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노인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on Medical Expenditures for the Elderl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3 no.2, 2013년, pp.132 - 144  

한남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정우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노을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  임승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박종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cal expense change and influencing factors after introducing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study period was 2 year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system.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two divided group lived in In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조군 전후 비교 실험설계(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연구로,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후 각 1년간 장기요양급여 이용자의 노인진료비 변화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인천광역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한 이유는 전국에서 노인인구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장기요양급여를 이용한 1-3등급자의 비율이 전국 평균에 근접하며, 지역적 특성상 도시와 농촌이 상존하고 있어, 장기요양급여 이용자 및 대조군 선정에 합리적이고 연구결과의 일반화 및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의 장점은 국내외에서 처음으로 장기요양급여 이용집단과 이용하지 않은 대조군을 선정하여 양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따른 노인진료비 지출의 변화를 좀 더 정확하게 분석했다는 점이다. 일본 Tetsuro [12], Bae 등[11], Jhun[13]의 연구는 대조군을 선정하지 않고 진료비 변화를 단순 비교하였는데, 대조군이 없을 경우 제도 시행 전후의 진료비 차이가 주변 환경요인에 의한 것인지, 정책 도입의 순 효과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가 없다.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노인 진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제도 도입 전후 노인 진료비 지출 변화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전체 노인 중 2008년 7월 1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장기요양급여를 1년간 연속적으로 이용한 65세 이상 노인인 장기요양급여 이용군 485명, 급여이용군의 성별과 연령을 4배수 짝짓기한 대조군 1,940명이다.
  •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진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진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혼란변수를 통제하고 대조군을 설정하여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요양급여를 이용한 노인과 이용하지 않은 일반 노인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1인당 평균 총 노인진료비, 진료형태별 노인진료비 지출 변화를 이중차이추정기법(difference-in-difference)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고, 제도 도입 전후 노인진료비의 지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제도와의 재정적 영향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각 제도가 발전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 고령화의 여파가 끼치는 영향은? 1세로 지속적인 저출산과 평균 수명의 연장 등으로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2]. 인구 고령화의 여파는 핵가족화와 여성의 취업 증가, 부양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가족의 간병기능 약화 등 사회 전반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 동시에, 만성질환으로 질병구조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고있다. 노인들은 질병이 발병하면 근본적인 치유가 곤란하거나 비가역적인 장애를 초래해 의료와 요양서비스가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가 많고[3], 노인의료비 지출과 부양부담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어[4], 결국 의료비 규모와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급증을 초래하고 있다[5].
우리나라 평균 수명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15명[1], 평균 수명은 80.1세로 지속적인 저출산과 평균 수명의 연장 등으로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2]. 인구 고령화의 여파는 핵가족화와 여성의 취업 증가, 부양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가족의 간병기능 약화 등 사회 전반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 동시에, 만성질환으로 질병구조의 변화를 가속화시키고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은 무엇인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노인진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장기요양서비스가 의료수요 대체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건강보험 및 의료보험 급여비를 점차 감소시킬 것이라는 의견과 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접근성 향상 등의 원인으로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상반된 시각이 공존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tatistics Korea. Social survey in Korean of 2009. Daejeon: Statistics Korea; 2010. 

  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yearbook of the recent changes in population. Daejeon: Statistics Korea; 2009. 

  3. Park JY, Kang IO, Kim KH, Seo SL, Shin JY. Policy alternatives of healthcare systems for the elderly in Korea.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5. 

  4. Lee YH. A political problem of the long-term care for the aging society.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4. 

  5. Moon HP, Kim DS, Yoon HS, Park CK, Lee SH, Lee SS, et al. Socioeconomic impact of population aging and policy issues.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6. 

  6. Shin HW. Forecasting health expenditure with the application to the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political problem. Health Welf Issue Focus 2009;(3):1-7. 

  7. Chung W. Population aging and health care: stochastic forecasting health expenditure with the application to the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the government budget allocation in demographical change for the aging society.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5. 

  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s yearbook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2010, 2012 

  9. Bae SI, Lee SM, Kim K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inance depending on the changes of working-age population.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10. Lee KJ.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Goyang: Knowledge Community; 2007. 

  11. Bae SI, Lee SM, Kim KH. Impact of implement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on the medical fe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12. Tetsuro C. Variations in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nd the economic issues. Okayama Econ Rev 2007;38(4):21-38. 

  13. Jhun GJ. Changes in medical fee and utilization of servic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health insurance for the elderly: focused on demographic, sociolog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14. Anderson R, Newman JF.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Milbank Mem Fund Q Health Soc 1973;51(1):95-124. 

  15. Moffitt R. Program evaluation with nonexperimental data. Eval Rev 1991;15(3):291-314. 

  16. Lach S.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 R&D?: evidence from Israel. J Ind Econ 2002;50(4):369-390. 

  17. Kim SS. The effects of government R&D subsidies on private R&D investment, determinants of low fertility among Korean women: the case of Korean industry after 2000[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8.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ajor statistic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the first half of 2010.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19. Park JY, Lee YH, Kwon JH, Lee EM, Lee HY, Kim YH.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are model for the long-term care and medical servi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20. Choi ID, Park JY, Lee EM.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delivery system for the connection of medical service and long-term car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