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신도시의 열쾌적성 평가
An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of New Tow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1 no.2, 2013년, pp.55 - 71  

오규식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Hanyang University) ,  이민복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Hanyang University) ,  이동우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간의 생리학적요소를 고려한 PET(Physiologically Equivalent Temperature)를 산정하여 수도권 신도시(분당, 일산, 동탄1)의 열쾌적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열쾌적성과 관련된 도시공간요소들을 선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PET와 도시공간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 신도시 중 계획단계에서 열섬 저감효과를 고려한 2기 신도시인 동탄1이 1기 신도시인 분당, 일산에 비해 열쾌적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투수면적률, 용적률, 상업면적률, 주거면적률 등이 PET를 상승시키는 주요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하천면적률, 식생활력도(NDV) 등이 PET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 분석기법, 바람길 모델 등과 같은 GIS 공간분석기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도시전체 공간을 대상으로 PET를 산정함으로써 열쾌적성을 과학적이고도 구체적으로 평가한 선험적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PET와 도시공간요소와의 관계분석 결과는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도시민의 열쾌적성을 제고할 수 있는 계획안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the thermal comfort of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lsan, Bundang, Dongtan1) using PET (Physiologically Equivalent Temperature) which refers to real human heat st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ET and urban spatial elements was also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ET는 열쾌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 평가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나 분석기법의 부재, 방대한 구축자료의 어려움으로 실내 공간 또는 국지적 외부 공간을 대상으로 주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신도시를 대상으로 PET를 분석하여 도시 외부공간 전체에 대한 열쾌적성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도시공간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PET를 적용한 도시 열쾌적성 평가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수도권 신도시를 대상으로 PET를 산정하여 지점별 열쾌적성을 평가한다. 다음으로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수행된 열환경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시공간요소를 독립변수로 도출하고 PET와 상관분석을 실시한다.
  • 첫째, 본 연구는 도시전체 공간을 대상으로 PET를 평가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그간 PET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국지적 공간에 초점이 맞추어져 주변 환경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으며 결과의 해석 또한 미시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T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최근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한 PET 관련 연구들의 실정은 어떠한가? 그러나 PET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가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개방도와 PET와의 관계분석을 실시한 연구[22, 35]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시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시도되지 못하고 있으며 PET와 도시공간요소와의 관계도 명확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전체 공간을 대상으로 PET개념과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도시민이 실제로 느끼는 체감온도를 고려한 열쾌적성 평가방법을 마련하고, 평가결과와 도시공간요소와의 회귀분석을 통해 도시공간요소와 PET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를 수도권 1기 신도시(분당, 일산)와 2기 신도시(동탄1)으로 선정한 이유는? 연구 대상지는 수도권 1기 신도시(분당, 일산)와 2기 신도시(동탄1)로 선정하였다. 신도시를 대상지로 선정한 이유는 기성시가지와 달리 비교적 동일한 시기에 도시가 조성되고 계획단계에서부터 열환경과 관련된 계획요소(자연·인공적 요소)를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2005년 제정, 2010년 개정)에 의해 1기 신도시에 비해 환경적 계획요소가 고려된 2기 신도시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열쾌적성 개선여부를 PET 통해 비교하였다.
PET의 장점은 무엇인가? 한편, 인간이 실제로 느끼는 쾌적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Hőppe [37, 1996]는 생리적 등가 온도(Physiologically Equivalent Temperature, 이하 PET)개념을 제시했다. PET는 기후요소가 변화함에 따라 인간이 실제로 느끼는 열적 스트레스를 온도단위(℃)로 나타내어 열쾌적성을 정량적이고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PET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가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Bosselmann, P; Arens, E. 1991, Sun, Wind, and Pedestrian Comfort-A Study of Toronto's Central area, Center for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2. Bouyer, J; Vinet, J; Delpech, P; Carre, S. 2007, Thermal Comfort Assessment in Semi-outdoor Environments: Application to Comfort Study in Stadia,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95(9-11):963-976. 

  3. Cao, X; Onishi, A; Chen, J; Imura, H. 2010, Quantifying the Cool Island Intensity of Urban Parks using ASTER and IKONOS Dat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6(4):224-231. 

