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감소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for Decrease of Rice Stripe Disease in 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9 no.2, 2013년, pp.84 - 89  

김병련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정태우 (태안군농업기술센터) ,  한광섭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함수상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김영진 (서천군농업기술센터) ,  남윤규 (충청남도농업기술원) ,  최홍수 (국립농업과학원) ,  김정수 (안동대학교 식물의학전공) ,  유승헌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충남지역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발생변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월동 애멸구 밀도와 보독충률,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정도, 중간기주, 감수성 품종 등을 조사하였다. 충남지역의 월동 애멸구 밀도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해마다 감소하였으며 월동 애멸구의 RSV 보독충률은 3년간 각각 2.9, 4.0, 그리고 3.9%로 큰 변화는 없었다. 애멸구의 중간기주로 알려진 보리와 둑새풀, 새포아풀에서 RSV의 감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2009년 중국으로부터 애멸구가 대량 비래하였고, 이들의 보독률은 5.4%이었으나 2008년과 2010년에는 비래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답에서의 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은 2008년과 2009년에 1.0% 이하로 유지되었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감수성품종의 재배면적 또한 41%에서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전염원의 대량유입으로 인한 충남지역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감소 요인은 적절한 예찰과 화학적 방제, 저항성 품종의 재배, 재배방법의 변화, 그리고 겨울-봄의 낮은 온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idence factors of Rice stripe virus (RSV) were analyzed by studying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viruliferous insect rate (VIR) of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the incidence of stripe disease, alternate host, and susceptible cultivar in Chungnam Province. The population of overwinte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벼 바이러스병의 대 발생을 막기 위하여 벼 바이러스병 발생과 보독충, 중간기주, 벼 바이러스 감염 시기별 피해정도에 대한 해석 및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관리 대책 연구 등 벼 바이러스병 다발생 원인 분석 및 종합관리 대책 구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주요 재배지역을 중심으로 벼 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의 보독충 서식처, 중간기주, 보독충률 변이 추적 등을 분석하여 실제적인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감소 원인을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우리나라 언제 어디서 처음 발생되었는가? 벼 줄무늬잎마름병(Rice stripe virus; RSV)은 1935년 최초 진주, 밀양, 구례지역에서 30−70% 발생되었고(Chung, 1974), 이후 1964년과 1965년에 전국 발병주율이 26−38% 이었으며(Park 등, 2009), 1972년과 1973년에 추풍령 이남지역에서 못자리 피해율이 2−10%를 보였다(Kim 등, 2011). 이후 비교적 안정적인 병 발생 양상을 보이다가 2001년 서해안 지역인 경기의 김포, 강화, 평택과 충남의 서산, 당진 그리고 전북의 부안, 군산 고창 에서 5,100 ha가 발생하였고, 특히 경기도 조사 필지의 47.
RSV의 매개체는 무엇인가? RSV는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가 매개하는데, 경란전염의 방법으로 90% 정도의 후대가 40세대 이상 영속적으로 전염 가능하고(Wang 등, 2008), 기주식물과 매개충의 체내에서 복제된다(Yang 등, 1996). RSV의 진단법은 유묘 검정법, 적혈구 응집반응법, 효소결합항체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유전자 진단법(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벼 바이러스 3종 동시 유전자 진단법(Triplex RT-PCR), 면역탐침 진단법(Immuno-captures/RT-PCR), 간편 유전자 진단법(Virioncaptured/RT-PCR) 등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Kim 등, 2009a).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진단법은 무엇인가? RSV는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가 매개하는데, 경란전염의 방법으로 90% 정도의 후대가 40세대 이상 영속적으로 전염 가능하고(Wang 등, 2008), 기주식물과 매개충의 체내에서 복제된다(Yang 등, 1996). RSV의 진단법은 유묘 검정법, 적혈구 응집반응법, 효소결합항체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유전자 진단법(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벼 바이러스 3종 동시 유전자 진단법(Triplex RT-PCR), 면역탐침 진단법(Immuno-captures/RT-PCR), 간편 유전자 진단법(Virioncaptured/RT-PCR) 등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Kim 등, 2009a). 전 세계적으로 벼 바이러스 중 RSV의 중간기주는 화본과 작물 및 잡초류 21종이 국내에서 보고되어 있으나(Chung, 1974), 가장 중요한 기주로 알려진 보리의 경우 자연 감염 및 감염 정도에 대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연구되어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 K. H., Oh, H. J., Park, H. G. and Jung, W. J. 2010. Comparison of rice stripe disease occurrence and yield under differen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Korean J. Org. Agric. 18: 75-82. (In Korean) 

  2. Choi, H. S., Lee, S. H., Kim, M. K., Kwak, H. R., Kim, J. S., Cho, J. D. and Choi, G. S. 2010.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09. Res. Plant Dis. 16: 1-9. (In Korean) 

  3. Chung, B. J. 1974. Studies on the occurrence, host range, transmission, and control of rice stripe disease in Korea. Korean J. Plant Prot. 13: 181-204. (In Korean) 

