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초제 내성 형질전환 벼와 잡초성 벼의 표현형질 비교
Phenotype Comparison between Herbicide Tolerant Transgenic Rice and Weedy Rice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2 no.1, 2013년, pp.15 - 22  

고은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안주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남기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남경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  박기웅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백경환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김창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초제 내성 형질전환 벼와 모본(동진벼) 및 잡초성 벼 두 계통(화성앵미 1과 광양앵미 12)의 표현형질을 비교하였다. 형질전환 벼와 모본의 질적형질은 모두 유사하였지만, 까락의 유무, 지엽 자세 및 종실 색은 형질전환 벼와 잡초성 벼 사이에 큰 차이가 있었다. 양적형질 중에서 초장, 분얼 수 및 지상부 건물중은 형질전환 벼나 모본에 비해 잡초성 벼에서 유의하게 우세했다. 형질전환 벼 및 모본의 주당 종실중과 천립중은 잡초성 벼에 비해 유의하게 무거웠다. 형질전환 벼는 모본 및 잡초성 벼에 비해 탈립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형질전환 벼의 배유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잡초성 벼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같은 형질전환 벼와 잡초성 벼 표현형질의 비교 연구는 형질전환 벼의 잡초화 가능성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enotypic traits of herbicide-tolerant transgenic ric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ild type (Dongjin) as well as two accessions (Hwaseong-aengmi 1 and Gwangyang-aengmi 12) of weedy ri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unintentional alterations in phenotypic characteristics o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를 재료로 하여 모본인 동진벼와 잡초성 벼 두 계통과의 표현형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PPO 유전자가 도입된 벼에서 모본보다 잡초성 벼와 더 가까운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PPO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 벼의 잡초화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PO (protoporphyrinogen oxidase) 유전자를 도입하여 PPO 저해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개발된 형질전환 벼(Lee et al., 2007)를 재료로 하여 모본인 동진벼와 잡초성 벼 두 계통과의 표현형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PPO 유전자가 도입된 벼에서 모본보다 잡초성 벼와 더 가까운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PPO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 벼의 잡초화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질전환 작물의 잡초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무엇을 검토해야 하는가? 형질전환 작물의 잡초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생활사, 경합력, 분산능, 종자의 휴면과 지속성 등 다양한 속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Crawley, 1990). 형질전환 유채와 모본의 경합력을 비교한 연구(Fredshavn et al.
형질전환 작물 개발에 대한 시선은 어떠한가? 식물생명공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제초제 내성, 해충저항성, 환경스트레스 내성 등 다양한 형질을 갖는 형질전환 작물의 개발 및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형질전환 작물 개발은 부족한 식량 생산에 대응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형질전환 작물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우려 역시 계속되고 있다(Snow et al., 2005; Tiedje et al.
형질전환 작물의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예시는 무엇이 있는가? , 1989). 그 중 하나는 형질전환 작물이 유해잡초가 되어 농업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자연생태계에 침입할 가능성이다(Keeler, 1989; Parker and Kareiva, 1996). 따라서 형질전환 작물을 재배하기 이전에 잡초화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Purrington and Bergelson,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usconi, M., Rossi, D., Lorenzoni, C., Baldi, G. and Fogher, C. 2012. Spread of herbicide-resistant weedy rice (red rice, Oryza sativa L.) after 5 years of Clearfield rice cultivation in Italy. Plant Biol. 14:751-759. 

  2. Crawley, M.J. 1990. The ecology of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Assessing the environmental risks, pp. 133-150, In: Mooney, H.A. and Bernardi, G. (Eds.). Introdu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nto the Environment. John Wiley & Sons, Inc., Chichester, UK. 

  3. Crawley, M.J., Hails, R.S., Rees, M., Kohn, D. and Buxton, J. 1993. Ecology of transgenic oilseed rape in natural habitats. Nature 363:620-623. 

  4. Delouche, J.C., Burgos, N.R., Gealy, D.R., de San Martn, G.Z., Labrada, R. et al. 2007. Weedy Rices- Origin, Biology, Ecology and Control. FAO Plant Production and Protection Paper 188. FAO, Rome, Italy. 

  5. Eastick, R.J. and Hearnden, M.N. 2006. Potential for weediness of Bt cotton in northern Australia. Weed Sci. 54:1142-1151. 

  6. Ellstrand, N.C., Heredia, S.M., Leak-Garcia, J.A., Heraty, J.M., Burger, J.C. et al. 2010. Crops gone wild: evolution of weeds and invasives from domesticated ancestors. Evol. Appl. 3:494- 504. 

  7. Fredshavn, J.R., Poulsen, G.S., Huybrechts, I. and Rudelsheim, P. 1995. Competitiveness of transgenic oilseed rape. Transgenic Res. 4:142-148. 

  8. Gealy, D.R. and Bryant, R.J. 2009. Se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eld-grown US weedy red rice (Oryza sativa) biotypes: Contrasts with commercial cultivars. J. Cereal Sci. 49:239-245. 

  9. Godfree, R.C., Woods, M.J., Young, A.G., Burdon, J.J. and Higgins, T.J.V. 2004. Growth, fecundity and competitive ability of transgenic Trifolium subterraneum subsp. subterraneum cv. Leura expressing a sunflower seed albumin gene. Hereditas 140:229-244. 

