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남지역의 토지피복에 따른 열쾌적성평가도 구축
Development of Thermal Comfort Evaluation Map by the Land Cover in Yeongnam Reg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2, 2014년, pp.136 - 155  

강동현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최철현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기상자료와 공간분석기법을 통해 영남지역의 열쾌적성평가도를 구축하여 우선적인 열환경 개선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는 지역을 도출하였으며, 토지피복 현황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지역적 범위의 도시 녹지계획 수립에 활용하여 쾌적한 야외활동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상청의 RCP시나리오자료와 GIS공간분석기법을 통해 열쾌적성 지수인 PET를 산출한 결과, 대구광역시(33.65)가 여름철 열적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봉화군(28.44)은 PET값이 낮게 나타나 타 지역에 비해 여름철 열적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영남지역을 광역시, 대도시, 도 농촌형, 농촌형으로 구분하여 산출된 PET값을 비교해 본 결과, 창녕군, 함안군, 고령군 등은 농촌형 지역임에 불구하고 PET값이 높게 나타났는데, 타 농촌지역에 비해 녹지면적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산출된 PET값에 따라 군집분석을 통해 영남지역을 분류한 결과 열쾌적성이 높은 등급일수록 시설지역 면적율은 낮고, 녹지지역 면적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구축된 열쾌적성 평가도는 영남지역의 열쾌적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 가능한 도시계획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rmal comfort in Yeongnam area using climatic data and GIS data in order to determine regions necessary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policies. The results of the calculated PET show that Daegu city is high and Bonghwa-gun is low compared to other reg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상자료와 GIS 를 이용한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기후정보를 공간화하였고, 구축된 기상자료를 통해 영남지역을 대상으로 열쾌적성 지수인 PET를 산출 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산출된 PET값에 따라 영남지역을 등급화하여 열쾌적성평가도를 구축하고 상대적인 지역별 비교를 통해 여름철 열환경 개선 계획수립 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유형에 따라 토지피복면적을 산출하여 비교함으로써 폭염에 적응 가능한 도시 및 녹지계획 수립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지구 온난화의 가속화로 인해 여름철 이상고온 및 폭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명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상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에 대비 하기 위해 다양한 기후요소가 고려된 여름철 열쾌적성을 지역별로 평가하여 어느 지역에 더 우선적인 열환경 개선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는지 제언하였다. 또한 지역을 구성하는 토지피복 현황과 산출된 PET 지수간의 비교를 통해 토지이용 계획 및 관리가 지역민들이 느끼는 열쾌적 정도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쾌적성 평가지표인 PET의 특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산출하는가? 열쾌적성 평가지표인 PET는 열쾌적성 지수중 다양한 환경적·개인적인 요소를 고려하고 온도단위로 나타내어 이해가 용이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기온, 평균복사온도 등과 같은 열환경 인자와 활동지수, 의복지수 등을 활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ASHRAE, 1989; Lim et al, 2013). 그러나 기상청에서는 복사온도를 시간단위로 제공하지 않으며, 국지적 규모의 열쾌적성 평가에 있어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실측하는 것은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ISO 7726(1985)에서 제시하고 있는 아래의 식 (2)을 활용하여 복사온도를 산출하였다(Forsthoff and Neffgen, 1999).
열 쾌적성 산정에 필요한 기상자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열 쾌적성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점의 기온, 풍속, 습도, 복사온도 등과 같은 방대한 기상자료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 기상청은 한반도 지상 기상관측을 위해 유인기상관측소와 자동기상관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관측망을 모두 고려할 경우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기상청은 한반도 지상 기상관측을 위해 유인기상관측소와 자동기상관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관측망을 모두 고려할 경우 약 12km의 해상도를 나타내어 면적이 작은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으며(Kim et al., 2012), 지역별 관측망을 나타낸 지점들도 지리적으로 특정지역에 집중되어 있거나 대부분 고도 300m 이하에 분포하고 있어서 국지기후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Baek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SHRAE. 1989. ASHRAE Handbook : Fundamentals-chapter 8 thermal comfort. Atlanta, CA, ASHRAE. 