  4. Jeong, T. W., Kim, B. R., Han, G. S., Kang, D. W., Jeong, I. Y., Lim, H. S. and Kim, J. S. 2012. Evaluation of pesticide treatment for control of Rice stripe virus after mass migration of small brown planthoppers. Res. Plant Dis. 18: 245-249. (In Korean) 

  5. Kang, H. J., Ahn, K., Han, C. U., Jeong, K. H., Park, S. J., Ji, J. J. and Kim, J. S. 2010. Analysis of the factor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in Chungcheongbukdo in 2008 and 2009. Res. Plant Dis. 16: 109-114. (In Korean) 

  6. Kim, C. H. 2002.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1. Res. Plant Dis. 8: 1-10. (In Korean) 

  7. Kim, J. S., Lee, G. S., Kim, C. S., Choi, H. S., Lee, S. H., Kim, M. K., Kwag, H. R., Nam, M., Kim, J. S., Noh, T. H., Kang, M. H., Cho, J. D., Kim, J. Y., Kang, H. J., Han, J. W., Kim, B. R., Jeong, S. S., Kim, J. H., Kuo, S. J., Lee, J. H. and Kim, T. S. 2011. Severe outbreak of Rice stripe virus and its occurring factors. Korean J. Pest. Sci. 15: 545-572. (In Korean) 

  8. Kim, J. S., Lee, S. H., Choi, H. S., Cho, J. D., Noh, T. H. and Kim, J. Y. 2009a. Convenient genetic diagnosis of virion capture (VC)/RT-PCR for rice viruses (RSV, RBSDV) and small brown planthopper. Res. Plant Dis. 15: 57-62. (In Korean) 

  9. Kim, J. S., Lee, S. H., Choi, H. S., Kim, M. K., Kwak, H. R., Cho, J. D., Choi, G. S. and Kim, J. Y. 2009b.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08. Res. Plant Dis. 15: 1-7. (In Korean) 

  10. Kim, J. S., Lee, S. H., Choi, H. S., Choi, G. S., Cho, J. D. and Chung, B. N. 2008. Survey of viral diseases occurrence on major crops in 2007. Res. Plant Dis. 14: 1-9. (In Korean) 

  11. Ko, S. J., Kang, B. R., Kim, D. I., Choi, D. S., Kim, S. G., Lee, G. S., Kim, C. S., Choi, H. S., Kim, H. J. and Kim, J. S. 2011. Analysis of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in Jeonnam Province. Res. Plant Dis. 17: 351-357. (In Korean) 

  12. Lee, B. C., Cho, S. Y., Yoon, Y. N., Kang, I. J., Lee, J. H., Kwak, D. Y., Shin, D. B. and Kang, H. W. 2012. Change in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Res. Plant Dis. 18: 402-405. (In Korean) 

  13. Lee, S. H., Choi, H. S., Park, J. W. and Moon, J. S. 2008. Primer for detecting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ice dwarf virus and Rice stripe virus and method for detecting simultaneously said viruses using the same. Korea Patent 10-0801558. 

  14. Park, J. W., Jin, T. S., Choi, H. S., Lee, S. H., Shin, D. B., Oh, I. S., Lee, S. G., Lee, M. H., Choi, B. R., Bae, S. D., Kim, J. Y., Han, K. S., Noh, T. H., Ko, S. J., Park, J. D., Lee, B. C., Kim, T. S., Chung, B. K., Hong, S. J., Kim, C. H., Park, H. M. and Lee, K. W. 2009. Incidence of Rice stripe virus during 2002 to 2004 in Korea and chemical control of small brown planthopper. The Korean J. Pest. Sci. 13: 309-314. (In Korean) 

  15. Wang, H.-D., Chen, J.-P., Zhang, H.-M., Sun, X.-L., Zhu, J.-L., Wang, A.-G., Sheng, W.-X. and Adams, M. J. 2008. Recent Rice stripe virus epidemics in Zhejiang province, China, and experiments on sowing date, disease-yield loss relationships, and seedling susceptibility. Plant Dis. 92: 1190-1196. 

  16. Yang, W., Wang, X., Wang, S., Yie, Y. and Tien, P. 1996. Infection and replication of a planthopper transmitted virus-Rice stripe virus in rice protoplasts. J. Virol. Methods 59: 57-60. 

  17. Yoon, Y. N., Lee, B. C., Jung, J. H., Kim, J. I., Hwang, J. B., Kim, C. S., Hong, S. J., Kang, H. W., Song, S. B., Hong, Y. G., Park, S. T. and Lee, K. W. 2009. New alternate host of Rice stripe virus - 'Deulmuksae'. Res. Plant Dis. 15: 63-67. (In Korean) 

  18. Zhang, S., Li, L., Wang, X. and Zhou, G. 2007. Transmission of Rice stripe virus acquired from frozen infected leaves by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J. Virol. Methods 146: 359-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