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바스 치료가 뇌졸중 환자에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obath Therapy on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11 no.1, 2013년, pp.1 - 6  

이상호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문정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태한 (제주한라병원 재활의학센터) ,  김상영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윤세원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obath treatment on the balance and gait in adult hemiplegia. Methods :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patients of hemiparesis caused by cerebral stroke. The participants were based on random sampling method. The hemiplegia patient rec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7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바스(Bobath) 치료가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23 Kim24 의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가 체간 정렬을 위하여 보바스 치료를 받을 경우 균형과 보행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바스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지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바스 치료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형능력에 있어 보바스 치료는 치료 하는 동안 동적 균형능력은 향상시키고 보행에 있어 보행 속도는 보바스 치료하는 동안 점차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는 뇌졸중(stroke)은 뇌의 정상적인 신경계 성숙과 발달을 경험한 후 혈액공급에 문제가 발생 하여 나타나는 발생률이 높은 신경계 질환이다.1 뇌졸중이 발병하면 그 정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신체적인 기능장애를 발생시켜 운동기능 장애가 발생하며,2 보행능력저하, 균형감소, 운동장애, 비정상적인 자세, 언어장애, 인지 및 지각장애, 지적능력장애 등으로 사회 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이 나타나게 된다.
뇌졸중 발병 시 유발되는 장애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는 뇌졸중(stroke)은 뇌의 정상적인 신경계 성숙과 발달을 경험한 후 혈액공급에 문제가 발생 하여 나타나는 발생률이 높은 신경계 질환이다.1 뇌졸중이 발병하면 그 정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신체적인 기능장애를 발생시켜 운동기능 장애가 발생하며,2 보행능력저하, 균형감소, 운동장애, 비정상적인 자세, 언어장애, 인지 및 지각장애, 지적능력장애 등으로 사회 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이 나타나게 된다.3 또한 마비측으로 넘어지려는 경향과 좌, 우 비대칭성을 나타내어 균형과 보행 능력의 저하로 불균형을 초래하여 보행의 상실감을 나타낸다.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과 보행을 위해 보바스 치료법을 적용할 경우 어떤 효과가 있는가?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과 보행을 치료하기 위해 PNF 치료법,20 보이타 치료법,21 보바스(Bobath) 치료법22 등을 사용한다. 특히 보바스 치료는 뇌졸중 환자가 가지고 있는 비정상적 운동형태와 반사, 비정상적인 근육의 긴장도, 협응운동의 결핍 등의 문제를 치료 초기부터 억제(inhibition) 시킨다. 또한 환측의 운동을 촉진시켜 양쪽 모두를 동일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양측성 활동(bilateral activities)능력을 이끌어내며 환자로부터 정상적인 자세와 반사, 정상적인 협응 등을 이끌어낸다고 하였다.23 Kim24 의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가 체간 정렬을 위하여 보바스 치료를 받을 경우 균형과 보행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Forster A, Szabo K, Hennerici MG. Pathophysiological concepts of stroke in hemodynamic risk zones-do hypoperfusion and embolism interact? Nat Clin Pract Neurol. 2008;4(4):216-25. 

  2. Chae J, Johnston M, Kim H et al. Admission motor impairment as a predictor of physical disability after stroke rehabilitation. Am J Phys Med Rehabil. 1995;74(3):218-23. 

  3. Tatemichi TK, Desmond DW, Stern Y et al.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Frequency, patterns, and relationship to functional abiliti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4;57(2):202-7. 

  4. Nichols DS, Miller L, Colby LA et al. Sitting balance: Its relation to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1996;77(9):865-9. 

  5. Yang YR, Chen YC, Lee CS et al.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and Posture. 2007;25(2):185-90. 

  6. Hochstenbach J, Donders R, Mulder T et al. Long-term outcome after stroke: A disability-orientated approach. Int J Rehabil Res. 1996;19(3):189-200. 

  7.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395-400. 

  8. Choi SS. The effect of dual tasks on gait and static standing in stroke patients.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9. 

  9. Nardone A, Godi M, Artuso A et al. Balance rehabilitation by moving platform and exercises in patients with neuropathy or vestibular deficit.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2):1869-77. 

  10.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175-80. 

  11. Brandstater ME, de Bruin H, Gowland C et al. Hemiplegic gait: Analysis of temporal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1983;64(12):583-7. 

  12. Cheng PT, Liaw MY, Wong MK et al. The sit-to-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alling. Arch Phys Med Rehabil. 1998;79(9):1043-6. 

  13. Weiss A, Suzuki T, Bean J et al.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0;79(4):369-76;quiz 91-4. 

  14. Bayouk JF, Boucher JP, Leroux A. Balance training following stroke: Effects of task-oriented exercises with and without altered sensory input. Int J Rehabil Res. 2006;29(1):51-9. 

  15. Dodd KJ, Morris ME. Lateral pelvic displacement during gait: Abnormalities after stroke and changes during the first month of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200-5. 

  16. Bohannon RW, Horton MG, Wikholm JB. Importance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 J Rehabil Res. 1991;14(3):246-50. 

  17. Flansbjer UB, Miller M, Downham D et al.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after stroke: Effects on muscle strength, muscle tone,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J Rehabil Med. 2008;40(1):42-8. 

  18. Roerdink M, Lamoth CJ, van Kordelaar J et al. Rhythm perturbations in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7):668-78. 

  19. Krishnamoorthy V, Hsu WL, Kesar TM et al. Gait training after stroke: A pilot study combining a gravity-balanced orthosi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visual feedback. J Neurol Phys Ther. 2008;32(4):192-202. 

  20. Bae SS. A study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rincipl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993;5(1):109-14. 

  21. Lee GH, Goo BO, Bae SS. The report of vojta therapy in hydrocephalus on traumatic brain Inju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2;14(1):125-30. 

  22. Lee KH, Kim HS, Han DW et al. The effect of bobath and conventional method in gate of adult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08;3(4):277-84. 

  23. Current ME, Kwon HC.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bobath treatmen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1986;7(2):13-21. 

  24. Kim DJ. The effects of bobath treatment for trunk aligment on the balance and gait in adult hemiplegic patients.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6. 

  25. Eich HJ, Mach H, Werner C et al. Aerobic treadmill plus bobath walking training improves walking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04;18(6):640-51. 

  26.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6. 

  27. Harley C, Boyd JE, Cockburn J et al. Disruption of sitting balance after stroke: Influence of spoken outpu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6;77(5):674-6. 

  28. Choi JG.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Donga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