  10. Hails, R.S., Rees, M., Kohn, D.D. and Crawley, M.J. 1997. Burial and seed survival in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and Sinapis arvensis including a comparison of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lines of the crop. Proc. R. Soc. Lond. B 264:1-7. 

  11. Heu, M.H., Cho, Y.C. and Suh, H.S. 1990. Cross affinity of Korean weedy rice to th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35:233- 238. (In Korean) 

  12. Ji, H.S., Chu, S.H., Jiang, W., Cho, Y.I., Hahn, J.H. et al. 2006. Characterization and mapping of a shattering mutant in rice that corresponds to a block of domestication genes. Genetics 173:995-1005. 

  13. Keeler, K.H. 1989. Can genetically engineered corps become weeds? Bio/Technology 7:1134-1139. 

  14. Kim, C.G., Kim D.Y., Moon, Y.S., Kim, H.J., Kim, D.I. et al. 2010. Persistence of genetically modified potatoes in the field. J. Plant Biol. 53:395-399. 

  15. Kim, K.U., Lee, J.H., Lee, I.J., Shin, D.H. and Kim, S.U. 2004. Hybridization of LM (Living Modified) rice with weedy rices. Kor. J. Weed Sci. 24:51-55. (In Korean) 

  16. Kuk, Y.I., Guh, J.O. and Chon, S.U. 1997. Difference of classification, growth and herbicidal tolerance in collected weedy rice (Oryza sativa). Kor. J. Weed Sci. 17:31-43. (In Korean) 

  17. Lee, K., Yang, K., Kang, K., Kang, S., Lee, N. and Back, K. 2007. Use of Myxococcus xanthus protoporphyrinogen oxidase as a selectable marker for transformation of rice. Pestic. Biochem. Physiol. 88:31-35. 

  18. National Seed Management Office. 2005. Test Guidelines of Rice (Oryza sativa L.) for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of New Varieties. Anyang, Korea. (In Korean) 

  19. Oard, J., Cohn, M.A., Linscombe, S., Gealy, D. and Gravois, K. 2000. Field evaluation of seed production, shattering, and dormancy in hybrid populations of transgenic rice (Oryza sativa) and the weed, red rice (Oryza sativa). Plant Sci. 157:13- 22. 

  20. Park, J.S., Cho, Y.C., Han, S.W., Ju, Y.C., Park, K.Y. and Rho, Y.D. 1999. Characteristics of weedy rices on paddy field in Kyonggi area. Kor. J. Weed Sci. 19:299-306. (In Korean) 

  21. Parker, I.M. and Kareiva, P. 1996. Assessing the risks of invasion for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Acceptable evidence and reasonable doubt. Biol. Conserv. 78:193-203. 

  22. Purrington, C.B. and Bergelson, J. 1995. Assessing weediness of transgenic crops: Industry plays plant ecologist. Trends Ecol. Evol. 10:340-342. 

  23. Ramachandran, S., Buntin, G.D., All, J.N., Raymer, P.L. and Stewart Jr., C.N. 2000. Intraspecific competition of an insectresistant transgenic canola in seed mixtures. Agron. J. 92:368- 374. 

  24. RDA. 2003. Standard for Research, Survey and Analysis of Agricultural Science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In Korean) 

  25. Rogers, D.J., Reid, R.E., Rogers, J.J. and Addison, S.J. 2007. Prediction of the naturalisation potential and weediness risk of transgenic cotton in Australia. Agr. Ecosyst. Environ. 119:177- 189. 

  26. Snow, A.A., Andow, D.A., Gepts, P., Hallerman, E.M., Power, A., Tiedje, M.J., et al. 2005.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Current status and recommendations. Ecol. Appl. 15:377-404. 

  27. Song, X., Wang, Z. and Qiang, S. 2011. Agronomic performance of F1, F2 and F3 hybrids between weedy rice and transgenic glufosinate-resistant rice. Pest Manag. Sci. 67:921-931. 

  28. Suh, H.S. 2003. Characterization of Weedy Rice Germplasm. Yeongnam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 

  29. Suh, H.S., Park, S.Z. and Heu, M.H. 1992a.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red rices. I. Regional distribution and seed characteristics. Korean J. Crop Sci. 37:425-430. (In Korean) 

  30. Suh, H.S., Ha, W.G. and Song, Y.C. 1992b.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red rices. II. Yield component, culm and panicle length. Korean J. Crop Sci. 37:431-435. (In Korean) 

  31. Suh, H.S. and Ha, W.G. 1993.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red rices. V.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water and soil depth. Korean J. Crop Sci. 38:128-133. (In Korean) 

  32. Tiedje, J.M., Colwell, R.K., Grossman, Y.L., Hodson, R.E., Lenski, R.E., Mack, R.N., et al. 1989. The planned introduc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Ecological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Ecology 70:298-315. 

  33. Xia, H.B., Xia, H., Ellstrand, N.C., Yang, C. and Lu, B.R. 2011. Rapid evolutionary divergence and ecotypic diversification of germination behavior in weedy rice populations. New Phytol. 191:1119-11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