  2. Baek, G.H., M.G. Lee and B.J. Kang. 2011. Development of spatial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KMA-RCM by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136-149 (백경혜, 이명진, 강병진. 2011. GIS를 활용한 KAM-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36-149). 

  3. Byon, J.Y., J.Y. Kim, B.C. Choi and Y.J. Choi. 2008. Forecast and verification of perceived temperature using a mesoscale model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2007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18(3):237-248 (변재영, 김지영, 최병철, 최영진. 2008. 중규모 수치 모델 자료를 이용한 2007년 여름철 한반도 인지온도 예보와 검증. 한국기상학회지 18(3):237-248). 

  4. Choi, C.H. 2012. Study on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of air pollution removal function of urban forest for accurate estimation of its environmental value. Master Thesis, Univ. of Kyungpook, Daegu, Korea (최철현. 2012. 도시림의 환경가치 추정을 위한 대기정화능 평가방법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Choi, J.K. 2013. A proposal of the thermal comfort index in outdoor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climate. Master Thesis, Univ. of Sungkyunkwan, Seoul, Korea (최종규. 2013. 국내 기후특성을 고려한 외부환경 온열 쾌적성 평가방법의 제안.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Cionco, R.M. and R. Ellefsen. 1998. High resolution urban morphology data for urban wind flow modeling. Atmospheric Environment 32(1):7-17. 

  7. Emmanuel, R. 1997. Urban vegetational change as an indicator of demographic trends in cities: the case of Detroit. Environment and Planning B 24:415-426. 

  8. Eum, J.H. 2012. Review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climate factors in urban plann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1(1):27-48 (엄정희. 2012. 도시계획에서의 기후요소 평가기법에 관한 고찰. 환경정책연구 11(1):27-48). 

  9. Forsthoff, A. and H. Neffgen. 1999. The assessment of heat rad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3(5):407-414. 

  10. Gallo, K.P., D.R. Easterling and T.C. Peterson. 1996. The influence of land use/land cover on climatological values of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Papers in Natural Resources 191. 

  11. Heo, I.H., Y.E. Choi and W.T. Kwon. 2004.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NET(Net Effective Temperature) with a function of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1):13-26 (허인혜, 최영은, 권원태. 2004. 한반도의 날씨 스트레스 지수 NET(Net Effective Temperature) 분포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39(1):13-26). 

  12. Hong, K.O., M.S. Suh, D.K. Rha, D.H. Chang, C.S. Kim and M.K. Kim. 2007.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temperature using GIS and PRISM. Atmosphere 17(3): 255-268 (홍기옥, 서명석, 나득균, 장동호, 김찬수, 김맹기. 2007.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추정. 대기 17(3):255-268). 

  13. Hoppe, P. 1999. The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a universal index for the biometeorological assessment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3(2):71-75. 

  14. Hwang H.S. 2012. An index and evaluation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n urban area. Master Thesis, Univ. of Inha, Incheon, Korea (황혜선. 2012.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개발 및 평가.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ISO, E. 7730. 2005.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Analytical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rmal comfort using calcul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local thermal comfort criteria. 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 Geneva, 147pp. 

  16. Jendritzky, D.M.G. and W. Nubler. 1981. A model analys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physiologically significant terms. Archives for meteorology, geophysics, and bioclimatology, Series B 29(4):313-326. 

  17. Jendritzky, G. 1988. Bioklima. In: Stadtklima und Luftreinhaltung.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411-426. 

  18. Jeon, M.Y., S.J. Lee, J.Y. Kim, S.B. Lee and T.Y. Kim. 2010. Evaluation of the thermal environment and comfort in apartment complex using unsteadystate CFD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4):67-73 (전미영, 이승재, 김지영, 이승복, 김태연. 2010. Unsteady-state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여름철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온열환경 및 쾌적성 평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0(4):67-73). 

  19. Jo, M.H., K.J. Lee and W.S. Kim. 2001.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urban surface temperature using temotely sensed data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1):57 -66 (조명희, 이광재, 김운수. 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57-66). 

