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건설 경쟁력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Competitive Evaluation Model in Oversea Construction Industr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2, 2013년, pp.12 - 21  

한재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환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장현승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건설시장에서의 각 국가 기업들의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해외건설 경쟁력 지표의 수립과 평가에 관한 연구로써 매년 발표되는 Global-Insight, ENR, 통계청 등의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과 기업별 건설역량지표를 토대로 해외건설 경쟁력을 평가하였다.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 결과 평가대상 22개 국가 중 미국 1위, 중국 2위, 일본 3위, 한국은 11위를 차지하였으며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 결과 미국 1위, 이탈리아 2위, 중국 3위, 한국은 12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개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국가별 글로벌 건설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평가대상 22개 국가 중 미국 1위, 중국 2위, 이탈리아 3위, 영국4위, 독일 5위로 나타났고, 한국은 9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은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11위) 측면이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12위) 보다 약간 상위에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특히 한국은 시장안정성(17위)과 설계경쟁력(19위) 측면에서 하위권으로 이 부분에 대한 개선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s competitiveness and establish strategies to expand into overseas construction markets. To evalua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es,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he target range of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각 국가 기업들의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해외건설 경쟁력 지표를 도출하고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해외 건설 경쟁력 평가모델에 의하여 각 국가별 해외건설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각 국가 기업들의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해외건설 경쟁력 지표를 도출하고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해외 건설 경쟁력 평가모델에 의하여 각 국가별 해외건설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국내 건설시장 및 수주환경은 감소추세로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국내 건설기업은 글로벌 건설시장으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건설 경쟁력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건설 경쟁력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 목적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국내의 해외 건설산업 경쟁력 연구는 일부 분야에 한정해서 정성적인 지표를 위주로 비 주기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특히 자료수집의 제약성으로 인해 경쟁력의 구성요소 또는 결정요인에 의해 경쟁력을 평가하기 보다는 경쟁력의 성과 또는 결과로서 실현된 기업의 시장점유율 변수를 통하여 경쟁국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해외건설기업의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요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에서 사용된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지표는 무엇인가?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지표 : 건설시장규모, 건설 시장성장률, 시장안정성, 건설리스크
22개 국가를 대상으로 국가별 해외건설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는 연구방법은? 첫째,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관련 연구동향을 조사∙ 분석한 후 평가지표를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해외건설 경쟁력 평가모델을 수립한다. 셋째, 수립된 평가모델을 바탕으로 국가별 해외건설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 결과에서 우리나라는 몇 위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건설시장에서의 각 국가 기업들의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해외건설 경쟁력 지표의 수립과 평가에 관한 연구로써 매년 발표되는 Global-Insight, ENR, 통계청 등의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과 기업별 건설역량지표를 토대로 해외건설 경쟁력을 평가하였다.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 결과 평가대상 22개 국가 중 미국 1위, 중국 2위, 일본 3위, 한국은 11위를 차지하였으며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 결과 미국 1위, 이탈리아 2위, 중국 3위, 한국은 12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개의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국가별 글로벌 건설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평가대상 22개 국가 중 미국 1위, 중국 2위, 이탈리아 3위, 영국4위, 독일 5위로 나타났고, 한국은 9위를 차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박재룡(1999), "우리나라 해외건설업의 국제적 위상과 경쟁력비교", 삼성경제연구소, pp.1-27 

  2. 박해선 (2006), "최근 해외건설 플랜트시장구조 및 우리기업의 경쟁력비교 분석", 수은해외경제, 서울, pp.5-19 

  3. 박환표.진경호(2010), "건설산업 국가경쟁력 평가모델 개발탐색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31-35 

  4. 박환표(2012), "글로벌 건설경쟁력 지표 개발", 건설관리 제13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41-44 

  5. 한재구.박환표 (2012), "해외건설 전문분야별 기술수준 인식도 조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2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249-250 

  6. 통계청 '외환보유액, 물가상승률' (2011.11.1) 

  7. 한국투명성기구 '부패인식지수' (2011.11.1) 

  8. EBS (2004): Blake, N, Croot, J, Hastings, J and Experian Business Strategies (2004) Meas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UK construction industry, volume 2.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DTI):Construction economics and statistics, London, pp.1-61. 

  9. ENR(2011), 'The Top 225 International Contractors, The Top 200 International Design Firms' (2011.9.1) 

  10. Global Insight(2011), IHS Global Insight-Global Construction Outlook 2011, 

  11. Momaya, K and Selby, K (1998),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Canadian construction industry: a comparison with Japan and the United state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5, pp.640-652. 

  12. Moody's, '국가별신용평가등급' (2011.9.1) 

  13. Roger Flanagan, Carol Jewell, Stefan Ericsson, Patrik Henricsson(2005), measuring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n selected countries, final report, Reading, pp.130-139 

  14. The 2010 Global Construction Cost and Reference Yearbook, Compass International Consultants Inc. Yearbook, PA USA, (2010.1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