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감초추출물의 0.2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에 대하여 12주 동안 온도별 저장조건($4^{\circ}C$, $25^{\circ}C$, $37^{\circ}C$, $45^{\circ}C$)과 태양광선(2013년 3 평균온도 : $5.10^{\circ}C$, 4 ~ 5월 평균온도 : $14.10^{\circ}C$) 노출조건하에서 2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 변화와 1주 간격으로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온도별 저장 조건에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 크림의 pH 변화는 0.44로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 크림(0.66)보다 pH 변화 값이 작았다. 태양광선하에서는 pH 변화는 대조군과 시료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온도별 저장조건에서 대조 크림의 점도는 평균 2,483 cPs 감소하였고 시료 크림은 평균 2,893 cPs 감소하였다. 시료 크림이 대조크림보다 평균 410 cP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초출물이 크림 점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감초 추출물 에탄올 용액의 태양광선하에서 276 nm에서의 흡광도는 30.00% 감소하였다. 반면에 감초추출물 함유 크림의 경우는 동일 조건에서 흡광도가 12.02% 감소하였다. 감초추출물이 크림 속에서 비교적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에서 대조 크림에서는 색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시료 크림은 색차가 조금 증가하였으나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한국산 감초 추출물 함유 크림 제형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제품에 응용 시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화장품에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a cream contain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50% ethanol extracts from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cultured in Korea was investigated. pH, absorbance, viscosity and color difference of th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aforementi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감초 추출물을 화장품에 이용할 목적으로 온도별 저장조건(4 ℃, 25 ℃, 37 ℃, 45 ℃)과 태양광선(2013년 3월 ∼ 5월, 3월 평균온도 : 5.10 ℃, 4 ∼ 5월 평균온도 : 14.10 ℃) 노출조건에서 감초 추출물의 분획물 함유 크림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10 ℃) 노출조건에서 감초 추출물의 분획물 함유 크림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 pH, 점도, 흡광도 및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국산 감초 추출물이 화장품 제형 상에서 안정한지와 제품화가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초란 무엇인가? 최근 합성된 일부 화장품 원료에 대한 유해성이 언급되면서 천연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1]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사용되는 천연 소재들의 항노화 및 항산화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2-5].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감초(Licorice)는 콩과(Legumiosae) 식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항산화, 항균 활성 및 항염증 작용 등 다양한 약리학적 특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이다[6,7]. 하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감초의 대부분은 수입산이며 현재 국내산 감초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 예는 거의 없으며 국내산 감초의 대부분은 식품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8].
국내산 감초는 대부분 어디에서 이용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감초(Licorice)는 콩과(Legumiosae) 식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항산화, 항균 활성 및 항염증 작용 등 다양한 약리학적 특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이다[6,7]. 하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감초의 대부분은 수입산이며 현재 국내산 감초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 예는 거의 없으며 국내산 감초의 대부분은 식품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8]. 본 연구에 앞서 저자들은 한국산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세포보호 효과를 중국산 감초와 우즈베키스탄 감초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이미 보고한 바 있다[9].
감초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태양광선에 4주 동안 노출시킨 결과 흡광도는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태양광선 조사 전/후의 용액을 UV-Vis 분광광도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Figure 3). 최대 흡수파장인 276 nm에서 흡광도는 태양광선 노출 전 0.90에서 태양광선 노출 4주 후 0.63으로 흡광도가 약 30.00% 가량 감소하였다. 크림보다 에탄올에 용해된 감초 추출물은 직접적으로 태양광선을 흡수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감초 추출물 성분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파괴됨으로써 흡광도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 Y. Lee and S. S. Kim, The effects of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 by LOHAS class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J.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3), 111 (2012). 

  2. H. J. Yang, E. H. Kim, S. T. Kang, and S. N. Park,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stability of the extract-containing crea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2), 170 (2009). 

  3. M. G. Kosmadaki and B. A. Gilchrest, The role of telomeres in skin aging/photoaging, J. Micron., 35(3), 155 (2004). 

  4. S. Pillai, C. Oresajo, and J. Hayward, Ultraviolet radication and skin aging: rol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flammation and protease activation,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inflammation-induced matrix degradation-a review, Int. J. Cosmet, Science, 27(1), 17 (2005). 

  5. W. C. Liao, Y. H. Lin, T. M. Chang, and W. Y. Huang, Identification of two licorice species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based on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ir bioactive components, Food Chemistry, 132, 2188 (2012). 

  6. T. S. Yoon, M. S. Cheon, S. J. Kim, A. Y. Lee, B. C. Moon, J. M. Chun, B. K. Choo, and H. K. Kim, Evaluation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1), 28 (2010). 

  7. E. Y. Ahn, D. H. Shin, N. I. Back, and J. A. O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Korea J, Food Sci. Technol., 30(3), 680 (1998). 

  8. J. H. Park, Q. Wu, K. H. Yoo, H. I. Yong, S. M. Cho, I. S. Chung, and N. I. Back, Cytotoxic effect of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human cancer cell lines, J. Appl. Biol. Chem., 54(1), 67 (2011). 

  9. S. B. Han, H. A. Gu, S. J. Kim, H. J. Kim, S. S. Kwon. H. S. Kim, S. H. Jeon, J. P. Hwang, and S. N. Park,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by country of origi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1), (2013). 

  10. A. R. Kim, J. E.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hellinus liteu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4), 309 (2011). 

  11. H. J. Lee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 and active component analysis of Quercus salicina blume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2), 143 (2011). 

  12. J. Y.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 fractions and application on cosmetic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4), 259 (2008). 

  13. D. H. Won, S. B. Han, J. P. Hwang, S. J. Kim, J. N. Park,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4), 297 (2012). 

  14. S. M. Jeon, J. Y. Ahn, and S. N. Park, A study on the stability test for the cream containing Suaeda asparagoides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4), 23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