  4. Chang, C, R; Li, M. H; Chang, S. D. 2007, A Preliminary Study on the Local Cool-island Intensity of Taipei City Pa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0(4):386-395. 

  5. Chun, M. Y; Lee, S. J; Kim, J. Y; Lee, S. B; Kim, T. Y. 2010, Evaluation of the Thermal Environment and Comfort in Apartment Complex using Unsteady-state CFD S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4):67-73. 

  6. Chun, B. S; Kim, H. Y. 2010,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Information from 3-Dimensional City Model,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8(4):1-11. 

  7. Chun, B. S; Guldmann, J. M. 2012, Spatial Analysis of the Urban Heat Island Using a 3-D City Model",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24(4):1-16. 

  8. Development-Technical Manual 2007 Edition, http://www.ibec.or.jp 

  9. Ellefsen, R; Cionco, R. M. 1998, High Resolution Urban Morphology Data for Urban Wind Flow Modeling, Atmospheric Environment, 32(1): 7-17. 

  10. Emmanuel, R. 1997, Urban Vegetational Change as an Indicator of Demographic Trends in Cities: The Case of Detroit, Environment & Planning B, 24:415-426. 

  11. Fanger, P. O. 1970, Thermal Comfort: Analysis and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McGraw-Hill. 

  12. Gallo, K. P; Eastering, D. R; Peterson, T. C. 1996, The Influence of Land Use/Land Cover on Climatological Values of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Journal of Climate, 9:2941-2944. 

  13. Givoni, B. 1991, Impact of Planted Areas on Urban Environmental Quality, Atmosphere Environment, 25(3):289-299. 

  14. Ha, S. K; Kim, J. I. 1997,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 Policy Themes and Indicator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2(5):155-168. 

  15. Ha, S. K; Kim, J. I. 2000, Urban Management Theory, Publisher of Hyungseol. 

  16. Honjo, T. 2009, Thermal Comfort in Outdoor Environment, Global Environment Research, 13(1):43-47. 

  17. Hong, Y. S. 2007, Bury these Dreams in the Real Estate, Publisher of the Era of the Window. 

  18. Hoppe, P. 1999, The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A Universal Index for the Biometeorological Assessment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Biometeorology, 43:71-75. 

  19. Hoppe, P. 2002, Different Aspects of Assessing Indoor and Outdoor Thermal Comfort, Energy and Building, 34(2):661-665. 

  20. Hwang, Y. J; Lee, J. K; Jeong, Y. M; Koo, K. M; Lee, D. H; Kim, I. K; Jin, S. W; Kim, S. H. 2009, Cooling Performance of a Vertical Ground-coupled Heat Pump System Installed in a School Building, Renewable Energy, 34(3):578-582. 

  21. Jendritzky, G; Maarouf, A; Fiala, D; Staiger, H. 2002, An Update on the Development of a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15th Conference on Biometeorology/Aerobiology and 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Biometeorology. 

  22. KATS, 2010,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Analytical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rmal Comfort using Calcul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Local Thermal Comfort Criteria, KS A ISO 7730, Korean Standards Information Center. 

  23. Kim, J. W; Lee, D. K; Oh, K. S; Seong, H. C. 2003, A Funda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parian Veget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 Focused on Cheonggaecheon Stream Restor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6(3): 79-86. 

  24. Kim, S. B; Um, H. H; Kwon, B. H; Oh, S. N; Kim, Y. H. 2004, Examination of Heat Budget Model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Evaluat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0(2):147-158. 

  25. Kim, J. S. 2005, Environmental Engineering in Architecture, Publisher of SeoWoo. 

  26. Kim, S. Y; Kim, H. B.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the Comparison with BREEAM and LEED,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12):271-278. 

  27. Kim, K. J; Yeo, I. A; Yoon, S. H. 201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Greening Type,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6):229-236. 

  28. Latini, G; Grifoni, R. C; Tascini, S. 2010, Thermal Comfort and Microclimates in Open Spaces, ASHRAE. 

  29. Lane, R. E. 1994,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persons: A New Role for Well-being Measure, Political Theory, 22(2):219-252. 

