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폰 기반의 증강현실 3D 패션피팅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iPhone-Based Augmented Reality 3D Fashion Fitting Contents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6 no.6, 2013년, pp.708 - 719  

탁명자 (동의대학교 영상정보공학과) ,  김치용 (동의대학교 영상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모바일 패션 쇼핑몰에서의 의류구매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이 직접 코디해 볼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개인들도 코디를 원하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패션코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패션 분야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의상을 재현하는 디지털 클로딩((Digital Clothing)기술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패션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의 생활패턴과 관심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세계보다 오히려 인터넷과 더불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패션몰에 대한 쇼핑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 기반의 한국인 체형에 맞는 증강현실 패션 피팅 콘텐츠 제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패션 제품에 대한 어울림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 피팅 시스템 UI(User Interface)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의류 쇼핑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chase of clothes has recently picked up pace at mobile fashion shopping malls. One of the biggest weak points is that consumers can't coordinate clothes. Since individuals increasingly want to make coordination, a fashion coordination system to satisfy the demand should be developed. As the tech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지털 기술이 의상 자체를 변화시킬 가능성을 진단해보기로 한다. 디지털 기술은 새로운 섬유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 기반의 증강현실 패션 피팅 콘텐츠 시스템 제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인 체형에 맞는 증강현실 패션 피팅 시스템은 아이폰을 이용하여 제품에 어울림을 확인 할 수 있는 증강현실 피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을 이용하여 실제 캐릭터에 다양한 패션을 효과적으로 코디할 수 있는 피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스마트 피팅으로 공간적인 부분에서 실용적이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시간적, 체력적 소모가 줄어든다.
  •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을 이용하여 표준 모델에 다양한 패션을 효과적으로 코디할 수 있는 패션 피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패션 피팅 시스템은 공간적인 부분에서 실용적이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시간적, 체력적 소모가 줄어든다.
  •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을 이용하여 모바일 패션 피팅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가 아이폰을 이용하여 카메라 뷰를 통하여 의복 제품에 대한 어울림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 하여 소비자 입장에서 시간적, 체력적 소모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패션은 무엇인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이 발달하면서 모바일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모바일 패션은 패션 산업에서 모바일 환경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인터랙티브(Interactive)기술과 디지털 패션분야가 접목되어 프로슈머(Prosumer)가 모바일 공간 속에서 직접 패션디자인에 참여하는 디자이너가 등장하였다.
모바일 패션 쇼핑몰의 가장 큰 단점은 무엇인가? 최근 모바일 패션 쇼핑몰에서의 의류구매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이 직접 코디해 볼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개인들도 코디를 원하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패션코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클로딩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디지털 클로딩은 의류분야의 획기적인 IT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클로딩은 크게 아날로그 클로딩, 세미디지털 클로딩, 디지 털 클로딩으로 나눈다[10-11]. 아날로그 클로딩 (Analog Clothing)은 의상의 디자인, 패널(패턴)의제작, 그리고 준비된 패널들을 봉제함에 의해 의복을 제작하는 통상적인 의류 제작 방식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탁명자, 김치용, "인터넷 패션 쇼핑몰을 위한 가상 피팅 모델 시스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 1184-1195, 2006. 

  2. 탁명자, 김치용, "가상 피팅 모델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 307-310, 2006. 

  3. 김주리, 정석태, 정성태, "웹 기반 3D 패션몰을 위한 의복 시뮬레이션 시스템,"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876-886, 2009. 

  4. 김주리, 이혜정, 정석태, "의복 디자인 시스템을 이용한 웹 3차원 의복 애니메이션 구현,"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 2157-2163, 2011. 

  5. 윤지선, 3D 애니메이션을 응용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6. 우세희, 디지털 클로딩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K. J. Cho and H. S. KO, "Stable But Responsive Cloth," Proc. ACM SIGGRAPH 2002, Vol. 21, No. 3 pp. 604-611, 2002. 

  8. S. H. Wu, Y. A. Ko, H. S. Cho and H. S. Ko, "Study of the 3D Clothing Simulation," International Fiber Conference Proceeding, pp. 231, 2006. 

  9. 우세희, 최현숙, "CACD(Computer Aided Clothing Design)의 발달 및 산업에의 적용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 의상디자인 학회지, 제11권, 제1호, pp. 87-97, 2009. 

  10. R. Azuma, Y. Baillot, R. Behringer, S.Feiner, S.Julier, and B. MacIntyre, "Recent Advances in Augmented Reality,"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Vol. 21, No. 6. pp. 34-37, 2001. 

  11. 박창규, 김성민, "3차원 및 가상공간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패션섬유 제품," 섬유 기술 산업, 제8권, 제1호, pp. 30-42, 2004. 

  12. 김혜영, "3D 디지털 애니메이션 모델을 활용한 의상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I," 복식문화연구 제 50권, 제 2호,, pp.97-109, 2000. 

  13. 이주현, 3차원 가상착의와 실제 착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4. 한은주, 개인과 아바타의 다차원적 이미지 동일시와 가상현실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5. 김효신,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패션상품 구매의도 결정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6. 조시 클라크, 아이폰 앱 디자인 정석, 한빛미디어, 서울,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