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 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Study on Guideline of Water Supply System for Forest Fir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7 no.3, 2013년, pp.38 - 46  

김동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원 생태계서비스관리.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남송희 (산림청 산불방지과) ,  금시훈 (산림청 산불방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로부터 주요 산림과 시설물들을 보호하고 주변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상설 급수 및 살수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양양산불로 인해 낙산사 소실을 경험하면서 주요문화재 건축물 주변에 숲 관리와 함께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하지만 기존 설치된 산불방지급수시설의 경우, 별도의 설치와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각 시공업체의 시방서를 기준으로 설치하였다. 시공업체의 시방서는 NFSC 109를 토대로 산림지역에 변형하여 설치한 것으로 광범위한 산불확산으로부터 주요시설물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는 방호면적이 적고 호스의 이동과 동시살수에 있어 제한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설치되어 이용하고 있는 산불방지 급수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성능위주의 산불방지 급수시설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산불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산불방지 급수시설의 구성을 수관화 확산방지를 위한 'Water Sprinkler Tower System', 지표화 진화를 위한 'Forest Fire Hydrant System', 'Portable Water Spray System' 3가지를 제시하였고 설치를 위한 펌프의 성능 및 부속품들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manent water supply and water sprinkling systems are essential to protect major forests and facilities from forest fire. Back in 2005, Naksan Temple, a valuable cultural asset of Korea, was burned down in a forest fire that took place in Yangyang. This started a series of movements including in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산불방지 급수시설’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문화재청에서 설치한 1개소와 산림청에서 설치한 5개소에 대해 산불방지용 급수시설 현장 설치 및 운영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 산불확산은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기 때문에 주요 보호시설 및 산림에 대해서는 고정식 산불진화 설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산불방지 급수시설에 대한 실태조사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산불방지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인접지 또는 산림내 주요시설물, 산림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기위해 산불방지 급수시 설에 관한 기준을 제안하였다.
  • 타워시설과 대형스프링클러노즐을 이용한 수관수막설비의 기능은 지표화 뿐만 아니라 수관화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로 반경 35 m 살수거리 기준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240 LPM의 물을 Figure 3와 같이 원형으로 살수하여 산불을 진화 또는 확산되는 산불을 차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 경사: 상향 및 하향사면에 따라 중경사는 10 % 가감하고 급경사는 20 %를 가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설 급수 및 살수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산불로부터 주요 산림과 시설물들을 보호하고 주변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상설 급수 및 살수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양양산불로 인해 낙산사 소실을 경험하면서 주요문화재 건축물 주변에 숲 관리와 함께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기존 설치된 산불방지급수시설은 어떤 단점이 있나? 하지만 기존 설치된 산불방지급수시설의 경우, 별도의 설치와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각 시공업체의 시방서를 기준으로 설치하였다. 시공업체의 시방서는 NFSC 109를 토대로 산림지역에 변형하여 설치한 것으로 광범위한 산불확산으로부터 주요시설물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는 방호면적이 적고 호스의 이동과 동시살수에 있어 제한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설치되어 이용하고 있는 산불방지 급수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성능위주의 산불방지 급수시설 기준을 마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D. H. Kim, J. H. Lee, E. S. Kim and J. H. Kim, "Study on Estimating the Unit of Suppression Ability of Forest Fire Suppression Resources", Proceeding of 2011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pp. 144-147 (2011). 

  2. S. Y. Lee, D. H. Kim, M. S. Won and M. B. Lee, "Analysis of Forest Fire Spread Rate and Behaviour in Cheongyang, Yeasan of Korea", Proceeding of 2003 Korea Forest Science, p. 4 (2003). 

  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Natural Hazard Prevention Research; Development of Suppression Technique for Forest Fire Damage Reduction", Final Research Report of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6). 

  4. H. S. Park, S. Y. Lee, B. D. Lee and K. S. Koo, "The basic study on forest fire danger assessment for facilities in WUI", Proceeding of 2012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pp. 456-459 (2012). 

  5.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141; Standard for Fire Protection Infrastructure for Land Development in Wildland, Rural, and Suburban Areas", 2012 Edition (2012). 

  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Regulation for Outdoor Fire Hydrant Systems", National Fire Safety Code 109, No. 2012-126 (2012). 

  7. Korea Forest Service, "Specifications for Forest Fire Water Supply System in Kangreung National Forest Station", Specification of Construction (2011). 

  8. Korea Forest Service, "Specifications for Forest Fire Water Supply System in Yangyang National Forest Station", Specification of Construction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