  30. Lee, W. S; Jeong, S. K; Park, K. H; Kim, K. T.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IS, 13(1):142-154. 

  31. Lee, J. A; Jeong, D. Y; Jeon, J. H; Lee, S. M; Song, Y. B. 2010,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12-20. 

  32. Lim, H. S. 1996, A Conceptual Discussion of a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5(1):5-18. 

  33. Matzarakis, A; Mayer, H; Iziomon, M. 1999, Applications of a Universal Thermal Index: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3(2):76-84. 

  34. Matzarakis, A; Mayer, H. 2000, Atmospheric Conditions and Human Thermal Comfort in Urban Areas, 11th Seminar on Environment Protection; Environment and Health, 155-166. 

  35. Matzarakis, A; Rutz, F; Mayer, H. 2007, Modelling Radiation Fluxes in Simple and Complex Environments: Application of the RayMa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1(4):323-334. 

  36. Matzarakis, A; Amelung, B. 2008,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as Indicator for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rmal Comfort of Humans, Climatic Change and Human Health, 161-172. 

  37. Mayer, H. 1993, Urban Bioclimatology, Experientia 49; Birkhauser Verlag, Switzerland, 957-963. 

  38. Memon, R. A; Leung, D. Y. C; Liu, C. H. 2008, A Review on the Generation, Determination and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0(1):120-128. 

  39. Milne, M; Givoni, B. 1985, Energy Conservation through Building Design, Chap 6: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Climate, McGraw-Hill 

  40. Oh, K. S; Hong, J.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Th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1):47-63. 

  41. Olesen, B .W; Parsons, K. C. 2002, Introduction to Thermal Comfort standards and to the Proposed New Version of EN ISO 7730, Energy and Building, 34(6):537-548. 

  42. Olgay, V. 1963, Design with Climate: Bioclimatic Approach to Architectural Region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Saaroni, H.; Ben-Dor, E; Bitan, A; Potchter, O. 2000, Spatial Distribution and Microscal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eat Island in Tel-Aviv, Israe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8(1-2):1-18. 

  44. Sagong, H. S. 2003, An Empirical Study on Analysis Method of Impervious Surface Using IKONOS Imag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1(4):509-518. 

  45. Shashua-Bar, L; Hoffman, M. E. 2000, Vegetation as a Climatic Component in the Design of an Urban Street: An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Cooling Effect of Urban Green Areas with Trees, Energy and Buildings, 31(3):221-235. 

  46. Song, Y. B. 2002, Influence of New Town Development on the Urban Heat Islands: in the case of Pan-Gyo Area and Bun-Dang New Tow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4):37-46. 

  47. Song, S. Y.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ssive Climatic Design Tool Using Building Bioclimatic Chart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4(3):153-160. 

  48. Song, B. K; Park, K. H. 2010,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 Ecological Function: A Case Study of Changwon, Sou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14-127. 

  49. Song, D. S; Lim, J. Y. 2009, A Study of Thermal Comfort Assessment Index on Outdoo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Green Building Council, 10(4):26-32. 

  50. Taha, H. 2008, Meso-urban Meteorological and Photo Chemical Modeling of Heat Island Mitig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42(38): 8795-8809. 

  51. Voogt, J. A; Oke, T. R. 2003, Thermal Remote Sensing of Urban Climat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3):370-384. 

  52. Watson, D; Labs, K. 1983, Climatic Design: Energy Efficient Building Principles and Practices, McGraw-Hill. 

  53. Yoon, M. H; Ahn, D. M. 2009, An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o Visualize the Effects of Urban Green Areas on Temperature,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46-53. 

  54. Yoon, Y. H; Ju, C. H; Kim, J. H. 2011,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Comport by Land-use using Bioclimatic Chart, Th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3(3):39-58. 

  55. Yu, C; Hien, W. N. 2006, Thermal Benefit of City Parks, Energy and Buildings, 38(2): 105-120. 

  56. www.goyang.go.kr/3gu/w_gu 

  57. www.goyang.go.kr/3gu/s_gu 

  58. www.bundang-gu.or.kr 

  59. http://www.hscity.net 

  60. www.nso.go.kr 

  61. www.lh.or.kr 

  62. USGS, http://pubs.er.usgs.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