2010. "The mobile university: from the library to the campus." Reference Services Review, 38(2): 214-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