  20. Kim, G.Y. 2013.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n transportation sustainability by urban characteristics of Korea. Ph.D. Dissertation, Univ. of Hanyang, Korea (김건영. 2013. 도시유형별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Kim, J.U., D.G. Lee, G.S. Oh and H.C. Seong. 2003. A funda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parian vegetation and surface temperature-Focused on Cheonggaecheon stream restor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6(3):79-85 (김재욱, 이동근, 오규식, 성현찬. 2003. 하천 및 녹지와 온도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 연구: 청계천 복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3):79-85). 

  22. Kim, K.J., I.A. Yeo and S.H. Yoon. 201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reening typ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6):229-236 (김금지, 여인애, 윤성환. 2011. 녹화 유형에 따른 도시열환경 형성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7(6):229-236). 

  23. Kim, M.K., M.S. Han, D.H. Jang, S.G. Baek, W.S. Lee, Y.H. Kim and S. Kim. 2012.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ation grid data of 1km resolu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1):55-68 (김맹기, 한명수, 장동호, 백승균, 이우섭, 김연희, 김성. 2012. 1km 해상도의 관측 격자 자료 생산 기술. 기후연구 7(1):55-68). 

  24. Kim, S.C. 2008. Study for globe temperature characteristic and practical use way in downtown area on summer season. Master Thesis, Univ. of Inje, Korea (김석철. 2008. 하계 도심지에서의 흑구온도 특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How should we use climate change information of region?: Suggestions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polic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기상청. 2011. 지역기후 변화정보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에 대한 제언중심. 기상청). 

  26. Kwon, Y.A. 2002. The influence of urban green areas on ambient air temperature in seoul. Ph.D. Dissertation, Univ. of Konkuk, Seoul, Korea (권영아. 2002. 서울의 도심녹지가 주변기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Lee, D.G., J.Y. Byon, Y.J. Choi and K.R. Kim. 2010a. Relationship between summer heat stress(perceived temperature) and daily excess mortality in Seoul during 1991-2005.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3):253-264 (이대근, 변재영, 최영진, 김규랑. 2010. 인지온도를 이용한 여름철 폭염 스트레스와 일 사망률 증가와의 관련성 연구, 1991-2005, 서울.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6(3):253-264). 

  28. Lee, D.G., Y.J. Choi, K.R. Kim, J.Y. Byon, L.S. Kalkstein and C.S. Scott. 2010b. Development of heat-health warning system based on regional properties between climate and human health. Climate Change Research 1(2):109-120 (이대근, 최영진, 김규랑, 변재영, Laurence S. Kalkstein, Scott C. Sheridan. 2010. 대도시 폭염의 기후-보건학적 특성에 기반한 고온건강경보시스템 개발. 한국기후변화학회 1(2):109-120). 

  29. Lee, E.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thermal comfort-the case study of Seoul. Master Thesis, Univ. of Hanyang, Seoul, Korea (이은주. 2006.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열쾌적성과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Lee, K.H. 2013. An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s vulnerability in urban area by climate change-focused on land use and green space change. Master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이강현. 2013.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지역의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토지이용 및 녹지면적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Lee, S.G., S.G. Jung, W.S. Lee and G.H. Park. 2011. A predictive model for urban temperature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Journal of Korea Plan Association 46(1):129-142 (이슬기, 정성관, 이우성, 박경훈. 2011.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도시기온 예측모형 구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1):129-142). 

  32. Lee, W.S., S.G. Jung, G.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42-15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33. Lim, E.N. 2013. An evaluation of the thermal comfor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the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Master Thesis, Univ. of Kyungpook, Daegu, Korea (임은나. 2013. 도시근린공원의 열쾌적성 평가 및 열환경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Lim, E.N., W.S. Lee, C.H. Choi, B.G. Song and S.G. Jung. 2013. An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on urban neighborhood park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53-170 (임은나, 이우성, 최철현, 송봉근, 정성관. 2013. 도시근린공원의 열환경 개선을 위한 열쾌적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53-170). 

