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현장에서 사용하는 소방호스의 마찰손실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iction Loss Reduction in Fire Hoses Used at a Fire Scen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7 no.3, 2013년, pp.52 - 59  

민세홍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소방방재공학과) ,  권용준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사용하는 소방호스에 대하여 사용압력과 방수량 변화에 따른 마찰손실을 실측하였다. 소방호스의 종류, 수량, 사용압력 등 소방호스의 사용 실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실측한 결과 화재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이 사용하는 조건에서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은 무려 56.8%까지 측정되었다. 옥내 외 소화전설비에서 펌프양정 계산시 사용하는 소방호스의 등가 길이와도 많은 차이가 난다. 관련규정조차 마찰손실에 대한 제한 규정이 없고, 소방호스를 생산하는 업체에서도 마찰손실을 측정한 자료가 없으며, 화재현장에서는 마찰손실을 고려하지 않고 소방호스를 전개함으로써 호스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소방펌프차에서 고압으로 방수하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방호스 마찰손실에 대한 등가길이 기준을 정립하고 화재현장에서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을 고려한 전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described the measured friction loss depending on pressure used and changes in water flow rates for a fire hose used at a fire scene on this study. As a result of actual measurement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by analyzing the use situation of a fire hose such as the kind, quantity, press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진압 현장과 유사한 조건으로 방수압, 호스의 길이 및 크기 등에 따른 마찰손실을 실제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소방펌프차의 불필요한 고압사용을 줄여 적정한 압력을 사용할 수 있는 방안 및 재난현장표준작전절차(SOP)에 반영할 수 있는 소방호스의 전개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호스의 마찰손실률을 계산하는 이유는? 옥내 외 소화전설비에서 펌프양정 계산시 사용하는 소방호스의 등가 길이와도 많은 차이가 난다. 관련규정조차 마찰손실에 대한 제한 규정이 없고, 소방호스를 생산하는 업체에서도 마찰손실을 측정한 자료가 없으며, 화재현장에서는 마찰손실을 고려하지 않고 소방호스를 전개함으로써 호스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소방펌프차에서 고압으로 방수하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소방호스 마찰손실에 대한 등가길이 기준을 정립하고 화재현장에서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을 고려한 전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H. Min and Y. J. Kwon, "An Empirical Study on Standard Re-establishment of Water Discharge Performance for the Fire Engine Pum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5, pp. 85-91 (2012). 

  2. S. H. Min, Y. J. Kwon and J. D. Park, "An Empirical Study on Relay Pumping Method for the High Pressure of Fire Engine Pum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1, pp. 52-59 (2013). 

  3. S. H. Min, Y. J. Kwon, J. D. Park, J. C. Sa, J. M. Lee and S. B. 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Fire Hose Unfolding by Y-Coupling" Proceedings of 2012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251-254 (2012). 

  4. S. H. Min and J. M. Lee, "A Study on the Evacuation Risk of Simultaneous Fires from Exterio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90-96 (2012). 

  5. Notification No. 2012-54 of the NEMA, "The Type Approval of Fire Hoes and Product Inspection of Technical Standard ", NEMA, (2012). 

  6. No. 105 of The KFI, "The Approval Standard of Fire Pump Performance for Fire Truck" (2012.2.3). 

  7. Notification No. 2011-68 of the NEMA, "Performancebased Methods and Standards of Fire Safety Design", NEMA (2011). 

  8. S. H. Min, Y. J. Bae and Y. H. Nam, "A Proposal about the Vertical Fire Suppression Methods of High-rise Buildings", Proceedings of 2012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163-166 (2012). 

  9. S. H. Min and J. M. Lee, "A Study on the Evacuation Risk of Simultaneous Fires from Exterio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90-96 (2012). 

  10. S. H. Min and S. H. Jeong, "A Study on Improvement of Discharge Pressure Measurement of Indoor Fire Hydrant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3, pp. 67-72 (2012). 

  11. S. H. Min, J. E. Yun, J. S. Sun, S. H. Jeong, C. H. Chea and S. J. Kim, "Research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Outside Sprinkler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1, pp. 102-112 (2012). 

  12. NEMA, "2012 Tactical Fire Suppression Operation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edings Studies (Highrise sector)" (2012). 

  13. S. H. Min, "NFSC Design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Munundang (2008). 

  14. NEMA, "The Data and Statistics of Fire Administration" (2011). 

  15. NEMA, "The Fire a Statistics Yearbook for the 2011" (2012). 

  16. NEMA, "The primary a Statistics of Fire Prevention" (2011). 

  17.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KFPA), "The SFPF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FPE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