  35. Matzarakis, A., F. Rutz and H. Mayer. 2007. Modelling radiation fluxes in simple and complex environments application of the RayMa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1(4):323-334. 

  36. Mayer, H. 1996. Human-biometeorologische Probleme des Stadtklimas. GEOWISSENSCHAFTEN-WEINHEIM -14:233-239. 

  37. National Statistics Korea. 2012. Cadastral Statistical Annual Report (통계청. 2012. 지적통계연보). 

  38. Ng, E. 2012. Towards planning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meteorological and climate information in the design of High-density cities-A case-based study of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2(4):582-598. 

  39. Oh, K.S. and J.J. Hong.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1):47-63 (오규식, 홍재주. 2005.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47-63). 

  40. Oh, K.S., M.B. Lee and D.W. Lee. 2013. An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of new tow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2):55-71 (오규식, 이민복, 이동우. 2013. 수도권 신도시의 열쾌적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1(2):55-71). 

  41. Oke, T.R. 2006. Towards better scientific communication in urban climate.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84(1-3):179-190. 

  42. Park, I.H., G.S. Jang and J.Y. Kim. 1999. Evaluation of the heat island in transition zone of three cities in Kyungpook, Kore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8(2):73-82 (박인환, 장갑수, 김종용. 1999. 추이대를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3개 도시의 열섬 평가. 환경영향평가학회지 8(2):73-82). 

  43. Park, K.H. and S.G. Jung. 1999. Analysis on urban heat island effects for the metropolitan green spac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35-45 (박경훈, 정성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35-45). 

  44. Park, S.K. 2013. A way for creating human bioclimatic maps using human thermal sensation(comfort) and applying the maps to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21-33 (박수국. 2013. 인간 열환경 지수를 이용한 생기후지도 작성 및 도시.조경계획 및 디자인에의 적용방안. 한국조경학회지 41(1):21-33). 

  45.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2010 Special report on abnormal climat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녹색성장위원회, 기상청. 2010. 2010 이상기후 특별보고서. 기상청). 

  46. Shashua-Bar, L. and M.E. Hoffman. 2000. Vegetation as a climatic component in the design of an urban street: An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cooling effect of urban green areas with trees. Energy and Buildings 31(3):221-235. 

  47. Song, B.G. 2011. Development of integrated spatial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plann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urban climate and air quality. Master Thesis, Univ. of Changwon, Changwan, Korea (송봉근. 2011. 도시기후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한 통합적 공간환경평가 및 계획기법의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Song, B.G. and G.H. Park. 2011. The classification of spatial patterns considering formation parameters of urban climate: the case of Changwon city,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3):299-311 (송봉근, 박경훈. 2011. 도시기후 형성 요소를 고려한 공간유형 분류: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3):299-311). 

  49. Stern, N. 2007.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The Stern re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WHO. 2004. Heat-waves-risks and responses. Health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Series 2. 

  51. Yeo, I.A. 2008. EGIS DB integr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of Haeundae district in Busan. Master Thesis, Univ. of Busan, Busan, Korea (여인애. 2008. 부산시 해운대구의 환경지리정보의 구축 및 열환경 평가.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Yi, C.Y., K.R. Kim, S.M. An and Y.J. Choi. 2014. Impact of the loc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heat island to suburban areas on the nigh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35-49 (이채연, 김규랑, 안승만, 최영진. 2014. 수도권 열섬 중심으로부터 교외까지의 거리 및 국지적 지표특성이 야간 기온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1):35-49). 

  53. Yoon, Y.H. 2002. Effect of relative humidity by green space at P.M. 2 o'cloc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2):1-6 (윤용한. 2002. 녹지가 14시 상대습도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1-6). 

  54. Yoon, Y.H., C.H. Joo and J.H. Kim. 2011.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comport by land-use using bioclimatic chart.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3(3):39-58 (윤용한, 주창훈, 김정호. 2011. 생체기후도를 이용한 비오톱 유형별 환경 쾌적성 증진 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3):3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